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약도리(한쪽 어깨)
주제 : 식생활민구약도리
내용 : 약도리는 산에 오를 때 점심밥을 담아 가는 운반 도구로 하산할 때는 혹 산에서 잡은 사냥물이나 여러가지 채취한 물건을 담아 나를 때 사용했다. <발췌 :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P282 2004년>

제목 : 써레
주제 : 써레씨제서흐레버텅
내용 : 써레는 ‘발’이 붙은 ‘몸통’과 손잡이가 붙은 ‘채경’ ‘멍에’의 ‘벌레’에 연결하는 채경‘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ㅂ자형을 이루고 있다. 몸통은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소낭’(소나무)로 만들었으나 ‘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 등로 만들어 썼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53 2004년>

제목 : 따비
주제 : 따비쟁기쌍따비웨따비벤줄레
내용 : 제주의 따비는 ‘쌍따비’와 ‘웨따비’ 두 종류가 있다. 쌍따비는 손잡이에 발판을 두고 그 밑에 짧은 무클을 쌍으로 두어 따비날을 꽂아서 쓰는데 무거워서 들어 찍으면서 작업했다. 웨따비는 발로 밟아 찍어 내면서 일구었다. 웨따비는 양주머리 무클 발판 따비날로 구성되었다. 웨따비를 두고 ‘벤줄레’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P60 2002년>

주제 : 식생활민구약도리
내용 : 약도리는 산에 오를 때 점심밥을 담아 가는 운반 도구로 하산할 때는 혹 산에서 잡은 사냥물이나 여러가지 채취한 물건을 담아 나를 때 사용했다. <발췌 :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P282 2004년>
제목 : 써레
주제 : 써레씨제서흐레버텅
내용 : 써레는 ‘발’이 붙은 ‘몸통’과 손잡이가 붙은 ‘채경’ ‘멍에’의 ‘벌레’에 연결하는 채경‘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ㅂ자형을 이루고 있다. 몸통은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소낭’(소나무)로 만들었으나 ‘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 등로 만들어 썼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P53 2004년>
제목 : 따비
주제 : 따비쟁기쌍따비웨따비벤줄레
내용 : 제주의 따비는 ‘쌍따비’와 ‘웨따비’ 두 종류가 있다. 쌍따비는 손잡이에 발판을 두고 그 밑에 짧은 무클을 쌍으로 두어 따비날을 꽂아서 쓰는데 무거워서 들어 찍으면서 작업했다. 웨따비는 발로 밟아 찍어 내면서 일구었다. 웨따비는 양주머리 무클 발판 따비날로 구성되었다. 웨따비를 두고 ‘벤줄레’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P60 2002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지게, 테우리 코시, 허벅장재현모습사진 (0) | 2022.09.14 |
---|---|
제주도 사진/정보 - , 돌산태, 부엌(정지)과 살레, 빗창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질메(길마), 테우리고사(제배), 질구덕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정당벌립겯기, 씨부게기, 차롱사진 (0) | 2022.09.14 |
제주도 사진/정보 - , 큰눈, 작은눈(족은눈), 빗창(손목줄)사진 (0) | 2022.09.14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