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 (나까도전침)4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큰 시루떡을 공중으로 던졌다 잡았다하며 춤을 추다가 여러 신들에게 이것을 올리고 하위 잡신들도 대접하는 차례이다. 이 큰 시루떡을 나까사리라 하고 시루떡을 놀리며 춤추는 것을 나까사리 놀림이라 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2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 (나까도전침)2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큰 시루떡을 공중으로 던졌다 잡았다하며 춤을 추다가 여러 신들에게 이것을 올리고 하위 잡신들도 대접하는 차례이다. 이 큰 시루떡을 나까사리라 하고 시루떡을 놀리며 춤추는 것을 나까사리 놀림이라 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2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다리놓기)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요왕님과 영등대왕이 오실 요왕다리를 놓자고 노래하면 신앙민들과 소민들이 나와 요왕질에 긴 무명(광목)을 깔아 놓는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1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문 열림)3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문을 열어주시도록 노래하던 심방이 신칼점을 쳐봐서 문이 열린다는 점괘가 나오면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문 열림)7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요왕문을 하나하나 뽑아나간다. 전부 뽑아지면 요왕문이 전부 열린 것이라 하여 요왕문을 상징했던 댓가지와 요왕길을 상징했던 무명을 태워 버린다. 이것으로 요왕문 열림 제차가 끝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2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문 열림)5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요왕문을 하나하나 뽑아나간다. 전부 뽑아지면 요왕문이 전부 열린 것이라 하여 요왕문을 상징했던 댓가지와 요왕길을 상징했던 무명을 태워 버린다. 이것으로 요왕문 열림 제차가 끝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2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요왕맞이(요왕문 열림)4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소미가 요왕문(대가지)을 하나 뽑고 다음 문으로 전진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2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씨드림4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심방이 서서 사설을 하면 요란한 장단에 맞추어 해녀 수명이 나서서 광적인 춤을 춘다. 어깨에는 밀망탱이(끈이 달린 자그마한 멱서리)가 메어져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배방선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짚을 실이나 노끈으로 엮어 길이는 51cm정도 크기로 배의 형태를 만든다. 가는 막대기를 배의 중심에 꽂아서 돛대를 달고 백지를 거기에 매달아 돛을 만든다. 주로 어선을 가진 집들이 준비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씨드림8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해녀들이 채취물의 씨를 뿌리고 오면 씨점을 한다. 돗자리 위에 좁씨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뿌리고 다음 반대방향으로 뿌리고 돗자리 바로 위에서 수직으로 힘차게 뿌린다. 이렇게 하여 뿌려진 좁씨의 밀도를 자세히 관찰하여 어느 쪽에 채취물이 풍성해지겠다고 예언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3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씨드림6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해녀들이 채취물의 씨를 뿌리고 오면 씨점을 한다. 돗자리 위에 좁씨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뿌리고 다음 반대방향으로 뿌리고 돗자리 바로 위에서 수직으로 힘차게 뿌린다. 이렇게 하여 뿌려진 좁씨의 밀도를 자세히 관찰하여 어느 쪽에 채취물이 풍성해지겠다고 예언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3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씨드림5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해녀들이 채취물의 씨를 뿌리고 오면 씨점을 한다. 돗자리 위에 좁씨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뿌리고 다음 반대방향으로 뿌리고 돗자리 바로 위에서 수직으로 힘차게 뿌린다. 이렇게 하여 뿌려진 좁씨의 밀도를 자세히 관찰하여 어느 쪽에 채취물이 풍성해지겠다고 예언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3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씨점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제물로 바쳐진 좁씨로 소미(小巫)들이 한해의 운세를 점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배방선2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배방선은 영등신을 배에 태워 본국으로 치송하는 제차이다. 먼저 송별잔 나눔 이라해서 여러 신들이 송별의 술잔을 나누는 절차를 한다. 심방은 사설을 하고 소미는 닭다리에 술을 적셔 제장 여기저기에 뿌린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영등송별제씨점3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제물로 바쳐진 좁씨로 소미(小巫)들이 한해의 운세를 점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씨점2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제물로 바쳐진 좁씨로 소미(小巫)들이 한해의 운세를 점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씨드림7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해녀들이 채취물의 씨를 뿌리고 오면 씨점을 한다. 돗자리 위에 좁씨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뿌리고 다음 반대방향으로 뿌리고 돗자리 바로 위에서 수직으로 힘차게 뿌린다. 이렇게 하여 뿌려진 좁씨의 밀도를 자세히 관찰하여 어느 쪽에 채취물이 풍성해지겠다고 예언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3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천제연폭포전설
주제 : 전설자연전설천제연폭포
내용 : 눈이 먼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천제연폭포에서 3년을 기원하는 효자가 있었는데 그 정성을 갸륵히 여긴 하느님께서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하기로 약속받고 그의 어머니 눈을 낫게 해주었다. 이후 효자청년은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많이 하였다고 전한다. <발췌 : 제주도 전설지 P105 1985년>





제목 : 용연전설
주제 : 전설자연전설용연
내용 : 술자리에서 비를 내릴 수 있다고 주정을 한 고대정이란 사람은 사또의 명령을 받들어 목숨을 걸고 용연에서 기우제를 지낸다. 하늘에 자신의 목숨을 빌자 짚으로 만든 용이 살아나서 비를 뿌렸다고 한다. 이후로 비를 몰고 오는 용이 살았다하여 용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발췌 : 제주도전설지 P69 1985년>





제목 : 범섬전설
주제 : 전설자연전설범섬설문대할망
내용 : 범섬은 멀리서 보면 큰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아있는 모습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섬에는 해식쌍굴이 있는데 제주도 창조의 여신인 큰 키의 설문대 할망이 한라산을 베개 삼아 누울 때 뻗은 두발이 뚫어 생겼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탕건(겯기)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79 1994년>





제목 : 귀덕리도대불
주제 : 귀덕리도대불등대돛대불
내용 : 귀덕리 속칭 진질개라는 포구에 위치하는 옛 등대이다. 1930년경에 축조되었으며 형태는 원통형이다. 현무암으로 쌓았으며 높이는 256cm이다. 도대불의 등화는 호롱불을 이용하였는데 등화담당은 선창 가까이 거주하면서 일정한 생업이 없는 노인들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였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06 2002년>





제목 : 영등송별제배방선(송별잔나눔)
주제 : 영등송별제영등송별제대일칠머리당칠머리당굿영등굿영등신영등할망
내용 : 배방선은 영등신을 배에 태워 본국으로 치송하는 제차이다. 먼저 송별잔 나눔 이라해서 여러 신들이 송별의 술잔을 나누는 절차를 한다. 심방은 사설을 하고 소미는 닭다리에 술을 적셔 제장 여기저기에 뿌린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94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포제(사배)
주제 : 포제
내용 : 알자가 제관을 인도하여 대축 봉향 봉로 봉작 사준 정작을 이끌고 사배를 올린다. 12제관은 제관으로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사회자로서 홀기를 부르는 집례 축문을 고하는 대축 집례가 홀기를 읽는 대로 제관을 인도하는 알자 국궁배를 부르는 찬자 흥을 부르는 찬인 향로를 받드는 봉로 향을 받드는 봉향 부은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는 봉작 술병을 관리하고 술을 부어 주는 사준 헌관이 올리는 술잔을 제상에 올리는 전작 모든 제물을 관리하는 전사관이며 예비 제관 도예차를 합하면 13제관이 된다. <발췌 : 제주도 마을제에 대한 고찰 P55> <발췌 : 제주도 포제의 역사민속학적 고찰 >





제목 : 감귤잼 (감귤잼마무리하기)
주제 : 음식특별음식잼류감귤잼귤잼
내용 : 설탕을 3~4회 나누어 넣어 저어주며 팔팔 끓여 마무리한다. (껍질을 벗겨 준비한 감귤을 코팅된 냄비에 넣고 준비한 설탕을 3~4회 나누어 넣으면서 팔팔 끓여 병에 넣어 밀봉 후 보관한다.)





제목 : 혼인지전설(동굴)
주제 : 본풀이속의신화삼성혈혼인지삼신인고부양고부양삼신인삼성제
내용 : 시조인 고·양·부 삼신인(三神人)이 벽랑국의 세 공주를 각각 맞이하여 목욕을 하고 혼인을 올렸다는 조그마한 연못이 바로 혼인지이다. 혼인지 바로 곁에 자그마한 굴이 있는데 여기는 세 신인들이 혼인하고 같이 잠을 잔 곳이라고 전한다. <발췌 : 제주도 전설지 P409 1985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