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4.3평화공원 조형물(귀천)
주제 : 4.3 평화공원평화공원4.3조형물귀천
내용 : 4.3 은 그동안 지속적인 진상규명 회복운동의 결과 발발한지 반세기가 넘어서야 비로소 빛을 보게 됐다. 그 당시 아무런 이유없이 억울하게 돌아가신 영혼들을 위무하고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이 상징조형물이 제작되었다. 희생자들의 세대별 의미를 담은 다섯 벌의 수의(囚衣)로 표현함으로써 제대로 된 장례조차 치르지 못한 영혼들이 이제라도 편안히 저승길로 가시라는 해원을 모티브로 삼은 작품이다. 각 조형물에 담긴 그림은 각각 성인 남녀 어린이 남녀 그리고 아직 세상에 태어나지도 못하고 죽은 태아가 저승길 갈 때 입힐 수의를 조형한 것이다.


제목 : 4.3평화공원 입구(정면)
주제 : 4.3 평화공원평화공원4.34.3사건
내용 : 제주4·3사건의 아픔을 딛고 평화의 가치를 구현하는 공간으로 거듭나자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이 공원은 4·3사건 발발 이후 50여 년간 해원되지 못한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위령하고 4·3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평화와 인권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 조성되고 있다. 제주4·3의 역사를 기억하고 재현하여 4·3정신과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제목 : 4.3평화공원 위령제단(원경)
주제 : 4.3 평화공원평화공원4.3위령제단
내용 : 추모·승화광장은 오석의 아치형으로 영원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도민화합 민주와 인권 그리고 안락의 공간을 상징하며 참배공간을 제공한다. 제주 4.3 평화공원은 모두 완공된 것이 아니라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되는데 아직도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2008년 3월에 4.3 평화기념관이 지하 1층과 지상3층의 건물로 개관되어 일반인에게 4.3 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음사(방사탑)
주제 : 불교관음사
내용 : 이 탑은 방사탑이라고 한다. 이곳 제주에는 예로부터 자기 가문이나 씨족 또는 마을의 안녕과 행운을 기원하기 위하여 크고 작은 돌탑을 쌓아왔고 탑꼭대기에는 새의 모양이나 사람의 모양과 비슷한 돌을 세우는 풍속이 전해내려왔다. 이곳은 사찰 도량이므로 탑 꼭대기에 부처님법의 원만함을 상징하는 뜻에서 둥근돌을 탑위에 세웠다. 이는 제주의 민속신앙과 불교신앙을 조화하여 액난을 소멸하고 행운을 기도하는 사람들의 소망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제목 : 4.3평화공원 평화기념관
주제 : 4.3 평화공원평화공원4.3기념관
내용 : 이 공원은 39만 6743㎥(12만평)의 넓이에 조성되고 있는데 크게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령제단·추념광장·위령탑·상징조형물 등이 조성되어 있는 위령·추념공간과 4·3사료관이 조성되고 있는 역사 재현 공간 그리고 4·3문화관 등이 있다.


제목 : 4.3평화공원 조형물(위령탑)
주제 : 4.3 평화공원평화공원4.3조형물위령탑
내용 : 4.3위령탑은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제주도민 화합과 민족의 통일을 염원하며 평화 의지와 영원함과 완전함을 추구하는 기원공간을 상징하고자 제작한 조형물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백마고지영웅 강승호소위 동상
주제 : 강승호동상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내용 : 백마고지의 영웅 강승호 소위 동상이다. 강승호 소위는 6.25 당시 백마고지전투에서 두 사병과 함께 수류탄등으로 무장 불을 뿜는 적토치카에 몸을 내던져 산산히 조각내고 그들도 그곳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치게 된다. 이로써 밀고 밀리는 10여일간에 걸쳐 백마고지는 우리 수중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아군은 그 여세를 몰아 북으로 올라가게 된 이른바 진격의 혈로를 열어놓은 주인공이 되었다.


제목 : 목석원(목물)
주제 : 목석원목물
내용 : 제주시청에서 남쪽으로 4㎞ 떨어진 5.16 도로변에 위치한 목석원(木石苑)은 개인이 만든 관광지로서 예술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나무뿌리 1000여 점 사람의 머리모양을 한 돌 500여 점 100여 점의 수석(水石)이 전시되어 있다. 나무뿌리는 한라산 해발 700m 이하에서만 자생하는 조록나무의 것으로 죽은 뒤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약한 부분은 썩어 없어지고 단단한 부분만이 남아 절묘한 공간미를 형성하고 있다. 조록나무뿌리 중 20점은 희귀성과 고유성 때문에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사람 머리모양을 한 돌들은 자연석으로 제주 전지역에서 1960년대부터 한점 한점 수집된 것들이다.


제목 : 모충사 조봉호기념비
주제 : 모충사조봉호
내용 : 순국지사 조봉호 기념탑은 한일합방 이후 제주도내에서 독립군 자금을 모금해 상하이 임시정부에 송금하였다가 탄로나자 혼자 책임을 지고 대구형무소에서 옥사한 지사 조봉호를 기리기 위해 만든 탑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산지천 중국피난선 전경
주제 : 산지천중국피난선산지천난파선정크선
내용 : 산지천 중국 피난선은 1950년 8월 초부터 수년동안 산지천에 정박되있던 중국 배이다. 당시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던 중국 난민들의 피난선으로 이용되었다. 난민들이 중국 요녕성을 떠나 제주도 산지천에 도착한 후의 피난생활을 배모형과 함께 재현한 조형물이다.


제목 : 산방굴의 마애명
주제 : 산방굴마애명산방덕
내용 : 이 산의 중턱에 있는 산방굴에는 산방덕이라는 여신이 살았는데 사람 사는 세계를 동경하여 아리따운 여성으로 변하여 세속으로 내려왔다는 전설도 있다. 미모 때문에 남편이 관리에게 끌려가 살인누명을 쓰고 죽자 산방덕이는 다시 굴로 들어갔으며 지금도 그녀의 눈물이 천정에서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산방굴은 고려시대의 시승(詩僧) 혜일이 머물면서 불교와 인연을 맺어 현재에도 수도승의 수도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목 : 복원된 제주목관아 전경
주제 : 제주목관아목관아
내용 : 제주목관아는 탐라국 이래로 제주역사·행정의 중심 공간이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제주목관아의 중심건물인 연희각 홍화각을 비롯한 내아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도로 및 대문지 연못 우물 등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 유구의 아래층에서 조선전기층 다시 그 밑으로 고려·탐라시대 문화층이 층층이 확인되어 제주목관아 곳곳이 고대 탐라로부터 중요 시설물이 지속적으로 자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어 국가사적 380호(1993. 03. 31.)로 지정되었고 발굴된 중요건물터가 대부분 복원되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산지천피난선(선상생활)
주제 : 산지천중국피난선산지천난파선정크선
내용 : 제일 윗 어르신은 좁쌀로 만든 밥을 먹고 나머지 가족은 배 안에서의 주식인 옥수수를 가지고 맷돌에 갈아 죽이나 만두를 만들어 먹었다. 나중에는 이 옥수수조차 없어 베게 속의 쌀겨를 꺼내 음식을 만들어 먹었으며 땔감도 부족해 키와 배의 난간 등을 쪼개 뗄감으로 이용했었다.


제목 : 산지천 중국피난선
주제 : 산지천중국피난선피난선
내용 : 산지천 중국 피난선은 1950년 8월 초부터 수년동안 산지천에 정박되었던 중국 배이다. 당시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던 중국 난민들의 피난선으로 이용되었다. 난민들이 중국 요녕성을 떠나 제주도 산지천에 도착한 후의 피난생활을 배모형과 함께 재현한 조형물이다. 그 내용은 난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실제 피난생활을 재구성한 것이다.


제목 : 산지천 중국피난선(정크선)
주제 : 산지천중국피난선산지천난파선정크선
내용 : 피난민들이 당시 타고 왔던 선박은 나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정크선(화물선)이며 실제 이름은 해상호이고 규모는 60~70톤급이며 인원은 100명까지도 탈 수 있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성혈(입구)
주제 : 삼성혈삼신탐라제주전설고을나양을나부을나
내용 : 삼성혈 건시문은 사적 제134호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 1313에 위치하고 있다. 삼성혈은 제주 사람의 전설적인 발상지이다. 삼신인이 이곳에서 태어나 수렵생활을 하다가 오곡의 종자를 가지고 온 벽랑국3공주를 맞이하면서 농경생활이 비롯되었으며 탐라왕국으로 발전하였다고 전한다. 조선 중종 21년 목사 이수동이 처음 표단과 홍문을 세우고 담장을 쌓아 춘추봉제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목사에 의하여 성역화 사업이 이루어졌고 현재에도 매년 춘·추제 및 건시대제를 지내고 있다.


제목 : 삼성혈(숭보당)
주제 : 삼성혈삼신탐라제주전설고을나양을나부을나숭보당
내용 : 조선조 헌종 15년(1849년)에 뛰어난 선비를 두어 면학하던 재사로서 몇차례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양선사유적(실제움집터)
주제 : 삼양선사유적유적전시관선사시대집터
내용 : 실제 생활을 하던 원형주거지는 직경 4m 내외이며 굴립주 건물은 2×2칸 규모로 직경 50㎝ 깊이 30㎝ 정도의 대형주혈이 2m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다. 주변에 배치된 기둥구멍(柱穴)은 간단한 시설이나 굴립주 건물의 보조기둥으로 이용하기 위해 뚫어놓은 것으로 생각된다. 주거지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은 삼양동식 토기가 주류를 이루며 돌도끼(石斧)와 공이석기(敲石) 방추차 등이다.


제목 : 삼성혈(전시관 내부)
주제 : 삼성혈삼신탐라제주전설고을나양을나부을나전시관
내용 : 삼성신화와 관련된 사료를 전시하고 있는 전시관 내부는 삼성혈 관련 유적지 모형과 고문헌 현판 등이 전시되어 있는데 특히 제주도의 모습을 본뜬 모형이 눈에 띤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삼양선사유적(전시관)
주제 : 삼양선사유적유적전시관선사시대
내용 : 제주삼양동선사유적은 사적 제416호 (1999.11.15 지정)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2동 1660-5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삼양동선사유적은 기원전·후 1세기를 중심으로 한 시기의 집자리 약 230여기가 확인된 대단위 마을 유적이다. 이 마을 안에서는 크고 작은 집자리 창고 저장공 야외토기요지 불땐자리 마을 공간을 구획한 돌담과 배수로 폐기장 조개무지 고인돌 등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집자리는 원형주거지 장방형주거지 부정형주거지 창고지 등이다. 원형주거지가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한국 본토의 이른바 송국리형주거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유적지에서 출토된 옥제품 등으로 보아 당시 삼양동선사인들은 「삼국지」등의 기록처럼 중국·왜 등과의 교역을 통하여 축적된 부를 토대로 탐라국의 기틀을 다진 것으로 짐작된다.


제목 : 삼양선사유적(움집)
주제 : 삼양선사유적유적전시관선사시대집터
내용 : 삼양동 선사유적지의 주거지는 중앙에 공터를 중심으로 10여기의 집자리가 둘러싼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며 현재 야외전시장에는 삼양동유적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었던 Ⅱ구역의 주요한 집자리가 복원되었다. 복원된 움집은 중국 한나라시대(漢代가)의 환옥과 함께 중요유물이 출토되었고 규모에 있어서도 가장 큰 Ⅱ-2구역의 6호 집자리와 Ⅱ-1구역의 고상식가옥 1동 방형움집 1동 원형움집 11동 등 도합 14동이다. Ⅱ-2구역의 6호 주거지를 복원한 대형 원형움집내부에는 당시 삼양동민의 생활상을 재현해 놓았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서복전시관(서불동상)
주제 : 서불저복전시관
내용 : 중국 진시황 때 사자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으로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제목 : 서복전시관
주제 : 서복전시관서복
내용 : 중국 진시황 때 사자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으로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복전시관은 이러한 설화에 기초하여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에게 문화적 볼거리를 제공하기위해 정방폭포 인근에 건립되었다. 중국과 일본의 역사를 잇는 구비문화유적으로서 자원적 가치가 높다. 전시관에는 서복전시실(불로불사의 꿈·서복의 여정·영주산 시로미 등 서복문화전시)과 영상물(에니메이션 실사) 상영관 서귀포시역사관(자연·역사·문화사료전시)이 있으며 주변해안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와 쉼터 등이 조성되어 있다. 전시관 앞쪽으로 공원이 조성 중에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아프리카박물관
주제 : 아프리카박물관박물관
내용 : 아프리카박물관은 1998년 11월 서울 대학로에서 아프리카라는 다소 생소한 문화를 토대로 첫 문을 열었고 2004년 12월 새로운 문화적 도약을 위해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박물관 건물을 신축하고 이전하였다.


제목 : 소리섬박물관
주제 : 소리섬박물관박물관
내용 : 소리섬박물관에서는 120여년전 에디슨 축음기 소리부터 북한의 다양한 소리문화까지 세계 각국의 소리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보고 듣고 만지고 직접연주하는 동안 세계 각국의 문화를 체험하고 다채로운 청각경험을 할 수 있는 생생한 체험형 교육공간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