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와흘본향당(신목)
주제 : 와흘본향당당제와흘본향당본향당제무속신당당심방
내용 : 전형적인 신목형의 신당으로 노늘당 또는 와흘 한거리 하로산당이라 불린다. 좌정한 신은 소로소천국 열챗 아덜 산신또와 그의 부인인 서울 서정승의 따님애기 부부신을 모신당이다. 일년에 두차례 마을제가 행해지며 제일은 1월4일 14일 그리고 7월 14일이다.





제목 : 조노깃당
주제 : 무식제무속식신당당당제무속심방
내용 : 조노기궤라고 불리는 커다란 신목밑 동굴 안에 있어 외양적으로 중압감이 느껴질 정도로 웅장하다. 당신은 조노깃한집 로롬웃도와 새금상또심으로 부부신이 좌정하였다. 제일은 정월 13일2월 12일 동짓달 14일이다.





제목 : 소원빌기
주제 : 신당당제당무속소원빌기
내용 : 가신신앙으로 굿이 끝나고 소원을 빌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1권 P107 1993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천자위(내외천자또마누라)
주제 : 본풀이내왓당본풀이무속신당당내왓당무신도내왓당무신도
내용 : 내왓당 본풀이에 나오는 신들의 초상화로 내왓당 무신도라 한다. 제주 무속의 특징을 인상깊게 보여주는 내왓당 무신도는 제주 민중들의 신에 대한 관념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제목 : 중전위(중전대부인)
주제 : 본풀이내왓당본풀이무속신당당내왓당무신도내왓당무신도
내용 : 내왓당 본풀이에 나오는 신들의 초상화로 내왓당 무신도라 한다. 제주 무속의 특징을 인상깊게 보여주는 내왓당 무신도는 제주 민중들의 신에 대한 관념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첩인 상군위가 ?겨나 궁당으로 가게 되자 같이 떠남. 여신(女神)이며 상사위의 처 산육신 병을 달고 있음. 무당이 엑스타시를 위한 술과 약초 그리고 악귀를 물리 치는 물을 담음.





제목 : 원망위(어모라원망님)
주제 : 본풀이내왓당본풀이무속신당당내왓당무신도내왓당무신도
내용 : 내왓당 본풀이에 나오는 신들의 초상화로 내왓당 무신도라 한다. 제주 무속의 특징을 인상깊게 보여주는 내왓당 무신도는 제주 민중들의 신에 대한 관념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남신(男神)이며 한자뜻은 원통할 원 해결할 망 이다. 그림은 양반이 쓰는 흑립을 쓰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무구(징)
주제 : 무구무속신당당심방당제
내용 : 놋쇠로 만든 둥근 대야 모양의 악기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새개와 멜튼개
주제 : 돌그물원원담돌살갯담
내용 : 제주시 구좌읍 하도마을 해안도로를 가로지르는 도로변 가까이에 새개와 멜튼개가 자리해 있다. 그 뒷쪽으로 문주란 자생지로 유명한 토끼섬이 있다. 새개는 서쪽에 그리고 멜튼개는 그 동쪽에 있다. 새로 근래에야 축조했다고 하여 새개라 하고 멸치 떼들이 많이 몰려들어 잘 뜨는 개이기에 멜튼개라 한다. 이두개는 얼기설기 그 담을 축조했는데 전체적으로 2000여평은 족하다. 모래바닥위에 띄엄띄엄 돌멩이들이 보인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조랑말 모시적다마
주제 : 조랑말말제주마제주전통마모시적다마
내용 : 제주전통마인 조랑말 중에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목관아지
주제 : 목관아지입춘굿탐라국입춘굿놀이제주관아동헌홍화각애매헌귤림당청심당제주현
내용 : 목관아지는 탐라국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정치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대평리난드르일뤠당(입구)
주제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내용 : 난드르는 넓은 들판이라는 뜻의 대평리의 옛 지명이다. 당신은 닷방할망 닷밧 일뤠중저이며 제일은 매달 7일 17일이다. 마을을 떠나는 등의 대소사가 있을 때는 꼭 들러서 고하고 간다고 한다.





제목 : 도롱이
주제 : 의복옷도롱이우장괭이좁세기비
내용 : 좁세기 도롱이 괭이 우장 등으로 부르나 도롱이로 통용된다. 비오는 날 풀벨 때 마소를 돌보러갈 때 많이 사용되었다. 아무리 폭우가 쏟아져도 빗물이 스며들지 않는 특징이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성읍안할망당
주제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내용 : 성읍민속마을의 정의현청인 일괄헌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당신은 안할망 관청할망이고 마을의 본향당이다. 송사시험승진 등의 일이 있을시 찾는 이가 많다. 제일은 정월이고 택일도 한다.





제목 : 서홍동본향당(전경)
주제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내용 : 당신은 보름웃도와 지산국 그리고 고산국 두 여신이 있다. 이들 삼각관계에 얽힌 본풀이가 있다.





제목 : 보목동조노기당(전경)
주제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내용 : 서귀포시 보목동에 있는 ‘조노기당’의 전경이다. 신목 밑 동굴의 입구에 파란색 출입문이 있고 그 주변에는 돌담이 쌓여져 있다. ‘조노깃당’ 또는 ‘조녹잇당’이라고도 불리며 신당의 형태는 ‘수목형’이면서도 ‘동굴형’인 신당이다. `조노기궤’라고 불리는 커다란 ‘신목’ 밑 동굴 안에 있어 외양적으로 중압감이 느껴질 정도로 웅장하다. 당신은 ‘조노깃한집 로롬웃도’와 ‘새금상또심’으로 부부신이 좌정하였다. ‘제일’은 정월 13일 2월 12일 동짓달 14일이다. <발췌 : 제주도 본향당의 세력권 변천에 관한 연구 P29 1998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입춘굿초감제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굿초감제본굿무속신당당제심방
내용 : 입춘굿의 초감제는 신구세관이 갈리는 신구간이 지나고 새봄 맞이 준비를 하는 새철 드는 날에 옥황사제의 명을 받아 새로 부임하는 1만 8천 신들의 지상 강림을 기원하는 청신의례다. 그러므로 탐라국 입춘굿놀이의 초감제는 제주도 큰굿의 규모로 한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3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호장춤(씨하라비춤)4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호장춤씨하라비춤
내용 : 호장이 쟁기를 잡고 목우를 끌고 간다. 이는 탐라왕 시절부터 계승하는 친경적전의 유습이다. 그러나 입춘탈굿놀이마당에서는 거리굿에 등장하는 목우와 호장이 탈을 쓴 농부와 소탈을 뒤집어 쓴 소가 서로 얼르며 밭을 가는 춤으로 표현하고 있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7 2005년>





제목 : 하도리면수동본향당
주제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내용 : 면수동 본향당(할망당)은 여씨 할머님이 강진에서 중이대소 선소님을 거느리고 하도에 좌정하였고 각시당 요왕당 선앙당 달위당을 거는리는 여래불법 할마님이다. 재일은 정월 12 영등 2.12 시만국대제날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입춘탈굿놀이새탈춤2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새탈춤춤
내용 : 새춤은 새가 밭에 들어 곡식을 쪼아먹는 춤이다. 제주도의 입춘탈굿놀이에 남아있는 새춤은 밭을 부정하게 하는 사를 새로 형상화하여 이를 사농바치가 마사기총을 들고 쏘는 시늉을 하여 새를 쫓는 것으로 굿의 새도림을 마당의 놀이굿으로 변형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7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새탈춤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새탈춤춤
내용 : 새춤은 새가 밭에 들어 곡식을 쪼아먹는 춤이다. 제주도의 입춘탈굿놀이에 남아있는 새춤은 밭을 부정하게 하는 사를 새로 형상화하여 이를 사농바치가 마사기총을 들고 쏘는 시늉을 하여 새를 쫓는 것으로 굿의 새도림을 마당의 놀이굿으로 변형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7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사농바치춤3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사농바치춤
내용 : 제주도 입춘탈굿놀이의 사농바치 마당은 제장의 부정을 씨는 새도림을 형상화 한다는 면에서 제장의 부정을 쫓는 굿이다. 따라서 사농바치 마당은 벽사와 정화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마당이라 할 수 있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7 200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