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말총공예(망건짜기)
주제 : 말총공예망건
내용 : 갓을 쓸 때에 우선 머리에 두르는 것은 망건이다. 망건은 갓을 쓸 때에 머리털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이마로 두르는 너비 7cm쯤의 너부죽한 머리띠 모습으로 꾸며졌다. 이마로부터 머리 뒤로 두르고 나서 끈으로 졸라매게 되어 있다. 망건은 명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전래된 것으로 알려진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에 토착화한 다음엔 도리어 중국으로 역수출한 것으로 보인다. 1925년에는 제주에서만 망건을 한 해 동안 7백 12호에서 5만 9천 개나 생산했다니 조선조 초로 치올라간다면 상당한 수효를 결었으리라 짐작하기에 어렵지 않다.

제목 : 말총공예(양태짜기)
주제 : 말총공예양태
내용 : 대나무를 머리카락과 같이 가늘게 쪼개어 겯는데 결을 때는 지름이 양태만한 둥근 양태판을 써서 결으며 그 중심에 총모자만한 원을 비워둔다. 사진은 인간문화재로 지정된 제주여성이 양태짜는 모습이다.

주제 : 말총공예망건
내용 : 갓을 쓸 때에 우선 머리에 두르는 것은 망건이다. 망건은 갓을 쓸 때에 머리털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이마로 두르는 너비 7cm쯤의 너부죽한 머리띠 모습으로 꾸며졌다. 이마로부터 머리 뒤로 두르고 나서 끈으로 졸라매게 되어 있다. 망건은 명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전래된 것으로 알려진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에 토착화한 다음엔 도리어 중국으로 역수출한 것으로 보인다. 1925년에는 제주에서만 망건을 한 해 동안 7백 12호에서 5만 9천 개나 생산했다니 조선조 초로 치올라간다면 상당한 수효를 결었으리라 짐작하기에 어렵지 않다.
제목 : 말총공예(양태짜기)
주제 : 말총공예양태
내용 : 대나무를 머리카락과 같이 가늘게 쪼개어 겯는데 결을 때는 지름이 양태만한 둥근 양태판을 써서 결으며 그 중심에 총모자만한 원을 비워둔다. 사진은 인간문화재로 지정된 제주여성이 양태짜는 모습이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제주전통집기, 제주굿사진 (0) | 2022.08.16 |
---|---|
제주도 사진/정보 - , 허벅(물의 소중함 생명의 경건함을 상징), 남방애(제주대학교박물관에 소장)사진 (0) | 2022.08.16 |
제주도 사진/정보 - , 출륙금지(제주인의 출륙금지를 확인할 수 있는 조선왕조실록 기사), 말총공예(갓모자짜기)사진 (0) | 2022.08.16 |
제주도 사진/정보 - , 동자석(가슴에 손을 모아 경배하는 모습), 걸궁(현대 마을공동체의 축제로 계승된 걸궁)사진 (0) | 2022.08.16 |
제주도 사진/정보 - , 만장굴(용암선반), 동자석(여러모습의 동자석)사진 (0) | 2022.08.16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