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행전
주제 : 바지헝겊
내용 : 바지를 간추리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다리에 감는 네모진 헝겊 한쪽에 끈을 달았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 2007년>

제목 : 통치마
주제 : 치마속옷
내용 : 정의:통치마는 섶을 내지 않고 보리 마대처럼 통으로 만든 치마를 가리킨다. 주로 속옷으로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모시로 만들었다. 허리에 끈을 내어 붙였다. 비슷한 것:통으로 만들지 않고 좌로 여미어 입도록 한 치마가 주로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75 2007년>

제목 : 탕건
주제 : 망건제작망건
내용 : 모양은 앞쪽이 낮고 뒤쪽은 높아 턱이 졌다. 사대부 계층에서 평상시 쓴 것으로 망건보다 늦게까지 보급되었다. 탕건의 재료로서 중국에서는 마포나 사(紗)를 이용했으나 조선에서는 말총을 사용하였다. 탕건의 재료는 예로부터 평안도의 정주 ·안주 호남의 완주 제주에서 생산되었다.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주제 : 바지헝겊
내용 : 바지를 간추리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다리에 감는 네모진 헝겊 한쪽에 끈을 달았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 2007년>
제목 : 통치마
주제 : 치마속옷
내용 : 정의:통치마는 섶을 내지 않고 보리 마대처럼 통으로 만든 치마를 가리킨다. 주로 속옷으로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모시로 만들었다. 허리에 끈을 내어 붙였다. 비슷한 것:통으로 만들지 않고 좌로 여미어 입도록 한 치마가 주로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75 2007년>
제목 : 탕건
주제 : 망건제작망건
내용 : 모양은 앞쪽이 낮고 뒤쪽은 높아 턱이 졌다. 사대부 계층에서 평상시 쓴 것으로 망건보다 늦게까지 보급되었다. 탕건의 재료로서 중국에서는 마포나 사(紗)를 이용했으나 조선에서는 말총을 사용하였다. 탕건의 재료는 예로부터 평안도의 정주 ·안주 호남의 완주 제주에서 생산되었다.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양단저고리, 신발, 수질사진 (0) | 2022.09.07 |
---|---|
제주도 사진/정보 - , 쾌자, 여자저고리, 엄짚신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꿩샤브샤브, 고리가 있는 국자, 국그릇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나무쟁반, 나무솥뚜껑, 꿩칼국수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놋수저, 놋사발, 녹유항아리사진 (0) | 2022.09.07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