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무악기치는법2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무악기(巫樂器) 중 북 은 소미(小巫)가 앉아서 대나무로 만든 채롱위에 놓고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발췌 : 표선민속촌>

제목 : 무악기(배치)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사진의 좌로부터 북 설쉐 징의 순서이다. 소미(小巫)가 앉아서 심방의 춤 박자를 맞출때 쓰이는 무악기(巫樂器)이다. 북은 높이 32cm 정도의 북통 양면에 쇠가죽을 붙인 양면북으로 북면의 직경은 30~35cm정도이다.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설쉐는 놋쇠로 만든 밥그릇 모양의 악기이다. 직경이 15cm 깊이 6cm 정도로 소미(小巫)가 앉아서 양손에 채를 들고 친다. 징은 놋쇠로 만든 둥근 대야모양의 악기이다. 대양 이라고도하며 직경 32cm 깊이 9cm 정도이다. <발췌 : 표선민속촌>

제목 : 무악기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무악기중 북과 설쇠의 사진이다. 북은 높이 32cm 정도의 북통 양면에 쇠가죽을 붙인 양면북으로 북면의 직경은 30~35cm정도이다.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설쉐는 놋쇠로 만든 밥그릇 모양의 악기이다. 직경이 15cm 깊이 6cm 정도로 소미(小巫)가 앉아서 양손에 채를 들고 친다. <발췌 : 표선민속촌>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무악기(巫樂器) 중 북 은 소미(小巫)가 앉아서 대나무로 만든 채롱위에 놓고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발췌 : 표선민속촌>
제목 : 무악기(배치)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사진의 좌로부터 북 설쉐 징의 순서이다. 소미(小巫)가 앉아서 심방의 춤 박자를 맞출때 쓰이는 무악기(巫樂器)이다. 북은 높이 32cm 정도의 북통 양면에 쇠가죽을 붙인 양면북으로 북면의 직경은 30~35cm정도이다.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설쉐는 놋쇠로 만든 밥그릇 모양의 악기이다. 직경이 15cm 깊이 6cm 정도로 소미(小巫)가 앉아서 양손에 채를 들고 친다. 징은 놋쇠로 만든 둥근 대야모양의 악기이다. 대양 이라고도하며 직경 32cm 깊이 9cm 정도이다. <발췌 : 표선민속촌>
제목 : 무악기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무악기중 북과 설쇠의 사진이다. 북은 높이 32cm 정도의 북통 양면에 쇠가죽을 붙인 양면북으로 북면의 직경은 30~35cm정도이다. 북채를 양손에 들어 오른쪽 면만을 친다. 설쉐는 놋쇠로 만든 밥그릇 모양의 악기이다. 직경이 15cm 깊이 6cm 정도로 소미(小巫)가 앉아서 양손에 채를 들고 친다. <발췌 : 표선민속촌>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양태작업(짜는과정), 고소리술 재료 (누룩), 고소리술사진 (0) | 2022.09.10 |
---|---|
제주도 사진/정보 - , 제장신 위패, 영등송별제 기메지전2, 영등송별제 기메지전사진 (0)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어선기원명단, 영등송별제(초감제)3, 영등송별제(초감제)사진 (0)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영등송별제새도림, 영등송별제(초감제)2, 무악기치는법사진 (0)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영등송별제요왕맞이 (나까도전침)4, 영등송별제요왕맞이 (나까도전침)2,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다리놓기)사진 (0) | 2022.09.09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