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명주바지
주제 : 바지외출용바지
내용 : 명주로 만들어진 외출용바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4 2007년>

제목 : 두루마기
주제 : 전통의복한복
내용 : 한국의 전통적인 포(袍)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조선말 도포(道袍) 창의 등의 제도가 없어지면서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입고 있는 포제(袍制)가 두루마기이다. 두루마기란 <두루 막혔다>는 뜻이다. 몽골복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그 원류에서 볼 때 고구려 이래의 한국 전통의 포제에서 나온 것이다. 고구려 포제에는 당시의 양식으로 선이 있고 띠를 둘렀는데 오늘의 두루마기에는 선이 없고 고름으로 되었을 뿐 별 차이가 없다. 백제 신라의 포도 두루마기와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제목 : 두건
주제 : 남성모자
내용 : 삼베를 네모지게 접어 한쪽은 막고 트인쪽은 머리에 쓰게 되어있다. 남자용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4 2007년>

주제 : 바지외출용바지
내용 : 명주로 만들어진 외출용바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4 2007년>
제목 : 두루마기
주제 : 전통의복한복
내용 : 한국의 전통적인 포(袍)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조선말 도포(道袍) 창의 등의 제도가 없어지면서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입고 있는 포제(袍制)가 두루마기이다. 두루마기란 <두루 막혔다>는 뜻이다. 몽골복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그 원류에서 볼 때 고구려 이래의 한국 전통의 포제에서 나온 것이다. 고구려 포제에는 당시의 양식으로 선이 있고 띠를 둘렀는데 오늘의 두루마기에는 선이 없고 고름으로 되었을 뿐 별 차이가 없다. 백제 신라의 포도 두루마기와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제목 : 두건
주제 : 남성모자
내용 : 삼베를 네모지게 접어 한쪽은 막고 트인쪽은 머리에 쓰게 되어있다. 남자용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4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남자바지, 굴중이, 광목쥐색바지사진 (0) | 2022.09.07 |
---|---|
제주도 사진/정보 - , 누비적삼, 남자조끼, 남자저고리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물적삼, 무명적삼, 무명바지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복건, 버선, 미녕점벵이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속바지, 상, 삼띠사진 (0) | 2022.09.07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