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원삼
주제 : 예복여성복소례복대례복
내용 : 부녀자 예복의 하나로 궁중에서는 대례복이나 소례복으로 민간에서는 혼례복으로 입었다. 일반 부녀자들은 혼례시 금박을 하지 않은 녹원삼을 입게 하여 궁중의 원삼과 구별하였다. 혼례시에는 원삼에 화문을 금박한 홍색의 대대를 띠고 앞줄댕기와 도투락댕기를 장식하였으며 족두리를 썼다. 이 원삼의 겉감으로는 수(壽)자와 쌍용으로 이루어진 소원형문과 당초문이 있는 연두색공단을 썼으며 안감은 무늬 없는 홍색 명주를 받쳤다. 소매에 남 황 홍 녹 백색의 색동과 한삼을 달아 음양오행을 나타내었다. 반가에서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던 옷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 2007년>

제목 : 도포(두리소매)
주제 : 예복남성복통상예복
내용 : 조선시대에 남자들이 통상예복으로 입었던 웃옷으로 다른 옷에 비해 소매가 넓은 두리소매로 되어있다.

제목 : 도포
주제 : 예복남성복통상예복
내용 : 조선시대에 남자들이 통상예복으로 입었던 웃옷이다. 깃이 곧아서 현대의 두루마기깃과 같으며 동정이 있다. 소매는 넓은 두리소매이고 섶과 무가 있으며 뒷길의 중심선이 진동선부터 트여있다. 뒤길에 한폭의 전삼을 덧붙여 이 뒷트임을 덮도록 되어 있는데 전삼이 바람에 펄럭이는 모양은 도포의 멋과 특징이 되어 다른 많은 웃옷과 구별되는 점이다. 푸른색으로 물을 들인 천으로 만들면 청도포라 하였다.

주제 : 예복여성복소례복대례복
내용 : 부녀자 예복의 하나로 궁중에서는 대례복이나 소례복으로 민간에서는 혼례복으로 입었다. 일반 부녀자들은 혼례시 금박을 하지 않은 녹원삼을 입게 하여 궁중의 원삼과 구별하였다. 혼례시에는 원삼에 화문을 금박한 홍색의 대대를 띠고 앞줄댕기와 도투락댕기를 장식하였으며 족두리를 썼다. 이 원삼의 겉감으로는 수(壽)자와 쌍용으로 이루어진 소원형문과 당초문이 있는 연두색공단을 썼으며 안감은 무늬 없는 홍색 명주를 받쳤다. 소매에 남 황 홍 녹 백색의 색동과 한삼을 달아 음양오행을 나타내었다. 반가에서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던 옷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 2007년>
제목 : 도포(두리소매)
주제 : 예복남성복통상예복
내용 : 조선시대에 남자들이 통상예복으로 입었던 웃옷으로 다른 옷에 비해 소매가 넓은 두리소매로 되어있다.
제목 : 도포
주제 : 예복남성복통상예복
내용 : 조선시대에 남자들이 통상예복으로 입었던 웃옷이다. 깃이 곧아서 현대의 두루마기깃과 같으며 동정이 있다. 소매는 넓은 두리소매이고 섶과 무가 있으며 뒷길의 중심선이 진동선부터 트여있다. 뒤길에 한폭의 전삼을 덧붙여 이 뒷트임을 덮도록 되어 있는데 전삼이 바람에 펄럭이는 모양은 도포의 멋과 특징이 되어 다른 많은 웃옷과 구별되는 점이다. 푸른색으로 물을 들인 천으로 만들면 청도포라 하였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청동수저, 철제빙떡판, 조막단지사진 (0) | 2022.09.07 |
---|---|
제주도 사진/정보 - , 단학흉배가 달린 관복, 관복, 활어회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굴건, 광목치마, 장옷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상복허리띠, 상복, 눈물수건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짚동, 여자상복, 소단사진 (0) | 2022.09.07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