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별잔
주제 : 굿용구무구
내용 : 심방들이 굿을 할 때 사용하던 무구의 일종 병의 치료 운수의 대통 등 굿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형식으로 의례를 치루고 난 후 신의 뜻을 알기 위해 점을 쳤다. 그때 천문과 함께 상잔에 담아 던졌던 도구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8 2007년>

제목 : 번자귀(손자귀)
주제 : 연장목제품자귀
내용 : 목제품을 만들 때 앉은 채 찍어 깎아내는 가로날의 연장이다. 서서 깎는 선자귀보다 작은 것으로 재떨이 함박 나막신 등 비교적 작은 목제품을 만들 때 쓰는 자귀다. 손잡이와 번자귀의 머리가 한 몸으로 이뤄진 ‘귓가시낭’(구지뽕나무)에 날을 박아 만들었다. 이 마을 오기남(1916년)씨가 쓰던 것이다.

제목 : 번자귀
주제 : 연장목제품자귀
내용 : 목제품을 만들 때 앉은 채 찍어 깎아내는 가로날의 연장이다. 서서 깎는 선자귀보다 작은 것으로 재떨이 함박 나막신 등 비교적 작은 목제품을 만들 때 쓰는 자귀다. 손잡이와 번자귀의 머리가 한 몸으로 이뤄진 ‘귓가시낭’(구지뽕나무)에 날을 박아 만들었다. 이 마을 오기남(1916년)씨가 쓰던 것이다.

주제 : 굿용구무구
내용 : 심방들이 굿을 할 때 사용하던 무구의 일종 병의 치료 운수의 대통 등 굿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형식으로 의례를 치루고 난 후 신의 뜻을 알기 위해 점을 쳤다. 그때 천문과 함께 상잔에 담아 던졌던 도구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8 2007년>
제목 : 번자귀(손자귀)
주제 : 연장목제품자귀
내용 : 목제품을 만들 때 앉은 채 찍어 깎아내는 가로날의 연장이다. 서서 깎는 선자귀보다 작은 것으로 재떨이 함박 나막신 등 비교적 작은 목제품을 만들 때 쓰는 자귀다. 손잡이와 번자귀의 머리가 한 몸으로 이뤄진 ‘귓가시낭’(구지뽕나무)에 날을 박아 만들었다. 이 마을 오기남(1916년)씨가 쓰던 것이다.
제목 : 번자귀
주제 : 연장목제품자귀
내용 : 목제품을 만들 때 앉은 채 찍어 깎아내는 가로날의 연장이다. 서서 깎는 선자귀보다 작은 것으로 재떨이 함박 나막신 등 비교적 작은 목제품을 만들 때 쓰는 자귀다. 손잡이와 번자귀의 머리가 한 몸으로 이뤄진 ‘귓가시낭’(구지뽕나무)에 날을 박아 만들었다. 이 마을 오기남(1916년)씨가 쓰던 것이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마제석부, 뜸단지, 따비2사진 (0) | 2022.09.06 |
---|---|
제주도 사진/정보 - , 멸치젓단지, 말재갈, 말안장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사각등잔, 빗첩, 불무집게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세면기, 섭넓은호미, 화젓갈사진 (0) | 2022.09.06 |
제주도 사진/정보 - , 수평추, 쇠창, 쇠솥만들기사진 (0) | 2022.09.06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