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돗도고리
주제 : 돗도구리돗통시먹이통돼지
내용 : 돗통시에서 기르는 돼지의 먹이통으로 사용되었던 돌그릇이다. 돼지가 밟아도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무거운 재료인 돌을 이용했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48 1998년>

제목 : 돌확
주제 : 돌확절구남방애
내용 : 부식물을 빻는 자그마한 절구이다. 남방애의 중앙에 박혀있던 소형 절구를 빼서 사용하거나 부식물을 빻는 데만 사용하려고 따로 만들었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69 1998년>

제목 : 봉애기
주제 : 봉애기지름틀기름틀봉애기
내용 : 봉애기의 여러 모습이다. 기름을 짜는 기구로 직사각형 모양이다. 판판한 자연석 가운데를 직경 5cm 내외로 둥그렇게 홈을 파고 그 원형 내부에 ‘십자형’ 방향으로 가느다란 선을 파서 구멍을 따라 착유된 기름이 흐르도록 되었다. 중앙의 둥그런 판 위에다 ‘참깨’ ‘유채씨’ ‘동방씨’ 등을 올려놓고 돌이나 나무 등으로 눌러서 기름을 짠다.
주제 : 돗도구리돗통시먹이통돼지
내용 : 돗통시에서 기르는 돼지의 먹이통으로 사용되었던 돌그릇이다. 돼지가 밟아도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무거운 재료인 돌을 이용했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48 1998년>
제목 : 돌확
주제 : 돌확절구남방애
내용 : 부식물을 빻는 자그마한 절구이다. 남방애의 중앙에 박혀있던 소형 절구를 빼서 사용하거나 부식물을 빻는 데만 사용하려고 따로 만들었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69 1998년>
제목 : 봉애기
주제 : 봉애기지름틀기름틀봉애기
내용 : 봉애기의 여러 모습이다. 기름을 짜는 기구로 직사각형 모양이다. 판판한 자연석 가운데를 직경 5cm 내외로 둥그렇게 홈을 파고 그 원형 내부에 ‘십자형’ 방향으로 가느다란 선을 파서 구멍을 따라 착유된 기름이 흐르도록 되었다. 중앙의 둥그런 판 위에다 ‘참깨’ ‘유채씨’ ‘동방씨’ 등을 올려놓고 돌이나 나무 등으로 눌러서 기름을 짠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눌, 장독대(장항굽)와 돌담, 문지방석사진 (0) | 2022.09.13 |
---|---|
제주도 사진/정보 - , 저고리(민무늬), 일상복, 저고리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맷돌(풀고레 옆면), 맷돌(풀고레), 보리통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돌세면기(사각형), 다듬잇돌, 돌방아사진 (0) | 2022.09.13 |
제주도 사진/정보 - , 약절구, 남방애, 돌화리 옆면사진 (0) | 2022.09.13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