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허벅(물의 소중함 생명의 경건함을 상징)
주제 : 허벅해녀민구
내용 : 허벅은 물을 긷는 용기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인문적 배경에서 발생된 특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물을 가득 담은 채 운반하기 위해서 배는 부르고 목은 좁게 만들어졌다. 다른 지방에서는 물동이가 머리에 얹어 운반하기 좋게 바닥이 넓고 평평한 형태인데 비해 허벅은 물구적이라는 대바구니에 넣어 등에 지고 다니기 좋게 고안되었다. 부리 또한 손을 대어 들어올릴 정도로 좁다.


제목 : 남방애(제주대학교박물관에 소장)
주제 : 남방애민구
내용 : 남방애는 톱 자귀 끌 망치 등 연장을 사용하여 지름이 한 아름되는 통나무를 베어내어 1m 이상의 크기로 토막을 낸 다음 반으로 쪼개어 만든다. 쪼개지면 외부를 잘 다듬으면서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온다. 마지막 끝에서 면을 만들고 받침이 사각이 되도록 다듬는다. 받침 사각면 밑이 윗면보다 약간 넓게 만들어 넘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한다. 안쪽은 홈을 둥글게 파내려간다. 테두리는 10cm 내외로 면을 만들고 밑바닥 중심은 둥글게 파낸다. 이때 끝까지 파내는데 구멍이 나기도 한다. 여기에 제주돌인 다공질 현무암으로 만든 돌확을 박아 넣는다. 이 돌확에 곡물을 넣어 절구공이로 찧게 만들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