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집게
주제 : 가위쇠붙이집게
내용 : 대장간에서 사용-달군 쇠를 집는 용도로 뜨거운 쇠붙이를 집도록 한 도구이다.

제목 : 씨아
주제 : 씨앗틀보르는물레
내용 : 말린 목화송이에서 씨앗을 빼내버리는 틀이다. 이것을 ‘보르는 물레’라고 했다. 몸통을 ‘버텅’ 버텅에 꽃힌 두 개의 개둥을 ‘부출’이라고 했다. 그 사이 맨 아래쪽에서부터 위로 ‘세역’이라는 나무 뭉치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노는 나무판자 손잡이를 돌리는 대로 목화송이에서 씨앗이 빠지게 된 두 개의 ‘쌀’로 이뤄졌다. 두 개의 쌀 끝은 꽈배기로 이뤄져 서로 맞물리며 돌아간다. 이것을 ‘물레귀’라고 했다. 쓸 때는 돼지기름이나 나물기름을 때때로 발라줘야 잘 돌았다. 그리고 쌀을 만들 때에는 ‘가시낭’(가시나무)이 아니면 안 된다고 한다. 그래야 물레귀도 함부로 타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목 : 줄어울이
주제 : 초가지붕집줄
내용 : 초가지붕의 집줄을 놓을 때 외줄두개를 어울일때 사용. 가운데 구멍에 박고 뒤에서 뒤치게로 돌리는 역할을 함.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4 2007년>

주제 : 가위쇠붙이집게
내용 : 대장간에서 사용-달군 쇠를 집는 용도로 뜨거운 쇠붙이를 집도록 한 도구이다.
제목 : 씨아
주제 : 씨앗틀보르는물레
내용 : 말린 목화송이에서 씨앗을 빼내버리는 틀이다. 이것을 ‘보르는 물레’라고 했다. 몸통을 ‘버텅’ 버텅에 꽃힌 두 개의 개둥을 ‘부출’이라고 했다. 그 사이 맨 아래쪽에서부터 위로 ‘세역’이라는 나무 뭉치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노는 나무판자 손잡이를 돌리는 대로 목화송이에서 씨앗이 빠지게 된 두 개의 ‘쌀’로 이뤄졌다. 두 개의 쌀 끝은 꽈배기로 이뤄져 서로 맞물리며 돌아간다. 이것을 ‘물레귀’라고 했다. 쓸 때는 돼지기름이나 나물기름을 때때로 발라줘야 잘 돌았다. 그리고 쌀을 만들 때에는 ‘가시낭’(가시나무)이 아니면 안 된다고 한다. 그래야 물레귀도 함부로 타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목 : 줄어울이
주제 : 초가지붕집줄
내용 : 초가지붕의 집줄을 놓을 때 외줄두개를 어울일때 사용. 가운데 구멍에 박고 뒤에서 뒤치게로 돌리는 역할을 함.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4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담뱃대와재떨이, 재떨이, 자물쇠사진 (0) | 2022.09.06 |
---|---|
제주도 사진/정보 - , 주판, 종이상자(중), 족두리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창, 짚방석, 집게(가위형)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초석바디, 초롱, 천문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탕기, 침통침, 침통사진 (0) | 2022.09.06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