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무쇠솥
주제 : 솥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제목 : 사기쟁반
주제 : 쟁반제기
내용 : 쟁반의 형태의 제기로 음식을 올릴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45 2007년>

제목 : 사기보시
주제 : 사기그릇사발
내용 : 사기그릇으로 된 보시로 음식을 먹을때 이용된 주방용그릇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7 2007년>

주제 : 솥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제목 : 사기쟁반
주제 : 쟁반제기
내용 : 쟁반의 형태의 제기로 음식을 올릴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45 2007년>
제목 : 사기보시
주제 : 사기그릇사발
내용 : 사기그릇으로 된 보시로 음식을 먹을때 이용된 주방용그릇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7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밥그릇, 바디병, 망데기사진 (0) | 2022.09.07 |
---|---|
제주도 사진/정보 - , 빙철, 부젓가락, 밥자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옹기코장태, 시루(밑바닥), 시루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청동수저, 철제빙떡판, 조막단지사진 (0) | 2022.09.07 |
제주도 사진/정보 - , 단학흉배가 달린 관복, 관복, 활어회사진 (0) | 2022.09.07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