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송당당제(초감제)
주제 : 송당당송당당제당제무속무속신화신당
내용 :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서 해마다 정기적으로 올리는 제의다. 송당본향당은 ‘금벡주’를 모시는 당이다. 이 신은 송당리 사람들의 생산(生産)·물고(物故)·호적(戶籍)·장적(帳籍)을 관장하는 본향당신이다. 여성 위주의 무속적 마을제의 전형으로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민간신앙적 가치가 있다. 송당리의 경우 현재 남아 있는 신당 가운데는 송당본향당에서만 본격적인 당굿이 베풀어진다. 정월에 신과세제 2월에 영등손맞이 7월에 마불림제 10월에 시만국대제가 벌어진다. 송당본향당의 제일은 본래 1월 13일 2월 13일 7월 13일 10월 13일 등이다. 제물로는 메 두 그릇 구운 생선 과일 돌레떡 삶은 계란 등을 바친다. 그러나 돼지고기는 금한다. 돼지고기를 금하는 것은 백주또와 소로소천국이 별거하게 된 내력을 통해서 그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정기적인 제일 이외에는 개인적인 비념을 따로 하지 않는다. 이 당에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출입한다. 제일 3일 전부터 정성을 들이며 고기를 먹거나 부부간 동침을 하지 않는다. <발췌 : 제주의민속 4권 P73 1997년> <발췌 : 구좌면지 P96 1979년> <발췌 : 불휘공 송당신화마을>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2002>

제목 : 빗창(사용법)
주제 : 해녀좀녀해녀용품채취도구
내용 : 전복의 제주도 말이 빗이므로 그것을 떼어 내는 창이라는 뜻이다. 길쭉하고 납작한 쇠붙이에 머리는 원형으로 말려 이 구멍에 끈이 달려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188 1994년>

주제 : 송당당송당당제당제무속무속신화신당
내용 :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서 해마다 정기적으로 올리는 제의다. 송당본향당은 ‘금벡주’를 모시는 당이다. 이 신은 송당리 사람들의 생산(生産)·물고(物故)·호적(戶籍)·장적(帳籍)을 관장하는 본향당신이다. 여성 위주의 무속적 마을제의 전형으로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민간신앙적 가치가 있다. 송당리의 경우 현재 남아 있는 신당 가운데는 송당본향당에서만 본격적인 당굿이 베풀어진다. 정월에 신과세제 2월에 영등손맞이 7월에 마불림제 10월에 시만국대제가 벌어진다. 송당본향당의 제일은 본래 1월 13일 2월 13일 7월 13일 10월 13일 등이다. 제물로는 메 두 그릇 구운 생선 과일 돌레떡 삶은 계란 등을 바친다. 그러나 돼지고기는 금한다. 돼지고기를 금하는 것은 백주또와 소로소천국이 별거하게 된 내력을 통해서 그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정기적인 제일 이외에는 개인적인 비념을 따로 하지 않는다. 이 당에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출입한다. 제일 3일 전부터 정성을 들이며 고기를 먹거나 부부간 동침을 하지 않는다. <발췌 : 제주의민속 4권 P73 1997년> <발췌 : 구좌면지 P96 1979년> <발췌 : 불휘공 송당신화마을>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2002>
제목 : 빗창(사용법)
주제 : 해녀좀녀해녀용품채취도구
내용 : 전복의 제주도 말이 빗이므로 그것을 떼어 내는 창이라는 뜻이다. 길쭉하고 납작한 쇠붙이에 머리는 원형으로 말려 이 구멍에 끈이 달려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188 1994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오메기술재료, 우럭콩조림사진 (0) | 2022.08.21 |
---|---|
제주도 사진/정보 - , 문어통발, 명주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소길리방사탑, 큰심방(군복차림)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차귀도 고종달 전설, 오분자기찜사진 (0) | 2022.08.21 |
제주도 사진/정보 - , 법화사(대웅전), 옥돔미역국 (옥돔넣기)사진 (0) | 2022.08.21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