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왕명(멩)감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시왕맞이 할 때 사용하는 기 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수레멜망악심꽃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어린아이의 영혼을 잡아가는 신인 구삼승할망의 꽃. 이 꽃으로 해서 아이들에게 병을 주고 잡아간다고 한다. 불도맞이 때에 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성주꽃2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성주를 알리는 꽃으로 성주풀이는 새 집을 지은이가 성주를 모시고 무사안녕을 비는 건축의례라 할만한 굿이다. 택일을 하고 심방을 빌어서 굿을 하는데 성주풀이는 선굿으로 이루어 진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감쓰는 가면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영감놀이를 할때 영감이 쓰는 가면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육고비육항열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심방집 당주상에 모시는 것으로 어머니의 속옷속을 통과하여 의형제를 맺는 과정을 상징하는 백지를 삼각의 여섯 매듭으로 접은 기메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우둑기(우돗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큰 대의 우축에 세우는 기인데 푸른 잎이 달린 대에 창호지로 만든 기를 달아 맨 것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마흔여덟모람장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마흔여덟 모람장은 노가단풍아기씨 궁안의 문을 상징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고리동반너눌지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고리동반은 고리동반떡의 너울지를 말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적배지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차사가 가지고 다니는 문서다. 심방이 영혼의 저승길을 치워 닦을 때인 질치기에서 등에 달아매고 차사의 신분을 상징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정의현성 객사
주제 : 정의현정의현성성읍민속마을성읍민속촌
내용 : 세종5년(1423) 정의현청을 성산읍 고산리에서 옮겨왔으며 1914년 군현제가 폐지될 때까지 현청 소재지였을 정도로 번창하는 마을이었다.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하여 제주지역 민속마을로 지정되었다. <발췌 : 성읍민속마을>





제목 : 칠원성군송낙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칠원성군의 신상으로 댓가지에 끼인 꼬깔이다. 불도맞이 때 칠원성군상위에 7개를 꽂아 칠월성군상의 위패 대신으로 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청너을지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초공맞이에서 노가단풍 자지명왕 아기씨가 궁안에서권재삼문을 바칠 때 쓰고 나오는 기메이다. 초공본풀이란 신불휘라 하여 신의 뿌리를 말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정의현성 객사(광채대문외부)
주제 : 정의현정의현성성읍민속마을성읍민속촌
내용 : 일자형의 광채의 바깥부분으로 객사에서 외부로 통하는 대문이 같이 있다. 광채는 주로 곡식이나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로 일자형의 모습이다. <발췌 : 성읍민속마을>





제목 : 철쭉기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산육신인 삼신할망의 지팡이에 매다는 것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제목 : 지전
주제 : 무속심방큰굿무구기메지전기메기전
내용 : 현금 대신으로 신에게 올리는 돈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20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정의현성 남문성벽윗면
주제 : 정의현정의현성성읍민속마을성읍민속촌
내용 : 정의현성 성벽 윗면의 모습이다. 성곽은 직경 2520척 (약770m) 크기의 귀죽인 네모꼴이며 그 중심은 객사 대문으로 되어 있다. 이 사진은 성읍민속마을 남쪽에 있는 정의현성 남문이다. 정의현성은 세종 5년(1423) 정의현청을 성산읍 고성리에서 이곳으로 옮긴 이래 1914년 군현제가 폐지 될 때까지 500여년 동안 현청 소재지였던 유서 깊은 곳으로 조선조 읍성의 기본 뼈대를 잘 보존하고 있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79 1998년>





제목 : 정의현성 객사(광채대문내부)
주제 : 정의현정의현성성읍민속마을성읍민속촌
내용 : 일자형의 광채의 안쪽부분으로 객사에서 외부로 통하는 대문이 같이 있으며 광채를 출입하는 문이 6개가 있다. 광채는 주로 곡식이나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로 일자형의 모습이다. <발췌 : 성읍민속마을>





제목 : 정의현성 객사(대문)
주제 : 정의현정의현성성읍민속마을성읍민속촌
내용 : 일자형의 광채의 바깥부분으로 객사에서 외부로 통하는 대문이 같이 있다. 광채는 주로 곡식이나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로 일자형의 모습이다. <발췌 : 성읍민속마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음사 지장전 실내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지장전
내용 : 관음사 지장전 실내의 모습이다.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71년 중창 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대웅전 실내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대웅전
내용 : 대웅전 실내의 모습이다.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71년 중창 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진입로(미륵부처님)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
내용 : 관음사 진입로에 양편에 있는 미륵부처님의 모습이다. 미륵부처님을 양옆에 끼고 경내를 따라 걸어오르는 비탈길에는 소나무들이 꿋꿋하게 서있다. 관음사는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68년 중창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음사 독성각 실내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독성각
내용 : 독성각 실내의 모습이다.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71년 중창 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라한전 실내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라한전
내용 : 라한전 실내의 모습이다.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71년 중창 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종각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종각
내용 : 이 건물은 종각이라고 한다. 종각에는 청동으로 주조한 종 쇠가죽으로 만든 북 구름을 나타내는 운판 바다의 고기를 나타내는 목어가 있다. 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시설이다. 북은 네 발 달린 짐승들을 제도하기 위한 시설이며 운판은 날아다니는 새들을 제도하기 위한 시설이고 목어는 바다의 생물들을 제도하기 위한 시설이다. 현재의 종각은 1948년 4·3사태 관계로 불타버린 것을 1975년 임덕희 불자님을 비롯한 신도님들의 성금으로 재건한 것이다. <발췌 : 관음사>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음사 지장전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지장전
내용 : 지장전의 모습이다. 제주시에 있는 산천단(山川壇) 근처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 23교구의 본사로 제주의 약 30여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1948년 4월 전소되었으나 1971년 중창 되었으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종루·산신각·불이문(不二門) 등이 있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대웅전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대웅전
내용 : 이 건물은 대웅전이라고 한다. 대웅전은 부처님께서 중생제도를 위하여 좌우보처보살과 천신들의 옹호를 받으면서 설법하는 법당이다. 현재의 대웅전은 1948년 4·3 사태 때에 불타버린 것을 1969년 관음사 스님과 신도님들이 힘을 모아 재건한 것이다. <발췌 : 관음사>





제목 : 관음사 산문
주제 : 민간신앙불교한라산조계종관음사산문
내용 : 관음사의 진입로 산문이다. 부처님께서 깨우치신 인생과 우주에 대한 진리통달이 일심(一心)의 도리를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의미와 이 세상 천지만물 모든 법이 한 마음의 작용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의미가 담겨있는 문이다. 이 일주문은 문대서행보살이 시주하여 1974년에 지은 것이다. <발췌 : 관음사>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