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배의 땅 제주도
주제 : 유배유배지제주도
내용 : 조선 중기 이후 당쟁이 격화되면서 변경이나 내륙으로의 유배 대신 도배(島配)가 격증하면서 제주도는 당대 일급의 유배지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해서 유명한 선비들이 대거 유배되면서 독특한 제주유배문화가 형성되었다. 제주도의 지정학적 특징과 당쟁이라는 조선조의 정치적상황이 결부되어 만들어진 유배는 제주도와 제주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부분이다.


제목 : 월령선인장군락
주제 : 월령선인장선인장
내용 : 선인장이라고 하면 뜨거운 사막을 연상하게 되는데 사막에 자생하는 것 외에도 종류가 다양하다. 대부분의 선인장은 잎 대신에 가시가 나 있으며 줄기는 둥근모양 원통모양 등 보통 식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조직 내에 많은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오랜 가뭄도 잘 견딜 수 있다. 선인장 가시는 사막에서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퇴화되어 생긴 것으로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선인장 군락은 북제주군 월령리의 해안 바위틈과 마을 안에 있는 울타리 형태의 잡석이 쌓여 있는 곳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선인장이 쿠로시오 난류를 타고 열대지방으로부터 밀려와 야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 주민들은 그 형태가 손바닥과 같다하여 “손바닥선인장”이라 부른다. 예로부터 마을 주민들이 쥐나 뱀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마을 돌담에 옮겨 심어 월령리 마을 전체에 퍼져 있다. 월령리의 선인장 군락은 선인장의 자생상태를 잘 보여 주고 있는 국내 유일의 야생군락으로 분포상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민간약으로 쓰이거나 해로운 짐승의 침입을 막기 위해 심어 놓는 등 주민들의 유용식물로 민속적 가치가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