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고래공장과 범섬
주제 : 옛풍경생활모습일제식민지
내용 : 서귀포항 건너편에 일제식민지시대의 포경기지였던 고래공장의 모습이 보이고 그 너머에 고려시대 목호의 최후 토벌지였던 범섬이 앉아 있다. 모두가 침략을 겪었던 역사의 현장들이다. 서귀포항에서는 작은 배에 뱃놀이라도 떠나는 모양이다.





제목 : 고래공장(1060년대)
주제 : 옛풍경생활모습
내용 : 무동력선뒤로 고래공장 터가 보이고 패류화석총이 있는 곳으로 절벽에는 나무가 별로 없는 모습으로 지금과는 다른 옛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제목 : 감귤원 시찰
주제 : 옛풍경생활모습감귤
내용 : 1970년대의 초반 감귤에 대한 관심은 1970년 1월 27일에 열린 기증감귤모목수증에 대한 협의회에서 잘 나타난다. 당시 회의 참석자가 정용식 도지사를 비롯해 부지사와 도 담당 공무원 검찰청 검사장 대공분실장 교육감 세관장 농협도지부장 시장군수 감협 조합장 심지어 공화당 지구당의 사무국장까지 참가했다. 이는 단순한감귤만의 문제가 아닌 제주도의 경제적 발전방향과 제일교포와의 관계정립이라는 틀까지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대 분위기와 맞물려 감귤원을 둘러보는 인사들의 면면도 다양하다. 1970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광양벌의 학생체육대회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1965년 전도 학생 체육대회가 지금의 제주시청 북쪽 광양벌에서 열리고 있다. 마당의 선수들이 도열해 있고 스탠드엔 구경꾼들이 구름같이 모여있다. 대회 시작을 앞두고 긴장해 있는 모습들이다.





제목 : 관덕정 앞의 4·19 1주년 기념식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관덕정
내용 : 4·19 1주년 기념식이 관덕정 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검은 제복의 학생들이 도열해 앉아 있고 정면의 아치 옆에는 내빈들이 줄지어 앉아 있다. 4·19 혁명정신 청사에 빛내자. 피로써 세운 국가 단결하여 지켜가자 는 슬로건이 아치 기둥에 쓰여있다.





제목 : 공중에서 조감한 서귀포시 법환동
주제 : 서귀포옛풍경법환포구
내용 : 공중에서 내려다본 법환동의 포구 부근. 왼쪽에 새축항이 보이고 바다로 이어진 길과 반듯반듯한 지붕들이 정답다. 범섬 가까이 있는 이 마을은 고려 때 최영 장군의 병사가 목호를 치러 갈 때 숙영했던 장소로 지금도 <막숙>등의 지명이 전해온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천포 앞바다 격침 간첩선 전시
주제 : 간첩선삼천포
내용 : 1977년 5월 10일 북한은 소형 간첩선 2척을 삼천포 근해로 침투시키다가 국군에 발각되어 격정 중 섬멸되었다. 파손된 간첩선은 전국순회 전시되어 반공의식을 견고히 하는 현장학습물이 되었다. 1970년대 반공이념을 강화하기 위해 노획된 간첩선이 전 국민 홍보용으로 순회전시 되었다. 1970년대.





제목 : 산지항의 공사 장면
주제 : 서귀포옛풍경
내용 : 일제식민지시대인 1927년 산지항의 축항공사가 시작 되었다. 도루꼬 레일이 놓이고 방파제와 물양장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朝天 禾北포구에 이어 山地港이 제주의 연육수단으로 등장하게 되는 계기가 이때 이루어 진다.





제목 : 박정희 대통령 연두 순시
주제 : 박정희연두순시
내용 : 연두순시차 제주에 온 박정희 대통령은 `제주도는 축산과 감귤산업에 역점을 두되 고구마와 유채 증산은 시대조류에 떨어진 계획이니 더 이상 증산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제주실록』1969. 3. 7.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국 왕실 관광단의 내도
주제 : 제주부두옛풍경
내용 : 1958년 영국왕실 관광단이 제주에 왔다. 제주부두에서 상륙정으로 내리며 모두들 호기심어린 표정들이다. 이리호·평택호가 내륙간에 취항하던 시절 여기에 타고 있는 학생들이 관광단을 맞고 있다.





제목 : 싸우며 건설하는 해
주제 : 국토개발종합계획제주개발
내용 : 국토개발종합계획이 수립되면서 제주도에도 각종 개발이 시작되었다. 특히 제주도에 애정이 많았던 박정희 대통령은 제주도를 방문할 때마다 개발의 방법론까지 들어가며 제주개발에 애착을 표현했다. 사진속의 중산간개발이라는 휘호도 대통령이 직접 쓴 것이다. 1960년대.





제목 : 송악산 군사시설 반대 결의대회
주제 : 송악산군사기지비행장설치
내용 : 1988년 9월 26일. 모슬포 지역 송악산 일대 197만평에 군사기지 및 비행장 설치를 반대하는 결의대회가 주민 일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정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대대적으로 열렸다. 모슬포군사기지 설치 결사 반대대책위원회는 이날 대회가 끝난 후 가두행진을 벌였다. 1988.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일주도로의 포장공사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일제식민지시대에 뺏긴 도내 일주도로는 1960년대에 와서 비로소 포장된다. 자갈을 깔아 로울러로 다지고 그 위에 콜탈을 뿌리는 이 작업은 몹시 힘든 것이었다.





제목 : 이승만 박사와 밴프리트 미군 사령관의 내도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이승만 박사와 배프리트 미군 사령관 내외가 제주에 왔을때 관덕정에서 여학생들이 환영 꽃다발들을 드리고 있다. 세력자가 가는 곳에는 언제나 환영과 박수가 따르는 법이다.





제목 : 옛 서홍리의 어귀
주제 : 서귀포옛풍경
내용 : 서귀포 시가지로 드나들던 옛 서홍리의 남녘 어귀이다. 비석거리이기도 했던 이 길 양쪽으로 방사를 위한 둑과 소나무가 주욱 심어져 있었다. 아직 마을은 초가만 띄엄띄엄 엎드려 있는 한촌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제주~서귀간 횡단도로 개통
주제 : 횡단도로한라산
내용 : 5·16 쿠데타 이후에 제주의 가장 큰 변화를 불러온 것은 한라산 동녘 기슭을 관통하여 첫 번째 횡단도로가 빼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이로써 제주가 명실공히 1일 생활권이 되었다





제목 : 제1훈련소의 체육대회
주제 : 모슬포제1훈련소
내용 : 山房山이 멀리 보이는 것으로 보아 모슬포의 제1훈련소 자리가 틀림없다. 여기서 체육대회가 벌어져 있고 부대끼리 응원도 뜨겁다. 주위에 천막들이 여러 개 처져 있는 것도 보인다.





제목 : 제1훈련소 시절의 숙영지
주제 : 상효서귀포한라산
내용 : 한라산의 모습으로 미뤄 지금의 서귀포시 상효동 산간쯤으로 보인다. 산 기슭에 간이건물인 막사들이 보이고 그쪽을 향하여 한 무리의 군인들이 걸어가고 있다. 전쟁은 늘 자연을 황량하게 하는 것인지 모른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초기 제주공항의 모습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어떤 귀빈이 온 것일까. <제주 관1호> 차에 비행기에서 내린 귀빈이 옮겨 타 있다. 꼬리에 태극기가 선명한 대한항공공사의 여객기 관광호텔로 가는 버스도 아주 비행기 가까이까지 다가가 있다. 학생과 환영객들이 박수를 치며 맞고 있다.





제목 : 지금 오현단 부근의 제주시
주제 : 제주성지옛모습
내용 : 옛날 <소래기동산:과거 제주 영락교회 자리> 쪽에서 제주성의 동남단 단애를 원경으로 찍은 것이다. 산지천 상류의 험준했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이 내의 중심에는 낮은 안경교가 놓여 있는 게 보인다. 지금은 완전히 시가지화한 이 일대는 변화의 무상함을 잘 말해주고 있다.





제목 : 제주도청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지금 제주시청 본관으로 바뀌어 있는 과거의 도청. 여기는 1952년부터 신제주의 현청사로 옮겨오던 1980년까지 28년간 도청으로 사용되어 왔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추자도의 어부들
주제 : 추자도섬추자섬
내용 : 추자도을 배경으로 돛배 한 척이 한가로이 수면위에 떠 있다. 남자가 두 사람 뿐이고 대부분이 여자이며 물구덕과 태왁들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섬으로 물질을 나가거나 나갔다가 들어오는 모습인 것 같다. 여자들은 트레머리 남자들은 상투를 틀고있다.





제목 : 최정숙여사의 5·16 민족상 수상 환영
주제 : 5·16민족상최정숙
내용 : 5·16민족상을 수상하고 돌아온 최정숙 여사를 정우식지사 등 도내 유지들이 공항으로 나가 맞았다. 화환을 목에 건 그녀에게 정우식지사와 학생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제주 교육계의 기라성 같은 인사들이 뒤따르고 있다.





제목 : 초단파 장거리전화시설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
내용 : 높직한 첨탑과 부챗살 같이 펴진 두 개의 전파 수신 장치가 눈길을 끈다. 현재의 한국통신 자리에서도 마찬가지 한라산의 능선은 병풍처럼 둘려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파견군 본부
주제 : 4.3사건진압정책
내용 : 제주 4·3사건 초기 제주에는 국방경비대 9연대가 주둔했다가 이승만 정부의 강력한 진압정책에 따라 1949년 2연대로 교체된다. 1948년 당시 9연대의 서귀포 파견 부대 앞의 모습이다. 말 탄 이는 이수복 대위로 군복에 박혀있는 9연대의 마크가 선명하다. 1948.





제목 : 테우와 돛배
주제 : 테우떼배
내용 : 어로수단인 테우와 돛배가 만조의 연안에 한가로이 떠 쉬고 있다. 연안 자갈돌들로 보아 추자의 신양리쯤으로 추정된다. 식민지시대가 되면서 일본의 잠수기선들이 우리 연안에 자주 출몰했던 것으로 미뤄 이런 열악한 수단을 역이용했을 수도 있다.





제목 : 추자도의 테우와 배들
주제 : 테우떼배
내용 : 추자도 해안 바닥에 테우와 어선들이 세워져있다. 일제의 관헌들로 보이는 제복의 사내들이 서 있는 모습들로 보아 이 사진 역시 조사 과정에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 포구는 인공이 가해지지 않은 천연 조건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PATA 대표단의 제주 관광
주제 : 애기구덕구덕
내용 : PATA 대표단으로 제주 관광을 온 외국인들이 애기구덕 안에 평화롭게 잠들어 있는 아기를 보고 신기한 표정들이다. 이 노인네들이 저마다 카메라를 들이대고 있다.





제목 : 현충일
주제 : 추모탑6월6일
내용 : 6월 6일 현충일은 애국선열과 국군장병들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된 날로 각 지역에는 현충묘지 내에 추모탑이 있었다. 각 기관장들과 학생들이 모여 행사를 하였는데 1960년대까지만 해도 떡과 제주(祭酒) 등을 마련 제를 지낸후 음복의 형식으로 참석자들이 빵 한쪽씩이라도 나누어 먹었다. 지금은 현충일이 단지 공휴일로 노는 날로 변질되어 버렸다. 1970년대.





제목 : 향교의 옛 모습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향교
내용 : 대정향교는 조선 1408년(태종8년)에 대정성내에 세워졌다가 1653년(효종4) 이원진 목사 재임시 터가 좁다 하여 지금의 장소로 이건하였다. 단산 자락에 자리한 이 향교에는 유교의 도덕률이라 할 삼강(三綱)을 뜻하는 소나무 3그루 오륜(五倫)을 상징한 팽나무 5그루가 심어졌다. 중심에 대성전(大成展)이 있고 좌우는 서생들이 공부하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있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대정현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 서생들을 위하여 써 준 「의문당(倚門堂)」현판이 전해오는데 지금은 추사유물관에 전시중이다. 1950년대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