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마제석부
주제 : 가죽토기제작손질
내용 : 양옆으로 뾰족하고 날을 만들어진 형태-가죽 등을 벗길 때 사용한 듯함. 전체형태는 원형으로 두께와 직경 비율이 1:1.5가량 된다. 조면암제 천석으로 가장자리 끝부분은 마모되어 있으며 양쪽 넓은 면은 매끈하게 갈라져 있다. 아마도 토기제작시 그릇 겉면을 손질하는 용도일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갖자리가 마모된 것은 공이와 같은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7 2007년>

제목 : 뜸단지
주제 : 단지뜸
내용 : 작은 단지 손바닥안에 쥘정도. 민간요법인 뜸을 뜨는 데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12 2007년>

제목 : 따비2
주제 : 쌍따비웨따비가로대
내용 : 제주도 따비는 쌍따비와 웨따비 두 종류가 있었는데 쌍따비는 제주도 동쪽에 그리고 웨따비는 이 마을을 비롯한 제주도 서쪽에서 전승해왔다. 가로대를 발로 밟아 날 끝은 땅에 박아 뒤쳐서 땅을 일구는 도구이다.

주제 : 가죽토기제작손질
내용 : 양옆으로 뾰족하고 날을 만들어진 형태-가죽 등을 벗길 때 사용한 듯함. 전체형태는 원형으로 두께와 직경 비율이 1:1.5가량 된다. 조면암제 천석으로 가장자리 끝부분은 마모되어 있으며 양쪽 넓은 면은 매끈하게 갈라져 있다. 아마도 토기제작시 그릇 겉면을 손질하는 용도일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갖자리가 마모된 것은 공이와 같은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7 2007년>
제목 : 뜸단지
주제 : 단지뜸
내용 : 작은 단지 손바닥안에 쥘정도. 민간요법인 뜸을 뜨는 데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12 2007년>
제목 : 따비2
주제 : 쌍따비웨따비가로대
내용 : 제주도 따비는 쌍따비와 웨따비 두 종류가 있었는데 쌍따비는 제주도 동쪽에 그리고 웨따비는 이 마을을 비롯한 제주도 서쪽에서 전승해왔다. 가로대를 발로 밟아 날 끝은 땅에 박아 뒤쳐서 땅을 일구는 도구이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다리미, 다듬이방망이, 놋쟁반사진 (0) | 2022.09.06 |
---|---|
제주도 사진/정보 - , 돌끌, 도래송곳, 덩드렁마께(망치형)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멸치젓단지, 말재갈, 말안장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별잔, 번자귀(손자귀), 번자귀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사각등잔, 빗첩, 불무집게사진 (0) | 2022.09.06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