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탕건(겯기)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79 1994년>

제목 : 귀덕리도대불
주제 : 귀덕리도대불등대돛대불
내용 : 귀덕리 속칭 진질개라는 포구에 위치하는 옛 등대이다. 1930년경에 축조되었으며 형태는 원통형이다. 현무암으로 쌓았으며 높이는 256cm이다. 도대불의 등화는 호롱불을 이용하였는데 등화담당은 선창 가까이 거주하면서 일정한 생업이 없는 노인들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였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06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배방선(송별잔나눔)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배방선은 영등신을 배에 태워 본국으로 치송하는 제차이다. 먼저 송별잔 나눔 이라해서 여러 신들이 송별의 술잔을 나누는 절차를 한다. 심방은 사설을 하고 소미는 닭다리에 술을 적셔 제장 여기저기에 뿌린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79 1994년>
제목 : 귀덕리도대불
주제 : 귀덕리도대불등대돛대불
내용 : 귀덕리 속칭 진질개라는 포구에 위치하는 옛 등대이다. 1930년경에 축조되었으며 형태는 원통형이다. 현무암으로 쌓았으며 높이는 256cm이다. 도대불의 등화는 호롱불을 이용하였는데 등화담당은 선창 가까이 거주하면서 일정한 생업이 없는 노인들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였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06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배방선(송별잔나눔)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배방선은 영등신을 배에 태워 본국으로 치송하는 제차이다. 먼저 송별잔 나눔 이라해서 여러 신들이 송별의 술잔을 나누는 절차를 한다. 심방은 사설을 하고 소미는 닭다리에 술을 적셔 제장 여기저기에 뿌린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영등송별제씨점3, 영등송별제씨점2, 영등송별제씨드림7사진 (0) | 2022.09.09 |
---|---|
제주도 사진/정보 - , 천제연폭포전설, 용연전설, 범섬전설사진 (0) | 2022.09.09 |
제주도 사진/정보 - , 포제(사배), 감귤잼 (감귤잼마무리하기), 혼인지전설(동굴)사진 (0) | 2022.09.09 |
제주도 사진/정보 - , 포제(폐백올림), 포제(향 올림), 포제(헌작)사진 (0) | 2022.09.09 |
제주도 사진/정보 - , 들불놓기, 옹포리방사탑, 포제(음복)사진 (0) | 2022.09.09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