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수평추
주제 : 목공구
내용 : 목공구로 쇠로 되고 방추형이며 윗부분에는 끈을 달게 구멍이 있고 수직선을 보도록 만듦.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0 2007년>

제목 : 쇠창
주제 : 사냥기구창끝
내용 : 사냥기구로 쇠로 끝은 뾰족하고 양면은 날이 서게 만듦. 창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원래는 목재의 손잡이를 길게 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전승과정에서 소멸된 듯하다. 기록에 보면 노루 멧돼지등을 잡아 진상하였음을 알 수 있는 바 그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5 2007년>

제목 : 쇠솥만들기
주제 : 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주제 : 목공구
내용 : 목공구로 쇠로 되고 방추형이며 윗부분에는 끈을 달게 구멍이 있고 수직선을 보도록 만듦.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0 2007년>
제목 : 쇠창
주제 : 사냥기구창끝
내용 : 사냥기구로 쇠로 끝은 뾰족하고 양면은 날이 서게 만듦. 창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원래는 목재의 손잡이를 길게 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전승과정에서 소멸된 듯하다. 기록에 보면 노루 멧돼지등을 잡아 진상하였음을 알 수 있는 바 그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5 2007년>
제목 : 쇠솥만들기
주제 : 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사각등잔, 빗첩, 불무집게사진 (0) | 2022.09.06 |
---|---|
제주도 사진/정보 - , 세면기, 섭넓은호미, 화젓갈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약저울, 애기구덕(대바구니), 씨앗항아리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오시집게, 오시장태, 약탕관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원형뿔등잔, 용접봉, 요령사진 (0) | 2022.09.06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