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맷돌(풀고레 옆면)
주제 : 맷돌고레정고레
내용 : 고레라고도 한다. 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맷돌(풀고레)
주제 : 맷돌고레정고레
내용 : 풀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보리통
주제 : 보리통몰방애
내용 : 몰방애에서 곡물을 찧을 때 무거운 웃돌에 짓눌려도 곡물이 깨어지지 않도록 물을 축였는데 이 때에 사용되는 물을 보관하거나 직접 곡물을 넣고 불리는 데 사용했다. 몰방애 주위에는 반드시 보리통이 있었으며 몰방애가 사라지면서 함께 사라졌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49 1998년>

주제 : 맷돌고레정고레
내용 : 고레라고도 한다. 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맷돌(풀고레)
주제 : 맷돌고레정고레
내용 : 풀고레는 일반적으로 두 명이 마주 앉아 돌리며 정고레는 고레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워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풀고레는 고레나 정고레와 구조는 비슷하나 물에 불린 곡물을 가는데 사용하던 것으로 아랫돌에는 액체 상태의 곡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주둥이가 나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84 2004년>
제목 : 보리통
주제 : 보리통몰방애
내용 : 몰방애에서 곡물을 찧을 때 무거운 웃돌에 짓눌려도 곡물이 깨어지지 않도록 물을 축였는데 이 때에 사용되는 물을 보관하거나 직접 곡물을 넣고 불리는 데 사용했다. 몰방애 주위에는 반드시 보리통이 있었으며 몰방애가 사라지면서 함께 사라졌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49 1998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저고리(민무늬), 일상복, 저고리사진 (0) | 2022.09.13 |
---|---|
제주도 사진/정보 - , 돗도고리, 돌확, 봉애기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돌세면기(사각형), 다듬잇돌, 돌방아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약절구, 남방애, 돌화리 옆면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돌뚜껑, 소줏돌, 약절구(둥근형)사진 (0) | 2022.09.13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