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명월진성(성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입구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안내표지판
주제 : 향교유배지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1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명월진성(누각)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명월진성(성 안쪽에서 바라본 성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제목 : 명월진성(입구전경)
주제 : 명월리명월포
내용 : 명월성지는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 5년 목사 장림이 명월포에 쌓았던 성터이다. 성안에는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어 동문 밖 큰 천과 합류하여 바다로 흘려 내렸다. <발췌 : 즐거운제주 P103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향교(명륜당)
주제 : 항교국립학교
내용 : 향교(鄕校)는 지방에서 유학을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설립한 관학(官學) 교육기관이다. 제주도에는 제주목 대정현 정의현 세 곳에 향교가 설치되었다. 이곳 제주 향교는 조선 태조 원년(1392) 제주성내 교동에 창건된 이후 여러 차례 옮겨 세워졌다가 순조 27년(1827) 현 위치로 옮겨져 오늘에 이른다.





제목 : 오현단(좌측)
주제 : 오현현인
내용 : 1971년 8월 26일 제주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제주성지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되었거나 방어사로 부임하여 이 지방 발전에 공헌한 다섯 사람을 배향한 옛 터이다. 오현(五賢)은 충암 김정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 동계 정온과 우암 송시열 선생 등 다섯 분이다.





제목 : 해양호
주제 : 피난선중국
내용 : 제주시내에서 바다로 흐르는 산지천 하류인 산지포구에서 고기 낚는 모습이 아름다워 산포조어(山浦釣漁)라 하여 영주10경 중 하나로 칭송하였다. 산지천 안에는 조천(朝天)이라는 표석이 있는데 가뭄으로 농사가 어려울 때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다. 산지천 끝자락에는 중국 피난선인 해상호(海祥號)를 80% 크기로 복원하여 그들의 어려웠던 삶을 엿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향교전경
주제 : 항교국립학교
내용 : 향교(鄕校)는 지방에서 유학을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설립한 관학(官學) 교육기관이다. 제주도에는 제주목 대정현 정의현 세 곳에 향교가 설치되었다. 이곳 제주 향교는 조선 태조 원년(1392) 제주성내 교동에 창건된 이후 여러 차례 옮겨 세워졌다가 순조 27년(1827) 현 위치로 옮겨져 오늘에 이른다.





제목 : 제주향교입구
주제 : 항교국립학교
내용 : 지방유형문화재 제2호로 제주도 최초의 국립학교로 설립됐으며 여러 차례의 개축과 이전을 거듭하다 지금의 자리에 들어섰다. 대성전 명륜당 전사청 계성사 등 이 남아있고 계성사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인 5성의 아버지 위패가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1 2007년>





제목 : 대정향교전경
주제 : 항교국립학교
내용 : 단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정향교는 제주의 세 향교 중에 한곳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에 세워졌으나 터가 좋지 않다고 하여 여러 차례 자리를 옮기다 효종 4년에 지금의 터에 자리를 잡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유배 생활을 하면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 곳이다. 소나무 한 그루가 대정향교의 운치를 더해 주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추사적거지비석과초가
주제 : 추사김정희유배
내용 : 서예가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 선생은 조선 헌종 6년에 유배되어 헌종 14년까지 9년간 적거지에 거주하면서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지금은 초가 4채와 추사체를 감상할 수 있는 기념관이 시대와 역사를 뛰어넘어 반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2 2007년>





제목 : 추사적거지비석
주제 : 추사김정희유배
내용 : 서예가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 선생은 조선 헌종 6년에 유배되어 헌종 14년까지 9년간 적거지에 거주하면서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지금은 초가 4채와 추사체를 감상할 수 있는 기념관이 시대와 역사를 뛰어넘어 반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2 2007년>





제목 : 추사관입구
주제 : 추사김정희유배
내용 : 서예가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 선생은 조선 헌종 6년에 유배되어 헌종 14년까지 9년간 적거지에 거주하면서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지금은 초가 4채와 추사체를 감상할 수 있는 기념관이 시대와 역사를 뛰어넘어 반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군산진지동굴내부에서본풍경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 발췌 :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





제목 : 화북비석거리
주제 : 비석거리화북
내용 : 13기의 비석들을 살펴보면 목사와 판관 조방장등의 비들이하나의 군을 이루고 있다. 찰리사(속칭목사)는 1891년이후 두차례나 임명되었다. <발췌 : 제주의 문화유산 P68>





제목 : 하멜상선
주제 : 헨드릭표류
내용 :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의 제주도 표류(1653년) 350주년을 맞아 개관하게 되었다. 이 상선 안에는 하멜 일행이 제주도까지 떠내려 온 과정과 국내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 및 항해 도구 등이 전시되고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마라도진지동굴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
내용 : 우리나라의 끝이자 시작인곳. 가파른 절벽과 기암. 남대문이라 불리우는 해식터널 해식동굴이 마라도의 손꼽히는 경승지이며 1시간 30분 정도면 이 섬의 아름다움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7 2007년>





제목 : 김만덕초상화
주제 : 김만덕의녀모충사
내용 : 김만덕 할머니의 묘탑은 정조 때 제주의 큰 흉년이 들었을 때 장사로 모은 돈으로 육지에서 쌀을 들여와 제주 백성을 굶주름에서 구해낸 할머니의 숭고한 마음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발췌 : 즐거운제주 P55 2007년>





제목 : 군산진지동굴입구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 발췌 :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성혈을 밟고 선 순사들
주제 : 삼성혈순사
내용 : 1910년 한일합방이 되고 그해 10월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이래 1914년 일본은 조선의 토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하였는데 제주는 그 처음 표본지역이 되었다. 이 사진은 그러니까 당시 일제의 관헌들에 의해 찍어진 것인 듯하다. 1915년말 우도 가파도를 제외한 제주 전지역이 측량 완료 되고 1916년 1월 4일에는 토지 소유자와 지적도가 고시된다.





제목 : 삼성굴의 조사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삼성굴
내용 : 일제 제복의 사내들이 당시로서는 시내 외곽에 위치산 삼성혈을 조사하고 있다. 제복을 입고 칼을 찬 세 순사가 각기 세 혈의 입구를 밟고 서 있다.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함으로도 보이지미나 그 보다 이렇듯 숨구멍을 틀어막겠다는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제목 : 모충사만덕관
주제 : 김만덕사당
내용 : 제주도민들의 성금으로 사라봉 공원 내에 세워진 모충사는 조국독립을 위해 싸우다가 순직한 열사와 의녀 김만덕 할머니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발췌 : 즐거운제주 P55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송악산진지동굴에서 외부로 바라본 전경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송악산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이곳은 현재 대장금 드라마 촬영지로도 유명한 장소이다.





제목 : 송악산진지동굴(우측)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송악산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 발췌 :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





제목 : 송악산진지동굴(좌측)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송악산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 발췌 :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알뜨르비행장비행기격납고(외부)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비행장
내용 : 송안산에서 모슬포 가는 길로 접어들면 오른쪽으로 너른 벌판에 나지막한 격납고가 눈에 들어 온다 돔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붕은 미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진흙으로 덮었다. 일본군의 자살공격기 조종사들이 훈련을 받은 곳으로 알려져있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3 2007년>





제목 : 알뜨르비행장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비행장
내용 : 송안산에서 모슬포 가는 길로 접어들면 오른쪽으로 너른 벌판에 나지막한 격납고가 눈에 들어 온다 돔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붕은 미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진흙으로 덮었다. 일본군의 자살공격기 조종사들이 훈련을 받은 곳으로 알려져있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43 2007년>





제목 : 수월봉진지동굴
주제 : 진지동굴일제시대수월봉
내용 :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전쟁을 계속하기위해 소형의 특수잠수정이나 비행기 곡사포 등 군수물품을 숨겨둘 목적으로 제주도민을 강제로 부역시켜 만든 곳이다. 제주시 사라봉 명도암 성산일출봉 송악산 우도 등지에 있다. < 발췌 :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