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곰박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곰박
내용 : 뜨거운 물에 삶아낸 떡을 건지는 데 사용한다. 나무로 만든 국자처럼 생겼다. 둥글고 넓적하면서도 둘레가 오긋하다. 안에는 5~7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뜨거운 국물이 빠지기 쉽게 만들었다. 손잡이는 국자처럼 깊다. 나무는 소나무 솔피나무 등을 많이 이용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7 1996년>

제목 : 떡징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떡징
내용 : 떡을 찔 때 무쇠솥의 장간을 받치는 받침이다. 재료로 갈태의 줄기를 역거나 나무판자 억새의 줄기 댕댕이덩굴 등을 이용하여 둥글게 만든다. 바드랭이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9 1994년>

제목 : 놋양푼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놋양푼놋그릇
내용 : 일단 익힌 음식을 더운 물에 중탕해내기 위해 담아서 띄우는 그릇이다. 놋쇠로 만들고 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양푼처럼 생겼으나 크기가 물 두어대접 들만한 크기의 것을 반병두리라 한다. 놋으로 만든 그릇으로 음식물을 담아 두는 데 쓰는 넓고 큰 놋그릇이다.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곰박
내용 : 뜨거운 물에 삶아낸 떡을 건지는 데 사용한다. 나무로 만든 국자처럼 생겼다. 둥글고 넓적하면서도 둘레가 오긋하다. 안에는 5~7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뜨거운 국물이 빠지기 쉽게 만들었다. 손잡이는 국자처럼 깊다. 나무는 소나무 솔피나무 등을 많이 이용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7 1996년>
제목 : 떡징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떡징
내용 : 떡을 찔 때 무쇠솥의 장간을 받치는 받침이다. 재료로 갈태의 줄기를 역거나 나무판자 억새의 줄기 댕댕이덩굴 등을 이용하여 둥글게 만든다. 바드랭이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9 1994년>
제목 : 놋양푼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놋양푼놋그릇
내용 : 일단 익힌 음식을 더운 물에 중탕해내기 위해 담아서 띄우는 그릇이다. 놋쇠로 만들고 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양푼처럼 생겼으나 크기가 물 두어대접 들만한 크기의 것을 반병두리라 한다. 놋으로 만든 그릇으로 음식물을 담아 두는 데 쓰는 넓고 큰 놋그릇이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테왁닻과갈고리, 다래끼, 문어단지(황색)사진 (0) | 2022.09.10 |
---|---|
제주도 사진/정보 - , 동재솥, 떡돔베, 백중제(테우리코소)사진 (1)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송당당제(개별축원용제상), 영감놀이(모습), 영감놀이(영감청함)사진 (0)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자리물회 (자리 자르기), 오봉리방사탑, 자리물회 (자리손질)사진 (0) | 2022.09.10 |
제주도 사진/정보 - , 신흥리방사탑(간조)2, 신흥리방사탑(간조), 톨냉국재료사진 (0) | 2022.09.10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