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바지팽
주제 : 받이병오지그릇
내용 : `받이 병` 이라는 제주어다. `고소리좃` 으로 떨어지는 술을 받는 두 되들이 오지그릇이다. 물을 길어 나르는 허벅에 비하여 목이 좁다. 고소리좃에 딱 들어맞게 만든다.

제목 : 망테기
주제 : 망테기멕고리멱동구미망텡이
내용 : 망텡이 멕고리 창멕 맥 멱둥구미 망테기 라고도 한다. 탈곡해 들인 곡식 등을 멍석에 넣어 말릴 때나 상방에 보관할 때 곡식을 담아 옮기거나 보관하는 데 썼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도록 산듸짚 등으로 만들어 썼다. 습기에 약한 짚으로 만들어진 것이었기에 오늘날은 거의 사라져버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4 2007년>

제목 : 멍에및한줄
주제 : 축력도구솜비줄
내용 : 정의:`멍에 및 한줄`은 소의 축력(畜力)을 이용하기 위해 소의 목에 얹는 도구를 가리킨다. 한줄은 달리 솜비줄이라고도 한다. 내용:멍에는 가벼운 나무로 만들어 사용했다. 그리고 목에서 벗어지지 않도록 하기위해 `집게`를 붙여 소의 목에 감았다. 한줄에는 질긴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비슷한 것:`한줄`에 연결된 오리목에 `쟁기`를 연결하여 밭갈이를 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6 2007년>

주제 : 받이병오지그릇
내용 : `받이 병` 이라는 제주어다. `고소리좃` 으로 떨어지는 술을 받는 두 되들이 오지그릇이다. 물을 길어 나르는 허벅에 비하여 목이 좁다. 고소리좃에 딱 들어맞게 만든다.
제목 : 망테기
주제 : 망테기멕고리멱동구미망텡이
내용 : 망텡이 멕고리 창멕 맥 멱둥구미 망테기 라고도 한다. 탈곡해 들인 곡식 등을 멍석에 넣어 말릴 때나 상방에 보관할 때 곡식을 담아 옮기거나 보관하는 데 썼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도록 산듸짚 등으로 만들어 썼다. 습기에 약한 짚으로 만들어진 것이었기에 오늘날은 거의 사라져버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4 2007년>
제목 : 멍에및한줄
주제 : 축력도구솜비줄
내용 : 정의:`멍에 및 한줄`은 소의 축력(畜力)을 이용하기 위해 소의 목에 얹는 도구를 가리킨다. 한줄은 달리 솜비줄이라고도 한다. 내용:멍에는 가벼운 나무로 만들어 사용했다. 그리고 목에서 벗어지지 않도록 하기위해 `집게`를 붙여 소의 목에 감았다. 한줄에는 질긴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비슷한 것:`한줄`에 연결된 오리목에 `쟁기`를 연결하여 밭갈이를 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6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대나무소쿠리만들기, 모자골, 망건골사진 (0) | 2022.08.22 |
---|---|
제주도 사진/정보 - , 빨래방망이, 떡도고리, 대패랭이골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산판, 보르는물레, 배수기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참빗, 연갑, 술춘이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성읍민속마을연자방아, 유기제기, 비양도가 보이는 옹포리 해안 갈매기 떼사진 (0) | 2022.08.22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