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돌화리
주제 : 돌화리화로
내용 : 돌로 만든 화로(火爐)다. 돌화리에는 사각형과 원형의 것이 있었는데 원형의 것은 드물다. 방안에서 사용하는 돌로 된 화로이다. <발췌 : 제주대학교 박물관도록 P130 1989년>

제목 : 법환배염줄이포구
주제 : 법환배염줄이포구
내용 : 고려시대 묵호의 난이 일어나자 최영장군은 법환동 범섬으로 도망간 묵호들을 섬멸하기 위해 범섬을 공격하기 위해 나무로 배를 엮어 범섬까지 연이어 다리를 만들었던 곳이다. 엮여진 배의 모습을 본따 지명을 배염줄이라고 하였다.

제목 : 자구내 도대불
주제 : 기타차귀도도대불등대돛대불
내용 : 돛대불이라고도 하며 근대식 등대가 세워지기 전까지 사용되던 것으로 돌이나 나무 혹은 쇠로 만들어진 등대이다. 조업을 나간 배가 포구의 도대불을 보고 무사히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 마을의 어부들이 뱃일을 나가기 전에 불을 붙이고 귀항 시 불을 껐다고 한다. 횃불을 사용하거나 생선의 기름 또는 송진을 사용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석유나 전기를 사용하였다. 자구내 포구의 도대불은 현무암을 벽돌모양으로 만들어 하나씩 쌓아가며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었다. 오늘날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주제 : 돌화리화로
내용 : 돌로 만든 화로(火爐)다. 돌화리에는 사각형과 원형의 것이 있었는데 원형의 것은 드물다. 방안에서 사용하는 돌로 된 화로이다. <발췌 : 제주대학교 박물관도록 P130 1989년>
제목 : 법환배염줄이포구
주제 : 법환배염줄이포구
내용 : 고려시대 묵호의 난이 일어나자 최영장군은 법환동 범섬으로 도망간 묵호들을 섬멸하기 위해 범섬을 공격하기 위해 나무로 배를 엮어 범섬까지 연이어 다리를 만들었던 곳이다. 엮여진 배의 모습을 본따 지명을 배염줄이라고 하였다.
제목 : 자구내 도대불
주제 : 기타차귀도도대불등대돛대불
내용 : 돛대불이라고도 하며 근대식 등대가 세워지기 전까지 사용되던 것으로 돌이나 나무 혹은 쇠로 만들어진 등대이다. 조업을 나간 배가 포구의 도대불을 보고 무사히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 마을의 어부들이 뱃일을 나가기 전에 불을 붙이고 귀항 시 불을 껐다고 한다. 횃불을 사용하거나 생선의 기름 또는 송진을 사용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석유나 전기를 사용하였다. 자구내 포구의 도대불은 현무암을 벽돌모양으로 만들어 하나씩 쌓아가며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었다. 오늘날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산담(남자), 맴돌, 문인석사진 (0) | 2022.09.13 |
---|---|
제주도 사진/정보 - , 줄타기, 도구통, 곰돌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주춧돌, 눌굽과 마당, 돔베성창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눌, 장독대(장항굽)와 돌담, 문지방석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저고리(민무늬), 일상복, 저고리사진 (0) | 2022.09.13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