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삼성혈을 밟고 선 순사들
주제 : 삼성혈순사
내용 : 1910년 한일합방이 되고 그해 10월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이래 1914년 일본은 조선의 토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하였는데 제주는 그 처음 표본지역이 되었다. 이 사진은 그러니까 당시 일제의 관헌들에 의해 찍어진 것인 듯하다. 1915년말 우도 가파도를 제외한 제주 전지역이 측량 완료 되고 1916년 1월 4일에는 토지 소유자와 지적도가 고시된다.

제목 : 삼성굴의 조사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삼성굴
내용 : 일제 제복의 사내들이 당시로서는 시내 외곽에 위치산 삼성혈을 조사하고 있다. 제복을 입고 칼을 찬 세 순사가 각기 세 혈의 입구를 밟고 서 있다.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함으로도 보이지미나 그 보다 이렇듯 숨구멍을 틀어막겠다는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제목 : 모충사만덕관
주제 : 김만덕사당
내용 : 제주도민들의 성금으로 사라봉 공원 내에 세워진 모충사는 조국독립을 위해 싸우다가 순직한 열사와 의녀 김만덕 할머니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55 2007년>

주제 : 삼성혈순사
내용 : 1910년 한일합방이 되고 그해 10월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이래 1914년 일본은 조선의 토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하였는데 제주는 그 처음 표본지역이 되었다. 이 사진은 그러니까 당시 일제의 관헌들에 의해 찍어진 것인 듯하다. 1915년말 우도 가파도를 제외한 제주 전지역이 측량 완료 되고 1916년 1월 4일에는 토지 소유자와 지적도가 고시된다.
제목 : 삼성굴의 조사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삼성굴
내용 : 일제 제복의 사내들이 당시로서는 시내 외곽에 위치산 삼성혈을 조사하고 있다. 제복을 입고 칼을 찬 세 순사가 각기 세 혈의 입구를 밟고 서 있다.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함으로도 보이지미나 그 보다 이렇듯 숨구멍을 틀어막겠다는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제목 : 모충사만덕관
주제 : 김만덕사당
내용 : 제주도민들의 성금으로 사라봉 공원 내에 세워진 모충사는 조국독립을 위해 싸우다가 순직한 열사와 의녀 김만덕 할머니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55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군산진지동굴내부에서본풍경, 화북비석거리, 하멜상선사진 (0) | 2022.09.05 |
---|---|
제주도 사진/정보 - , 마라도진지동굴, 김만덕초상화, 군산진지동굴입구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송악산진지동굴에서 외부로 바라본 전경, 송악산진지동굴(우측), 송악산진지동굴(좌측)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알뜨르비행장비행기격납고(외부), 알뜨르비행장, 수월봉진지동굴사진 (0) | 2022.09.05 |
제주도 사진/정보 - , 의녀반수 김만덕 의인 묘, 은광연세, 알뜨르비행장비행기격납고(내부)사진 (0) | 2022.09.05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