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안덕계곡(바위그늘집터두번째)
주제 : 안덕계곡기념물상록수림지대하천주거형
내용 : 바위 그늘집터는 탐라시대후기(A.D 500~900) 제주도의 야외정착 주거지외에 화산지형으로 만들어진 소위 ‘엉덕’과 동굴이 당대 주민의 주거지였으며 육지부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주거유형이다. 안덕계곡 바위그늘집터는 입구직경 6.5m 입구높이 2.8m 굴 입구에는 안쪽까지 깊이 3.4m에 이르며 전체적인 입구형태는 아치형 그늘형태를 취하고 굴의 북서편에 폭 1m 남짓되는 작은 굴이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에는 “곽지2식 적갈색 토기” 와 곡물을 빻는데 사용한 “공이돌”이 있다.

제목 : 아흔아홉골
주제 : 아흔아홉아흔아홉골골짜기
내용 : 제주시 서남쪽 한라산 중턱에 있는 아흔아홉 골은 크고 작은 골짜기가 아흔아홉 개나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실의 오백나한과 더불어 한라산의 절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제주시 공원묘지 남쪽 수림지대에 주로 집중된 이 골짜기들은 한라산 북서사면의 고지대나 어승생악 동쪽에서 발원한다. 대부분의 계곡은 서쪽 도근천의 상부 지류를 이루고 일부 동쪽의 계곡들은 하류의 한천으로 모아져 들어간다.

주제 : 안덕계곡기념물상록수림지대하천주거형
내용 : 바위 그늘집터는 탐라시대후기(A.D 500~900) 제주도의 야외정착 주거지외에 화산지형으로 만들어진 소위 ‘엉덕’과 동굴이 당대 주민의 주거지였으며 육지부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주거유형이다. 안덕계곡 바위그늘집터는 입구직경 6.5m 입구높이 2.8m 굴 입구에는 안쪽까지 깊이 3.4m에 이르며 전체적인 입구형태는 아치형 그늘형태를 취하고 굴의 북서편에 폭 1m 남짓되는 작은 굴이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에는 “곽지2식 적갈색 토기” 와 곡물을 빻는데 사용한 “공이돌”이 있다.
제목 : 아흔아홉골
주제 : 아흔아홉아흔아홉골골짜기
내용 : 제주시 서남쪽 한라산 중턱에 있는 아흔아홉 골은 크고 작은 골짜기가 아흔아홉 개나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실의 오백나한과 더불어 한라산의 절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제주시 공원묘지 남쪽 수림지대에 주로 집중된 이 골짜기들은 한라산 북서사면의 고지대나 어승생악 동쪽에서 발원한다. 대부분의 계곡은 서쪽 도근천의 상부 지류를 이루고 일부 동쪽의 계곡들은 하류의 한천으로 모아져 들어간다.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서빈백사, 서귀포에서 바라본 눈덮인 한라산사진 (0) | 2022.08.18 |
---|---|
제주도 사진/정보 - , 성산읍에 있는 독자봉수, 설문대할망의 성지(한라산 속 물장올)사진 (0) | 2022.08.18 |
제주도 사진/정보 - , 억새꽃으로 뒤덮인 따라비오름, 애월읍 구엄리의 소금빌레사진 (0) | 2022.08.18 |
제주도 사진/정보 - , 우도팔경(지두청사), 우도의일몰사진 (0) | 2022.08.18 |
제주도 사진/정보 - , 유배의 땅 제주도, 월령선인장군락사진 (0) | 2022.08.18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