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맷돌
주제 : 맷돌고래
내용 : 고레라고도 한다. 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안방(큰구들)
주제 : 의식주주생활내부공간큰구들
내용 : 제주에서는 온돌을 설치하지 않은 상방 고팡 등의 공간을 ‘방’이라 부르고 온돌이 된 공간을 ‘구들’이라고 부른다. 큰구들이라 부르는 것은 집안의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고팡이 옆에 있고 가장이 쓰는 방이기 때문이다. 주인부부가 거주하는 공간이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37 1996년>

제목 : 올래에서 바라본 초가
주제 : 의식주주생활민가의유형초가집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로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정구조 및 그 생활방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그 기본구조는 기둥 귀틀 보 보짓 내도리 중보 중마루 상마루 등 뼈대를 나무로 만든 후 주위 벽을 굵은 돌로 쌓아 두르고 띠로 지붕을 덮은 것이다. 벽은 흙을 발라 붙여 돌담을 단단히 하고 지붕은 띠로 덮은 후 직경 5㎝ 가량의 굵은 띠 밧줄로 바둑판 처럼 얽어 놓고 있다.이런 기본구조는 바람 많은 제주에서 견디게 하는 지혜로운 건축기술이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95 1996년>

주제 : 맷돌고래
내용 : 고레라고도 한다. 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안방(큰구들)
주제 : 의식주주생활내부공간큰구들
내용 : 제주에서는 온돌을 설치하지 않은 상방 고팡 등의 공간을 ‘방’이라 부르고 온돌이 된 공간을 ‘구들’이라고 부른다. 큰구들이라 부르는 것은 집안의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고팡이 옆에 있고 가장이 쓰는 방이기 때문이다. 주인부부가 거주하는 공간이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37 1996년>
제목 : 올래에서 바라본 초가
주제 : 의식주주생활민가의유형초가집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로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정구조 및 그 생활방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그 기본구조는 기둥 귀틀 보 보짓 내도리 중보 중마루 상마루 등 뼈대를 나무로 만든 후 주위 벽을 굵은 돌로 쌓아 두르고 띠로 지붕을 덮은 것이다. 벽은 흙을 발라 붙여 돌담을 단단히 하고 지붕은 띠로 덮은 후 직경 5㎝ 가량의 굵은 띠 밧줄로 바둑판 처럼 얽어 놓고 있다.이런 기본구조는 바람 많은 제주에서 견디게 하는 지혜로운 건축기술이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95 1996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도포, 일상복(여자), 고등어조림 재료사진 (0) | 2022.09.13 |
---|---|
제주도 사진/정보 - , 집줄놓기(뒤치기), 장독대(장항굽), 마루(상방)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바다밭, 등자, 굴레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총모자모자골, 갓일(말총), 재갈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갓친(갓끈), 탕건(서이기), 정자관겯기사진 (0) | 2022.09.13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