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조천진성
주제 : 성진성조천진성방어유적
내용 : 조선시대 조천진성터이다. 조천진성은 지형이 남고북저 형이고 남북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리고 성의 안과 밖에서 보기에는 돌로 쌓은 석축인 듯이 보이나 그 사이에 흙을 섞어 만든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로 잘 다듬어진 돌로 축조됐으며 성의 형태도 허물어진 곳이 없이 이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고려시대부터 제주도의 주 교통항으로 성이 축조돼 있었으며 1374년 조천관이 창건되었다. 1590년 이옥 목사때 성을 중수하여 둘레 4백28척에 성문 하나의 석성을 쌓았으며 초루 객사 청사 군기고 포사등을 두었다. 조방장 1인 치종 2인 성정군92인 유직군 103인 서기 12인이 있었으며 사후선 1척이 있었다. 성 안에는 조천관 주방과 마구간 군기고 등이 있었으나 우물과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는 없었다. 동성 위에는 연북정이 있었는데 이는 지금까지 남아있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 분포지도 P236 2002년>

제목 : 신창돈짓당 입구
주제 : 무구멩두무속신당당심방본풀이당제
내용 : 신창리 포구인근에 있는 해녀 탈의장과 일반주택사이에 있는 할망당이다. 좁은 골목길이 있으며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둥그렇게 에워 두르고 지붕을 덮었다. 넓적한 자연석과 시멘트로 축조한 제단을 두고있다. 제단 뒤쪽 담에 물색을 걸어 두었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25 2002년>

주제 : 성진성조천진성방어유적
내용 : 조선시대 조천진성터이다. 조천진성은 지형이 남고북저 형이고 남북을 장축으로 한 타원형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리고 성의 안과 밖에서 보기에는 돌로 쌓은 석축인 듯이 보이나 그 사이에 흙을 섞어 만든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로 잘 다듬어진 돌로 축조됐으며 성의 형태도 허물어진 곳이 없이 이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고려시대부터 제주도의 주 교통항으로 성이 축조돼 있었으며 1374년 조천관이 창건되었다. 1590년 이옥 목사때 성을 중수하여 둘레 4백28척에 성문 하나의 석성을 쌓았으며 초루 객사 청사 군기고 포사등을 두었다. 조방장 1인 치종 2인 성정군92인 유직군 103인 서기 12인이 있었으며 사후선 1척이 있었다. 성 안에는 조천관 주방과 마구간 군기고 등이 있었으나 우물과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는 없었다. 동성 위에는 연북정이 있었는데 이는 지금까지 남아있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 분포지도 P236 2002년>
제목 : 신창돈짓당 입구
주제 : 무구멩두무속신당당심방본풀이당제
내용 : 신창리 포구인근에 있는 해녀 탈의장과 일반주택사이에 있는 할망당이다. 좁은 골목길이 있으며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둥그렇게 에워 두르고 지붕을 덮었다. 넓적한 자연석과 시멘트로 축조한 제단을 두고있다. 제단 뒤쪽 담에 물색을 걸어 두었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25 2002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외돌개전설, 가파도상동매부리당사진 (0) | 2022.08.21 |
---|---|
제주도 사진/정보 - , 구엄리소금빌레(소금건조대), 명월진성 성벽위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포제(손 씻기), 달집불붙이기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큰원(용담동), 다끄네 해신당(내부)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섯물전경(용담동), 돌하르방(시청내 동쪽)사진 (0) | 2022.08.21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