제목 : 용연계곡길
주제 : 용두암용연계곡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다리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용연용소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상류계곡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산책길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양선사유적
주제 : 삼양선사유적
내용 : 탐라국 형성기의 대단위 집 자리 236기(원형 173기)를 비롯해 당시의 생활주거 형식과 마을 외곽을 두르고 있던 도랑유구 등이 확인되었고 주거지 내부에서 토기 석기 그리고 철기 청동기 곡식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의 문화 단계를 보여주게 되었다.





제목 : 고산선사유적
주제 : 고산선사유적
내용 : 선사 유적지는 수월봉 아래 금잔디가 예쁘게 깔려있는 운동장처럼 넓은 밭이다. 이곳에서 일을 하던 한 농부가 1987년에 신고를 하여 처음 알려진 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서 발굴조사를 거치면서 한반도 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신석기 시대의 초기 유적으로 확인 되어 학계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제목 : 은밀한섶섬
주제 : 섶섬삼도파초일엽자생지
내용 : 천연기념물 제 18호인 제주도 삼도파초일엽자생지로 지정되어 보호 되고 있으며 부근 해역은 천혜의 낚시터로 유명하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0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성지(내부에서 본 성곽)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 서 남 북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제목 : 환해장성
주제 : 환해장성
내용 : 제주의 해안도로 곳곳에는 환해장성들을 볼수있다. 환해장성은 왜구로부터 침입을 막기위해 해안선을 따라 돌로쌓은 성이다.





제목 : 제주성지(성곽올라가는계단)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 서 남 북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성곽의 계단은 짧게 남아 있는 성벽이라도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성지(성곽위)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 성곽위에서 안쪽으로 내다보면 복원된 오현단 귤림서원 기와지붕이 보인다.





제목 : 제주성지(도로변에서 본 성곽)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서남북 각 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제목 : 제주성의 치성(격대)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치성은 흔히 격대라고도 불린다. 성벽에 달라붙는 적병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게끔 성벽 일부 구간을 앞으로 돌출시킨 구조물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별초군깃발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제목 : 구시물
주제 : 나무구시구시
내용 : 구시물이라는 물의 이름은 밑 논에 물을 댈때 나무구시가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 하기도 하고 물 흐르는 곳이 구시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의문화유산 P168>





제목 : 제주성지(내부쉼터정자)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 내부에는 작은 공원처럼 나무들이 우거져 있고 복원된 귤림서원과 오현단 비석 쉴 수 있는 정자가 있어 제주역사의 중요한 교육장일 뿐만 아니라 잠시 쉬었다가 갈수 있는 쉼터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덕정
주제 : 관덕정입춘굿놀이
내용 : 제주시내 한복판 단아하면서 위엄 있어 보이는 건물인 보물 제322호 관덕정(觀德亭)이 복원공사를 시작한지 2년 8개월 만에 완공하여 2006년 8월 18일 준공식을 갖고 장엄한 모습을 드러냈다. 관덕정은 제주성내 위치했던 조선시대 수많은 전각 중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유적이다 목관아에서는 토요일 오후 12시 예전에 진행하였던 수문장 교대식을 재현하고 있다.





제목 : 항몽유적지주춧돌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제목 : 항몽유적지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대정향교(김정희 새한도의 소나무 정면)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김정희 세한도 歲寒圖의 소나무 정면)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앞뜰)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명월진성(성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입구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안내표지판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명월진성(누각)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명월진성(성 안쪽에서 바라본 성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명월진성(입구전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