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판
주제 : 계산기나무주판
내용 : 정의:나무 주판(珠板)은 더하기 빼기 등 계산 셈을 할 수 있도록 틀을 만들어 사용한 도구 옛날 계산기이다. 용도 및 특징:아래 5알 위 2알의 구슬을 11줄 갖춘 주판(珠板)이다. 아래 4개에 위1개의구슬이 보통이었다. 알이 굵어 숫자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것:셈을 할 때 막대를 이용하였던 것으로 ‘산통(算筒)’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50 2007년>





제목 : 종이상자(중)
주제 : 상장문서보관
내용 : 정의:종이상자는 두터운 종이를 재료로 만든 상자를 가리킨다. 문서를 보관하는 데 이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뚜껑에 태극문양과 박쥐의 문양을 새겼다. 바닥은 연두색 종이를 발라 마감하였다. 비슷한 것:문서를 보관하는 데 이용한 것으로 문서함 등이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9 2007년>





제목 : 족두리
주제 : 혼례용품여성용
내용 : 혼인할 때 쓰는 여자용 모자로 8각형을 이루며 구슬이 초록 빨강노랑하얀색이 원형을 이루고 직선으로 박혀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집게
주제 : 가위쇠붙이집게
내용 : 대장간에서 사용-달군 쇠를 집는 용도로 뜨거운 쇠붙이를 집도록 한 도구이다.





제목 : 씨아
주제 : 씨앗틀보르는물레
내용 : 말린 목화송이에서 씨앗을 빼내버리는 틀이다. 이것을 ‘보르는 물레’라고 했다. 몸통을 ‘버텅’ 버텅에 꽃힌 두 개의 개둥을 ‘부출’이라고 했다. 그 사이 맨 아래쪽에서부터 위로 ‘세역’이라는 나무 뭉치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노는 나무판자 손잡이를 돌리는 대로 목화송이에서 씨앗이 빠지게 된 두 개의 ‘쌀’로 이뤄졌다. 두 개의 쌀 끝은 꽈배기로 이뤄져 서로 맞물리며 돌아간다. 이것을 ‘물레귀’라고 했다. 쓸 때는 돼지기름이나 나물기름을 때때로 발라줘야 잘 돌았다. 그리고 쌀을 만들 때에는 ‘가시낭’(가시나무)이 아니면 안 된다고 한다. 그래야 물레귀도 함부로 타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목 : 줄어울이
주제 : 초가지붕집줄
내용 : 초가지붕의 집줄을 놓을 때 외줄두개를 어울일때 사용. 가운데 구멍에 박고 뒤에서 뒤치게로 돌리는 역할을 함.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창
주제 : 사냥기구창끝
내용 : 사냥때 사용하는 도구로 두갈개 날이 있는데 한쪽은 직선 다른 쪽은 옆으로 곡선을 이룸.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8 2007년>





제목 : 짚방석
주제 : 방석동심원
내용 : 정의:바닥에 깔고 앉는 것이다. 특징:방석은 집안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손님을 맞을 때도 맨 먼저 내놓는 것이어서 잘 만들어야 했다. 그래서 재료 중에서도 제일 빛깔이 좋고 잡티가 없는 부드러운 것을 골라서 썼다. 양지에서 말린 볏짚을 골라 물을 축이고 덩드렁마께로 자근자근 두드려서 가는 실처럼 만든 것을 새끼줄로 꼬아서 동심원으로 짠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15 2007년>





제목 : 집게(가위형)
주제 : 가위쇠붙이집게
내용 : 대장간에서 사용-달군 쇠를 집는 용 가위형식을 이용해 만들었으나 크게 만들어 뜨거운 쇠붙이를 집도록 한 도구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초석바디
주제 : 초석틀
내용 : 초석을 짤 때 줄과 띠가 이어져 초석을 짜도록 하는 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9 2007년>





제목 : 초롱
주제 : 등잔조명구
내용 : 불을 켜서 사용하는것으로 밑에는 기름을 넣는 통이 있고 위에는 등잔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9 2007년>





제목 : 천문
주제 : 그릇오목그릇점
내용 : 오목한 그릇에 종지 2개와 동전모양의 무구-점치는데 사용한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8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탕기
주제 : 약그릇사발약탕관
내용 : 약을 달이는데 사용했던 그릇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따르는 주둥이가 있는 것은 약탕기와 구분하여 약탕관이라 한다. 신석기시대 후기 경부터 초보적인 약탕기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존하는 것이 드물고 이어 청동기 철기시대의 유물 가운데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약탕관의 재료는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는 은기(銀器)이나. 은은 귀금속이므로 일반인들은 보통 오지나 곱돌약탕기가 널리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18 2007년>





제목 : 침통침
주제 : 침보관통한의학
내용 : 한의학이나 양의학에서 쓰는 침을 보관하는 통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0 2007년>





제목 : 침통
주제 : 침보관통한의학
내용 : 한의학이나 양의학에서 쓰는 침을 보관하는 통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8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테우와뿔고동
주제 : 테우떼배
내용 : 테우는 통나무로 엮어 만든 원시적인 고깃배의 형태로 떼배라고도 한다. 돛이나 돛대도 없어 한두사람만이 노를 저어 그물을 올리고는 했는데 주로 자리돔을 잡는데 쓰였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21 2007년>





제목 : 화관
주제 : 예복여성용관
내용 : 여자가 예식용으로 쓰는 작은 관이다. 족두리를 갖가지 보석으로 장식하면 화려하기는 일반이지만 화관에는 앞뒤로 걸치는 양(梁)이 있고 자디잔 구슬 꿴 깃을 여러 개 달아 걸을 때마다 간들 간들 흔들리는 이것을 보요라 한다.이것은 중국계통 것이어서 엄격히 따지는 가문에서는 혼례 때만 족두리를 쓰고 그밖의 의식에서는 꼭 화관을 씌웠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 2007년>





제목 : 혼례복함
주제 : 혼례복보관함
내용 : 혼례복을 보관하는 함으로 나무상자에 종이를 붙임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1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솔박
주제 : 좀팍속박손박
내용 : ‘속박 좀팍 손박’이라고도 하는데 둥그스럼하고 납작하게 파서 만든 작은 나무 바가지 같은 비슷한 그릇으로 탈곡한 알곡을 바람에 물려 정선(精選)할 때 사용했다. 바람이 부는 날 멍석 등을 마당이나 EH는 바람이 잘 통하는 올래 바닥에 깔고서 채로 다 걸러 내지 못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 등을 불려 낸다. 형태적으로는 손잡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크기에 따라서도 여러 가지가 쓰였다. 도내 어느 가정에서나 갖추고 살았던 생활 필수품이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7 2007년>





제목 : 보습
주제 : 농사기구밭갈이
내용 : 밭갈이용 기구로 타원형이며 뒤쪽은 나무를 박도록 통으로 되고 윗부분은 평면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9 2007년>





제목 : 멍에
주제 : 농사기구밭갈이
내용 : 밭갈이용 농기구로 조금 휘어지도록 나무를 깎고 끝에는 줄을 멜 수 있도록 되어있고 가운데는 구멍이 두개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8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길마
주제 : 길마운반용구
내용 : 소에게 짐을 싣기 위해 바탕 삼아 얹는 기구를 ‘길마’라고 하는데 제주도에서는 ‘질메’라고 한다. 질메는 축력(畜力)운반용구의 으뜸이다. 소 한 마리가 질 수 있는 짐의 양을 ‘바리’라고 한다. 이런 말이 제주어에 있음은 그 만큼 소의 힘을 이용하여 짐을 즐겨 운반했다는 말이다.





제목 : 연석
주제 : 곡식농기구
내용 : 연석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도구로 갈판에 곡식을 어느 정도 놓고 갈돌로 밀면 곡식의 껍질이 벗겨진다. 이 갈돌과 갈판은 농업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도토리등을 갈 때 사용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9 2007년>





제목 : 쇠스랑
주제 : 연장거름
내용 : 주로 통시나 쇠막에서 거름을 낼 때 쓰는 연장이다. 새집을 짓는 동안 흙에 보릿짚을 넣고 흙질하거나 그것을 뒤엎을 때 그리고 쟁기로 갈 수 없는 비좁은 논에서 논바닥을 일굴 때도 쓰였다. 세 발 달린 쇠스랑이다. 옆의 발의 폭은 2.2cm이나 가운데 것은2.5cm이다. 가운데 것이 옆의 것보다 0.2cm가 더 굵게 만든 셈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도두봉제단(입구)
주제 : 도두봉제단도두항
내용 : 맑고 깨끗한 호수를 닮은 도두항을 늘 곁에서 지키고 있는 도두봉에는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풍어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지역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옛부터 미풍양속을 지켜오던 제단이다.





제목 : 교래리본향당
주제 : 교래리붉은오름
내용 : 마을이 해발 420고지에 자리하고 있고 한라산 동쪽에 위치한 중산간 마을이며 목가적인 전원풍경으로 가족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자연마을로는 구두악 물오름 성오름 붉은오름이 있다. 구두악은 마을 뒷산 모양이 개 머리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물오름은 산에서 생수가 나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오름은 마을 뒷산이 절벽같이 되었고 성을 쌓은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붉은 오름은 마을의 흙이 붉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제목 : 삼양해신사
주제 : 해신사지방기념물한상묵목사
내용 : 지방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어 있고 1829년 한상묵 목사가해상활동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하여 화북포해안에 처음 지었으며 1841년에는 이원조 방어사가 건물을 중수하였다. 현재의 사당 건물은 1975년에 지금의 자리에 이르렀다. <발췌 : 제주의 문화유산 P58>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본향당 처녀신 현씨일월
주제 : 본향당마을기원제
내용 : 본향당이란 마을의 호적·장적·물고를 관장하는 신이 좌정해 있는 당으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일 년에 한번 또는 3~4회의 제를 마을의 여성들이 지낸다. 현씨일월은 어렸을 때부터 무당이 되고 싶었으나 집안의 만류로 하지 못하자 시름시름 앓았다. 하나뿐인 오라버니가 그 소원을 들어주려고 육지에 가서 무당의 옷과 신물(神物)들을 구하고 오다가 배가 파선되어 죽자 현씨일월도 절망 끝에 따라서 죽고 말았다는 애절한 사연이 전해온다. 신체로 모시는 살아있는 나무에 아름다운 옷 한 벌을 만들어다 입히는게 이 여신에 대한 최대의 공양이다.





제목 : 도두봉제단(뒤편)
주제 : 도두봉제단도두항
내용 : 맑고 깨끗한 호수를 닮은 도두항을 늘 곁에서 지키고 있는 도두봉에는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풍어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지역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옛부터 미풍양속을 지켜오던 제단이다.





제목 : 도두봉제단(정면)
주제 : 도두봉제단도두항
내용 : 맑고 깨끗한 호수를 닮은 도두항을 늘 곁에서 지키고 있는 도두봉에는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풍어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지역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옛부터 미풍양속을 지켜오던 제단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