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사각등잔
주제 : 등잔조명구
내용 : 정의:유리등잔은 주로 야외에서 이용하였던 조명구의 하나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위쪽에 끈을 달아 사용하였다. 내용:장방형()의 사각 육면체()를 만들고 아래 위 받침을 제외한 사방에 유리를 끼웠다. 안쪽에 심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와 기름을 담을 수 있는 통이 함께 있다. 비슷한 것:호야라고 하여 유리를 부부품으로 하는 조명구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6 2007년>





제목 : 빗첩
주제 : 손그릇정리함
내용 : 겉모양은 접어놓은 경대와 같으나 거울을 해 끼우지 않은 손그릇. 거울은 따로 선 경대의 것을 보고 화장에 필요한 연모들을 정리해 넣는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4 2007년>





제목 : 불무집게
주제 : 대장간도구집게
내용 : 뜨거운 연장등을 집는 대장간의 도구로 날부분은 둥근 원형을 이루며 손잡이는 길쭉한 형의 두쪽으로 되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60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세면기
주제 : 세수세면
내용 : 정의:세면기는 세수를 할 때 물을 받아 놓는데 썼던 것을 가리킨다. 유기의 제품이 주로 쓰였으나 동제품도 사용되었다. 내용:원 구(球)의 한 부분을 잘라놓은 듯한 형태로 가장자리에 전을 붙였다. 비슷한 것:전을 넓게 붙인 놋제품이 주로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32 2007년>





제목 : 섭넓은호미
주제 : 농기구호미
내용 : 한손으로 흙도 파옮기고 김도 매고 다양한 용도로 쓰는 농구다.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고 지방마다 특색이 있는데 이북땅 전작지대에서는 지면을 긁는 소용으로 발달하였고 남쪽으로 논농사를 주로 짓는 지역에서는 긁어 당기면 흙이 저절로 뒤쳐지게 반전 호미로 발전을 보았다.





제목 : 화젓갈
주제 : 무쇠막대기집게
내용 : 긴 무쇠막대기로 앞쪽은 뾰족하고 손잡이는 고리가 있는 형태. 숯등 뜨거운 물건을 집거나 구울 때 이용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수평추
주제 : 목공구
내용 : 목공구로 쇠로 되고 방추형이며 윗부분에는 끈을 달게 구멍이 있고 수직선을 보도록 만듦.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0 2007년>





제목 : 쇠창
주제 : 사냥기구창끝
내용 : 사냥기구로 쇠로 끝은 뾰족하고 양면은 날이 서게 만듦. 창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원래는 목재의 손잡이를 길게 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전승과정에서 소멸된 듯하다. 기록에 보면 노루 멧돼지등을 잡아 진상하였음을 알 수 있는 바 그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5 2007년>





제목 : 쇠솥만들기
주제 : 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약저울
주제 : 저울약재저울
내용 : 약재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쓰는 기구를 말한다. 처방전에 의한 약제 제조 시 소량의 약재를 정확한 무게를 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세밀히 만든 저울이다. 목재저울대에 눈금을 매기는 부분에 상아를 입혀 만들었다. 저울 집이 별도로 있어 소중히 보관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1 2007년>





제목 : 애기구덕(대바구니)
주제 : 구덕대바구니
내용 : 아기를 눕혀 재우는 장방형의 대바구니다. 밑바닥에서부터 15cm의 높이에 井자 모양으로 그물처럼 얽는다. 여름에는 애기구덕을 의지하여 그 위에 베를 그리고 겨울에는 보릿짚을 깔기도 했다. 이 구덕에는 그게 없다. 그리고 바닥에는 직경 0.8cm의 ‘상동낭’(삼동나무) 11개가 띄엄띄엄 꽂혀 있다. 아기를 눕혀 흔들기 좋게 박아놓은 것이다. 이 구덕은 1964년에 이 마을 오기남(남 1916년) 옹이 만든 것이다. 아기가 태어났을 때 입히는 ‘봇디창옷’과 흔들어 재우는 애기구덕은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마련해 주는 것이 제주도의 한 습관이다. 애기구덕은 헐어 못 쓰게 되더라도 태워버리지 않는다. 또 애기구덕에서 키우던 아기가 죽으면 구덕을 무덤 옆에 놓고 그 위에 돌멩이로 눌러 내 버릴 뿐이다.





제목 : 씨앗항아리
주제 : 물항아리씨앗보관
내용 : 씨앗을 보관했던 일반 물항아리 형태이나 구경이 조금 작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오시집게
주제 : 집게보습풀무
내용 : 보습풀무할 때 뜨거운 것을 집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손잡이가 길고 집게는 서로 엇갈려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9 2007년>





제목 : 오시장태
주제 : 용광옮기는도구
내용 : 밑이 둥글고 평평하며 원 기둥으로 올라오면서 넓게 구경을 이루고 있음-보습 풀무시 뜨거운 쇳물을 받고 옮길 때 이용 쇠를 녹이는 용광(선)로를 둑이라 하는데 둑에서 녹인 쇠를 주형인 뎅이에 붓기 위해 옮겨가는데 썼던 기구이다. 쇠로 만들데 참흙을 내부에 먹이고 쇳물이 스며들지 않게 뎅이와 같이 흑연이나 목탄을 발라준다.옮길 때는 장테를 톨레로 감싸들고 간다. 쇳물을 녹이기 위해 둑에 공기를 불어넣는 기구로 청탁불미를 썼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8 2007년>





제목 : 약탕관
주제 : 그릇약탕기
내용 : 약을 달이는데 사용했던 그릇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따르는 주둥이가 있는 것은 약탕기와 구분하여 약탕관이라 한다. 신석기시대 후기 경부터 초보적인 약탕기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존하는 것이 드물고 이어 청동기 철기시대의 유물 가운데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약탕관의 재료는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는 은기이나 은은 귀금속이므로 일반인들은 보통 오지나 곱돌약탕기가 널리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원형뿔등잔
주제 : 원형뿔등잔
내용 : 유리가 원형뿔로 되어있으며 철사로 둘레를 감싸고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6 2007년>





제목 : 용접봉
주제 : 땜질용구양철
내용 : 얄철등을 땜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손잡이는 쇠막대기를 구부려서 잡는데 편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봉을 양쪽에서 두들겨 날이 나오도록 만듦.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5 2007년>





제목 : 요령
주제 : 굿용구무구
내용 : 오목한 놋쇠 가운데 구멍을 뚫어 길쭉한 방울을 달았다. 무당이 굿할 때 사용하는 도구 절주를 맞추기 위해 흔드는 쇠방울이다. 경쇠는 추가 따로 있어 줄 끝에 달아 손에 들고 흔들 적마다 맞추어서 소리내게 되어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3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인두판
주제 : 다림질받침대
내용 : 정의:다림질 할 때 인두의 달은 정도를 측정하기도 하고 받침대로도 이용하던 것이다. 형태:40-60㎝정도의 판자에 얄팍하게 솜을 두고 질긴 한지를 발라서 썼다. 인두가 얼마쯤 달았는지 자주 시험해야 하기 때문에 군데군데 눌어서 비싼 천으로는 해댈 수가 없기 때문이다. 흔히 판에 솜을 넣고 천을 씌워서 다림질 받침대로도 이용한 것이 윤디판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3 2007년>





제목 : 이중도르래
주제 : 도르레나무도르레
내용 : 나무로 만든 도르래로서 이중으로 되어 있다-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거나 끌어 올릴 때 사용하는 도구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4 2007년>





제목 : 유리등잔
주제 : 조명구등잔
내용 : 정의:유리등잔은 주로 야외에서 이용하였던 조명구의 하나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위쪽에 끈을 달아 사용하였다. 내용:장방형()의 사각 육면체()를 만들고 아래 위 받침을 제외한 사방에 유리를 끼웠다. 안쪽에 심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와 기름을 담을 수 있는 통이 함께 있다. 비슷한 것:호야라고 하여 유리를 부부품으로 하는 조명구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6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담뱃대와재떨이
주제 : 골연담배담배통
내용 : 재떨이의 테두리중 홈이 난 부분이 있는데 이는 담뱃대를 재떨이에 올려놓을경우 고정하기 위한 홈이다.





제목 : 재떨이
주제 : 골연담배담배통
내용 : 오기남(남 1916년생)씨가 40세 안팎에 만들어 쓰던 것이다. 동백나무로 만들었다. 재떨이 한가운데는 직경 4cm의 혹이 달렸다. 골연을 비벼 끄거나 담배통 안에 남아 있는 재를 털어내기 좋게 만들었다.





제목 : 자물쇠
주제 : 자물통열쇠통쇠
내용 : 정의:자물쇠는 자물통과 열쇠로 구성되며 걸고리가 있는 궤 등을 잠글 때 이용하였다. 통쇠라고도 하며 놋쇠로 만든 붕어 자물통도 이용되었다. 내용:둥근 통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통쇠’라고도 한다. 검은 칠을 하였으나 녹이 생기고 있다. 비슷한 것:붕어 모양으로 만든 자물통을 붕어자물쇠라고도 하여 사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0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주판
주제 : 계산기나무주판
내용 : 정의:나무 주판(珠板)은 더하기 빼기 등 계산 셈을 할 수 있도록 틀을 만들어 사용한 도구 옛날 계산기이다. 용도 및 특징:아래 5알 위 2알의 구슬을 11줄 갖춘 주판(珠板)이다. 아래 4개에 위1개의구슬이 보통이었다. 알이 굵어 숫자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것:셈을 할 때 막대를 이용하였던 것으로 ‘산통(算筒)’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50 2007년>





제목 : 종이상자(중)
주제 : 상장문서보관
내용 : 정의:종이상자는 두터운 종이를 재료로 만든 상자를 가리킨다. 문서를 보관하는 데 이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뚜껑에 태극문양과 박쥐의 문양을 새겼다. 바닥은 연두색 종이를 발라 마감하였다. 비슷한 것:문서를 보관하는 데 이용한 것으로 문서함 등이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9 2007년>





제목 : 족두리
주제 : 혼례용품여성용
내용 : 혼인할 때 쓰는 여자용 모자로 8각형을 이루며 구슬이 초록 빨강노랑하얀색이 원형을 이루고 직선으로 박혀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집게
주제 : 가위쇠붙이집게
내용 : 대장간에서 사용-달군 쇠를 집는 용도로 뜨거운 쇠붙이를 집도록 한 도구이다.





제목 : 씨아
주제 : 씨앗틀보르는물레
내용 : 말린 목화송이에서 씨앗을 빼내버리는 틀이다. 이것을 ‘보르는 물레’라고 했다. 몸통을 ‘버텅’ 버텅에 꽃힌 두 개의 개둥을 ‘부출’이라고 했다. 그 사이 맨 아래쪽에서부터 위로 ‘세역’이라는 나무 뭉치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노는 나무판자 손잡이를 돌리는 대로 목화송이에서 씨앗이 빠지게 된 두 개의 ‘쌀’로 이뤄졌다. 두 개의 쌀 끝은 꽈배기로 이뤄져 서로 맞물리며 돌아간다. 이것을 ‘물레귀’라고 했다. 쓸 때는 돼지기름이나 나물기름을 때때로 발라줘야 잘 돌았다. 그리고 쌀을 만들 때에는 ‘가시낭’(가시나무)이 아니면 안 된다고 한다. 그래야 물레귀도 함부로 타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목 : 줄어울이
주제 : 초가지붕집줄
내용 : 초가지붕의 집줄을 놓을 때 외줄두개를 어울일때 사용. 가운데 구멍에 박고 뒤에서 뒤치게로 돌리는 역할을 함.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