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통물질(미역채취)
주제 : 나잠기술해녀좀녀물질물질방법
내용 : 서귀포시 법환동에서 재현되었던 전통해녀물질의 모습이다. 전통물질복을 입은 한 해녀가 미역을 채취한 모습이다. 미역은 얕은 겉바다에서 부터 수심 10m까지 숨은바위에서 비교적 많이 자란다. 20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미역은 바다마을 사람들의 큰 수입원이 되는 것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마을에서 공동으로 채취를 금했다가 동시에 채취하는 관행이 전승되어 왔다. 70년대 들면서부터 이른바 줄 미역 이라는 양식 미역이 흔해지면서 제주 미역은 관심밖의 것이 되어 버렸다. <발췌 : 제주의 해녀 P62 1996년>

제목 : 부엌(정지) 전경
주제 : 제주도민가제주전통초가집부엌정지
내용 : 부엌을 제주에서는 정지또는 정재라 부른다. 정지의 바닥은 흙바닥이고 벽은 돌을 쌓아 흙만 바르며 천정은 구조가 노출되어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9 1996년>

제목 : 칠성눌
주제 : 제주도민가외부공간눌굽
내용 : 눌을 설치하는 자리를 눌굽이라 한다. 눌이란 탈곡하기 전의 농작물을 단으로 묶어 쌓아 두거나 탈곡하고 난 짚을 낟가리로 씌어 쌓아 놓은 조영물을 말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4 1996년>

주제 : 나잠기술해녀좀녀물질물질방법
내용 : 서귀포시 법환동에서 재현되었던 전통해녀물질의 모습이다. 전통물질복을 입은 한 해녀가 미역을 채취한 모습이다. 미역은 얕은 겉바다에서 부터 수심 10m까지 숨은바위에서 비교적 많이 자란다. 20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미역은 바다마을 사람들의 큰 수입원이 되는 것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마을에서 공동으로 채취를 금했다가 동시에 채취하는 관행이 전승되어 왔다. 70년대 들면서부터 이른바 줄 미역 이라는 양식 미역이 흔해지면서 제주 미역은 관심밖의 것이 되어 버렸다. <발췌 : 제주의 해녀 P62 1996년>
제목 : 부엌(정지) 전경
주제 : 제주도민가제주전통초가집부엌정지
내용 : 부엌을 제주에서는 정지또는 정재라 부른다. 정지의 바닥은 흙바닥이고 벽은 돌을 쌓아 흙만 바르며 천정은 구조가 노출되어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9 1996년>
제목 : 칠성눌
주제 : 제주도민가외부공간눌굽
내용 : 눌을 설치하는 자리를 눌굽이라 한다. 눌이란 탈곡하기 전의 농작물을 단으로 묶어 쌓아 두거나 탈곡하고 난 짚을 낟가리로 씌어 쌓아 놓은 조영물을 말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4 1996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갈옷만들기, 갈천말리기(갈천건조), 감물들이기(무명염색)사진 (0) | 2022.09.14 |
---|---|
제주도 사진/정보 - , 정낭, 갈천말리기(갈천펼치기), 정당벌립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물허벅, 제주도옹기, 갓일(수장)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정당벌립, 풋감으깨기, 갓모으기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부엌(정지), 화장실(통시), 갓모자사진 (0) | 2022.09.14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