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다끈개
주제 : 다끈개
내용 : 옛 수근동 갯가에는 해안선이 전체적으로 완만하여 포구를 만들만한 곳이 없었다. 그래서 수근동 사람들은 정으로 연안의 넙빌레 라는 바닥돌을 쪼아 닦아 지금의 포구를 만들었다. 그래서 이 포구를 두고 다끈개 라고 한다. <발췌 : 문화유적분포지도 P77 1998년>

제목 : 별방진성(내부)
주제 : 별방진성
내용 : 별방진성 성벽내부의 모습이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2390자이고 높이는 7자였다. 중종 5년(1510)에 장림 목사가 이 땅이 우도로 왜선이 가까이 대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성을 쌓고 김녕 방호소를 이 곳으로 옮기어 별방이라 이름하였다. 북성에 대변청이 있고 중앙에는 객사 별창 군기고가 있었다. <발췌 :문화유적분포지도 P78 1998년>

제목 : 별방진성과 한개창
주제 : 별방진성한개창
내용 : 별방진성 위에서 바라본 한개창의 모습이다. 한은 크다의 의미를 갖는 말이니 한개창은 큰 포구라는 말이다. 탐라순력도에는 하도 마을의 옛 이름 별방을 따라 별방포라 적고 있다. 그렇다고 한개창이 드넓은 것만은 아니다. 바람을 막아주는 코지(곶부리)와 여 선식충을 막아주는 민물 그리고 적당한 물깊이 등 여러가지 조건이 뛰어난 편이다. 포구는 좌측에 한개창코지와 우측에 있는 바윗돌을 의지 삼아 그 안에 포근히 자리했다. 또 한개창코지 앞 족은소여는 조간대 중층 높이에 자리하기에 북풍을 막아준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57 19980년>

주제 : 다끈개
내용 : 옛 수근동 갯가에는 해안선이 전체적으로 완만하여 포구를 만들만한 곳이 없었다. 그래서 수근동 사람들은 정으로 연안의 넙빌레 라는 바닥돌을 쪼아 닦아 지금의 포구를 만들었다. 그래서 이 포구를 두고 다끈개 라고 한다. <발췌 : 문화유적분포지도 P77 1998년>
제목 : 별방진성(내부)
주제 : 별방진성
내용 : 별방진성 성벽내부의 모습이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2390자이고 높이는 7자였다. 중종 5년(1510)에 장림 목사가 이 땅이 우도로 왜선이 가까이 대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성을 쌓고 김녕 방호소를 이 곳으로 옮기어 별방이라 이름하였다. 북성에 대변청이 있고 중앙에는 객사 별창 군기고가 있었다. <발췌 :문화유적분포지도 P78 1998년>
제목 : 별방진성과 한개창
주제 : 별방진성한개창
내용 : 별방진성 위에서 바라본 한개창의 모습이다. 한은 크다의 의미를 갖는 말이니 한개창은 큰 포구라는 말이다. 탐라순력도에는 하도 마을의 옛 이름 별방을 따라 별방포라 적고 있다. 그렇다고 한개창이 드넓은 것만은 아니다. 바람을 막아주는 코지(곶부리)와 여 선식충을 막아주는 민물 그리고 적당한 물깊이 등 여러가지 조건이 뛰어난 편이다. 포구는 좌측에 한개창코지와 우측에 있는 바윗돌을 의지 삼아 그 안에 포근히 자리했다. 또 한개창코지 앞 족은소여는 조간대 중층 높이에 자리하기에 북풍을 막아준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57 19980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현사동 남당(내부), 빙떡 (소 양념하기), 빙떡 (야채썰기)사진 (0) | 2022.09.08 |
---|---|
제주도 사진/정보 - , 빙떡 (소 넣기), 빙떡 (무 삶기), 빙떡 (무 썰기)사진 (0) | 2022.09.08 |
제주도 사진/정보 - , 갈점벵이, 갈적삼, 갈저고리사진 (0) | 2022.09.08 |
제주도 사진/정보 - , 광목적삼, 공단저고리, 갈중이적삼사진 (0) | 2022.09.08 |
제주도 사진/정보 - , 남자바지, 굴중이, 광목쥐색바지사진 (0) | 2022.09.07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