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입춘탈굿놀이사랑춤3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사랑춤
내용 : 백장동티 성관계를 보여주는 춤이다. 백장동티란 잘못된 성관계로 인하여 생기는 임신 모르는 남자의 사생아를 출산하는 등의 사건을 동티로 표현한 것이다. 동티는 건드려선 안 될 땅을 파거나 돌을 치우거나 나무를 베었을 때 이를 관장하는 지신의 노여움으로 받는 재앙을 뜻한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8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사랑춤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사랑춤
내용 : 백장동티 성관계를 보여주는 춤이다. 백장동티란 잘못된 성관계로 인하여 생기는 임신 모르는 남자의 사생아를 출산하는 등의 사건을 동티로 표현한 것이다. 동티는 건드려선 안 될 땅을 파거나 돌을 치우거나 나무를 베었을 때 이를 관장하는 지신의 노여움으로 받는 재앙을 뜻한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8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사농바치춤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사농바치춤
내용 : 제주도 입춘탈굿놀이의 사농바치 마당은 제장의 부정을 씨는 새도림을 형상화 한다는 면에서 제장의 부정을 쫓는 굿이다. 따라서 사농바치 마당은 벽사와 정화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마당이라 할 수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입춘굿초감제3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굿초감제본굿무속신당당제심방
내용 : 입춘굿의 초감제는 신구세관이 갈리는 신구간이 지나고 새봄 맞이 준비를 하는 새철 드는 날에 옥황상제의 명을 받아 새로 부임하는 1만 8천 신들의 지상 강림을 기원하는 청신의례다. 그러므로 탐라국 입춘굿놀이의 초감제는 제주도 큰굿의 규모로 한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3 2005년>





제목 : 입춘굿초감제2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굿초감제본굿무속신당당제심방
내용 : 입춘굿의 초감제는 신구세관이 갈리는 신구간이 지나고 새봄 맞이 준비를 하는 새철 드는 날에 옥황상제의 명을 받아 새로 부임하는 1만 8천 신들의 지상 강림을 기원하는 청신의례(請神儀禮)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3 2005년>





제목 : 입춘탈굿놀이호장춤(씨하라비춤)3
주제 : 탐라국입춘굿놀이입춘탈굿호장춤씨하라비춤
내용 : 호장이 쟁기를 잡고 목우를 끌고 간다. 이는 탐라왕 시절부터 계승하는 친경적전의 유습이다. 그러나 입춘탈굿놀이마당에서는 거리굿에 등장하는 목우와 호장이 탈을 쓴 농부와 소탈을 뒤집어 쓴 소가 서로 얼르며 밭을 가는 춤으로 표현하고 있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P.17 200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불도맞이수룩춤5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불도맞이수룩춤
내용 : 수룩춤은 제주도 큰굿의 불도맞이에서 아기 낳기를 간절히 비는 원불수룩제 즉 젯북제맞이굿에서 추는 기원무이다. 불도맞이 소제차인 원불수룩제를 수룩침이라 하는데 수룩은 수륙재에서 따온 말이지만 무속에서는 법당에 가서 부처님에게 원불수룩을 드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5 2005년>





제목 : 불도맞이수룩춤4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불도맞이수룩춤
내용 : 수룩춤은 제주도 큰굿의 불도맞이에서 아기 낳기를 간절히 비는 원불수룩제 즉 젯북제맞이굿에서 추는 기원무이다. 불도맞이 소제차인 원불수룩제를 수룩침이라 하는데 수룩은 수륙재에서 따온 말이지만 무속에서는 법당에 가서 부처님에게 원불수룩을 드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5 2005년>





제목 : 불도맞이수룩춤3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불도맞이수룩춤
내용 : 수룩춤은 제주도 큰굿의 불도맞이에서 아기 낳기를 간절히 비는 원불수룩제 즉 젯북제맞이굿에서 추는 기원무이다. 불도맞이 소제차인 원불수룩제를 수룩침이라 하는데 수룩은 수륙재에서 따온 말이지만 무속에서는 법당에 가서 부처님에게 원불수룩을 드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5 200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입춘굿새도림3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새도림
내용 : 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하늘에서 내려온 신들을 5리 밖에까지 가서 모셔오기 전에 굿판의 부정을 말끔히 씻는 것이 새도림이다. 소무가 동해 바다 은하 봉천수를 사발 그득 떠나가 물을 뿌리며 제장의 부정을 씻는 물에 의한 정화 의식이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4 2005년>





제목 : 입춘굿새도림2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새도림
내용 : 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하늘에서 내려온 신들을 5리 밖에까지 가서 모셔오기 전에 굿판의 부정을 말끔히 씻는 것이 새도림이다. 소무가 동해 바다 은하 봉천수를 사발 그득 떠나가 물을 뿌리며 제장의 부정을 씻는 물에 의한 정화 의식이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4 2005년>





제목 : 입춘굿새도림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새도림
내용 : 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하늘에서 내려온 신들을 5리 밖에까지 가서 모셔오기 전에 굿판의 부정을 말끔히 씻는 것이 새도림이다. 소무가 동해 바다 은하 봉천수를 사발 그득 떠나가 물을 뿌리며 제장의 부정을 씻는 물에 의한 정화 의식이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4 200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애기놀림굿2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애기놀림굿
내용 : 어린아기를 달래어 놀리면서 키우는 행위를 연극적으로 실연하는 것이다. 심방은 인형아기를 만들어 그것을 업어 짝짜꿍 죄암죄암하며 아기를 놀리고 또는 아기 구덕에 눕혀서 흔들며 잠재우는 여러 가지 아기 놀리는 행위를 실연하다.





제목 : 애기놀림굿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애기놀림굿
내용 : 어린아기를 달래어 놀리면서 키우는 행위를 연극적으로 실연하는 것이다. 심방은 인형아기를 만들어 그것을 업어 짝짜꿍 죄암죄암하며 아기를 놀리고 또는 아기 구덕에 눕혀서 흔들며 잠재우는 여러 가지 아기 놀리는 행위를 실연하다.





제목 : 입춘굿새도림4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새도림
내용 : 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하늘에서 내려온 신들을 5리 밖에까지 가서 모셔오기 전에 굿판의 부정을 말끔히 씻는 것이 새도림이다. 소무가 동해 바다 은하 봉천수를 사발 그득 떠나가 물을 뿌리며 제장의 부정을 씻는 물에 의한 정화 의식이다. <발췌 : 탐라국입춘굿놀이-새해 새날에 탐라왕이 목우 끌고 오시다- P14 200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불도맞이할망다리추낌6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불도맞이할망다리추낌
내용 : 불도맞이의 제차 중 삼승할망 질침에서 추는 춤의 하나다. 할망질침 굿은 거칠고 험한 가시밭길을 깨끗이 치워 닦는 행동무로 여러 가지 길의 모습을 연출한다. 그리고 길을 다 닦으면 하얀 광목천을 깔며 이 광목천은 삼신할머니가 오시는 길이며 할망도리라고 한다. 할망다리 추낌은 할머니가 오실 다리를 추키는 것이다. 다리를 추켜야 신 길이 된다. 그러므로 할망다리 추낌은 이 신길을 추킬 때 추는 춤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발전지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발전지(발지전)은 지전 여러 장에 기교를 가한 색지로 ?을 싸 놓은 것이다. 굿하는 재청에 진열하는 기메이다. 종이돈(지전)이라 한다.제주도에서심방이 굿하는 제청(굿하는 장소)의 제상주변에 창호지백지 또는 색종이를 오려 걸어놓은것을 기메지전이라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애기놀림굿4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애기놀림굿
내용 : 어린아기를 달래어 놀리면서 키우는 행위를 연극적으로 실연하는 것이다. 심방은 인형아기를 만들어 그것을 업어 짝짜꿍 죄암죄암하며 아기를 놀리고 또는 아기 구덕에 눕혀서 흔들며 잠재우는 여러 가지 아기 놀리는 행위를 실연하다.





제목 : 입춘굿새도림6
주제 : 무속신당당당제심방큰굿새도림
내용 : 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하늘에서 내려온 신들을 5리 밖에까지 가서 모셔오기 전에 굿판의 부정을 말끔히 씻는 것이 새도림이다. 소무가 동해 바다 은하 봉천수를 사발 그득 떠나가 물을 뿌리며 제장의 부정을 씻는 물에 의한 정화 의식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통기전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제상 옆에 걸어 등롱의 역할을 한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몸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몸기는 시왕의 몸을 상징하는 기메이다.(청한신의 신체를 뜻함)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마뒤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마뒤기(마둣기)는 쇠막기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소가 농사를 지어주는 중요한 동물이므로 신성시하여 소가 죽으면 큰 굿을 하였다. 소의 집(외양간)을 지키는 신을 뜻하는 기메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대통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대통기(번기)는 큰 굿을 할때 가운데 설치한다. 통기의 양어깨를 어신기라고 말한다. 큰 대 끝에 큰 통처럼 만든 기를 달아매는데 이것을 용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라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용모양의 대통기 대신에 평면으로 된 기를 세개 나란히 달아매는데 이를 월덕기라 한다. 큰 대는 신의하강로이자 신체를 뜻하며 신목의 형태를 집안에 설치한 것이라하며 인간의 형체를 본 떳다하니 신의 몸 즉 신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성주꽃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성주를 알리는 꽃으로 성주풀이는 새집을 지은이가 성주를 모시고 무사안녕을 비는 건축의례라 할만한 굿이다. 택일을 하고 심방을 빌어서 굿을 하는데 성주풀이는 선굿으로 이루어 진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살전지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감상기에다 발전지와 사람의 발모양으로 오려 붙인 것이다. 삼천전제석궁당클의 위패위치에 세워 신상으로 삼는다. 일만팔천신을 상징하는 기로 모든 굿에는 살전지가 들어간다. 제상 뒤 병풍에 걸어 놓는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본향차사기(채솟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시왕맞이 할때 사용하는 기로 질치기에서 사용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