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일본군비행기격납고
주제 : 일제시대 진지동굴비행장
내용 : 송안산에서 모슬포 가는 길로 접어들면 오른쪽으로 너른 벌판에 나지막한 격납고가 눈에 들어 온다 돔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붕은 미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진흙으로 덮었다. 일본군의 자살공격기 조종사들이 훈련을 받은 곳으로 알려져있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3 2007년>

제목 : 일본군 고사포 진지
주제 : 일제시대 진지동굴
내용 : 1945년 패망 직전의 일본은 결7호작전이라 하여 제주도를 미군의 일본 본토상륙을 저지하기 위한 최후의 방어기지로 삼고 7만5000명에 달하는 군인을 주둔시켰다. 그리고 모슬포에 비행장을 건설하고 도내 곳곳에 진지동굴을 구축하는데 송악산의 셋알오름 정상에 미군기에 대항하기 위한 고사포 진지를 구축했다.

제목 : 행수 내의녀 김만덕의 묘 비석
주제 : 김만덕의녀모충사
내용 : 1977년 원래의 묘자리에서 시가지 확장공사로 인해 이곳으로 옮기면서 묘소 앞에 있던 비석과 석물들을 옮겨다 여기 한쪽에 세워놓았다. 그래서 자칫 이곳을 묘로 착각하기 쉽다. 비석에는 행수내의녀김만덕지묘(行首內醫女金萬德之墓)라 새겨져 있다.

주제 : 일제시대 진지동굴비행장
내용 : 송안산에서 모슬포 가는 길로 접어들면 오른쪽으로 너른 벌판에 나지막한 격납고가 눈에 들어 온다 돔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붕은 미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진흙으로 덮었다. 일본군의 자살공격기 조종사들이 훈련을 받은 곳으로 알려져있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3 2007년>
제목 : 일본군 고사포 진지
주제 : 일제시대 진지동굴
내용 : 1945년 패망 직전의 일본은 결7호작전이라 하여 제주도를 미군의 일본 본토상륙을 저지하기 위한 최후의 방어기지로 삼고 7만5000명에 달하는 군인을 주둔시켰다. 그리고 모슬포에 비행장을 건설하고 도내 곳곳에 진지동굴을 구축하는데 송악산의 셋알오름 정상에 미군기에 대항하기 위한 고사포 진지를 구축했다.
제목 : 행수 내의녀 김만덕의 묘 비석
주제 : 김만덕의녀모충사
내용 : 1977년 원래의 묘자리에서 시가지 확장공사로 인해 이곳으로 옮기면서 묘소 앞에 있던 비석과 석물들을 옮겨다 여기 한쪽에 세워놓았다. 그래서 자칫 이곳을 묘로 착각하기 쉽다. 비석에는 행수내의녀김만덕지묘(行首內醫女金萬德之墓)라 새겨져 있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알뜨르비행장비행기격납고(외부), 알뜨르비행장, 수월봉진지동굴사진 (0) | 2022.09.05 |
---|---|
제주도 사진/정보 - , 의녀반수 김만덕 의인 묘, 은광연세, 알뜨르비행장비행기격납고(내부)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일본해군초소유허지, 일본군탄약고, 일본군의 포들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황우지12굴(우측), 항일기념관, 제주성과 성문 어귀의 석무인(石武人)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1950년대서귀포포구, 1947년 설립된 조흥버스, 황우지12굴(좌측)사진 (0) | 2022.09.04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