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용두암표지석
주제 : 용두암용머리
내용 :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된 바위로 그 모양이 용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10여m 바다속으로 잠긴 길이가 30m 쯤 되어 기이한 형상 만큼 갖가지 신비로운 전설이 함께 전해지고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두암야경
주제 : 용두암용머리
내용 :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된 바위로 그 모양이 용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10여m 바다속으로 잠긴 길이가 30m 쯤 되어 기이한 형상 만큼 갖가지 신비로운 전설이 함께 전해지고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두암
주제 : 용두암용머리
내용 :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된 바위로 그 모양이 용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10여m 바다속으로 잠긴 길이가 30m 쯤 되어 기이한 형상 만큼 갖가지 신비로운 전설이 함께 전해지고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용머리해안과사계리
주제 : 용머리전설사계
내용 : 송악산 가파도 마라도가 한 시야에 보인다. 용머리해안에 담겨진 전설에 의하면 제주도 여러 곳의 혈맥을 끊고 용머리해안의 용을 죽인 고종달이 중국으로 돌아가려고 배를 타고 차귀도 근처에 이르자 노한 한라산 신이 매로 변신하여 배를 침몰시켜 고종달이 중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 <발췌 : 제주도 전설지 P108 1985년>





제목 : 용머리해안(산방산 오르는 중간에서 바라본 전경)
주제 : 용머리전설해안차귀도
내용 : 산방굴사 오르는 길 중간 쯤에 전망대에서 용머리 해안쪽을 바라보면 마치 용이 바다를 향해 들어가는 형상을 볼 수 있다. 용의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용머리 해안이라 한다.





제목 : 용머리해안
주제 : 용머리전설해안차귀도
내용 : 제주도 여러 곳의 혈맥을 끊고 용머리해안의 용을 죽인 고종달이 중국으로 돌아가려고 배를 타고 차귀도 근처에 이르자 노한 한라산 신이 매로 변신하여 배를 침몰시켜 고종달이 중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 <발췌 : 제주도 전설지 P108 198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용연계곡길
주제 : 용두암용연계곡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다리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용연용소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상류계곡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용연산책길
주제 : 용두암용연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양선사유적
주제 : 삼양선사유적
내용 : 탐라국 형성기의 대단위 집 자리 236기(원형 173기)를 비롯해 당시의 생활주거 형식과 마을 외곽을 두르고 있던 도랑유구 등이 확인되었고 주거지 내부에서 토기 석기 그리고 철기 청동기 곡식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의 문화 단계를 보여주게 되었다.





제목 : 고산선사유적
주제 : 고산선사유적
내용 : 선사 유적지는 수월봉 아래 금잔디가 예쁘게 깔려있는 운동장처럼 넓은 밭이다. 이곳에서 일을 하던 한 농부가 1987년에 신고를 하여 처음 알려진 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서 발굴조사를 거치면서 한반도 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신석기 시대의 초기 유적으로 확인 되어 학계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제목 : 은밀한섶섬
주제 : 섶섬삼도파초일엽자생지
내용 : 천연기념물 제 18호인 제주도 삼도파초일엽자생지로 지정되어 보호 되고 있으며 부근 해역은 천혜의 낚시터로 유명하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0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성지(내부에서 본 성곽)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 서 남 북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제목 : 환해장성
주제 : 환해장성
내용 : 제주의 해안도로 곳곳에는 환해장성들을 볼수있다. 환해장성은 왜구로부터 침입을 막기위해 해안선을 따라 돌로쌓은 성이다.





제목 : 제주성지(성곽올라가는계단)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 서 남 북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성곽의 계단은 짧게 남아 있는 성벽이라도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성지(성곽위)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 성곽위에서 안쪽으로 내다보면 복원된 오현단 귤림서원 기와지붕이 보인다.





제목 : 제주성지(도로변에서 본 성곽)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는 제주의 현무암을 이용 축성하였는데 빈 틈새가 거의 없이 견고히 쌓았고 성곽은 둘레 약1424m높이 약 3.3m로 동서남북 각 문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성곽은 오현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격대 3개와 길이 85.1m 높이 3.6~4.3m의 성벽만 남아있다.





제목 : 제주성의 치성(격대)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치성은 흔히 격대라고도 불린다. 성벽에 달라붙는 적병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게끔 성벽 일부 구간을 앞으로 돌출시킨 구조물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별초군깃발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제목 : 구시물
주제 : 나무구시구시
내용 : 구시물이라는 물의 이름은 밑 논에 물을 댈때 나무구시가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 하기도 하고 물 흐르는 곳이 구시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의문화유산 P168>





제목 : 제주성지(내부쉼터정자)
주제 : 성지오현단외곽
내용 : 제주성지 내부에는 작은 공원처럼 나무들이 우거져 있고 복원된 귤림서원과 오현단 비석 쉴 수 있는 정자가 있어 제주역사의 중요한 교육장일 뿐만 아니라 잠시 쉬었다가 갈수 있는 쉼터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덕정
주제 : 관덕정입춘굿놀이
내용 : 제주시내 한복판 단아하면서 위엄 있어 보이는 건물인 보물 제322호 관덕정(觀德亭)이 복원공사를 시작한지 2년 8개월 만에 완공하여 2006년 8월 18일 준공식을 갖고 장엄한 모습을 드러냈다. 관덕정은 제주성내 위치했던 조선시대 수많은 전각 중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유적이다 목관아에서는 토요일 오후 12시 예전에 진행하였던 수문장 교대식을 재현하고 있다.





제목 : 항몽유적지주춧돌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제목 : 항몽유적지
주제 : 항몽유적지삼별초
내용 : 몽골에 맞서 삼별초가 최후까지 항쟁하다 전원이 순직한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역사적인 장소. 이곳에는 또한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린 발자국이 바위에 파여 샘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장수물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1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대정향교(김정희 새한도의 소나무 정면)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김정희 세한도 歲寒圖의 소나무 정면)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앞뜰)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