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우금
주제 : 밥주걱주방용품
내용 : 놋쇠로 만든 밥주걱이다. 밥주걱을 `우금` 이라고 했다.

제목 : 옹기단지
주제 : 단지주방용품
내용 : 정의:`단지`는 많지 않은 양의 반찬 특히 마늘지 오이지 깻잎등을 보관하는 데 썼던 것이다. 자리젓 멸치젓을 담아 보관하는데도 썼다. 내용:손잡이로 썼던 `귀`를 단지 몸통의 양쪽에 붙였다. 붉은 기운이 전체적으로 곱게 나도록 구웠으며 보존상태 또한 좋다. 비슷한 것:장독대에서 사용한 것으로 단지보다 큰 것이 `항`이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4 2007년>

제목 : 양념단지
주제 : 단지식기
내용 : 작은 양념단지 4개를 하나로 연결한 주방용구(廚房用具)다. 옹기(甕器)로 만들어져 서민들이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굵은 손잡이를 달아 이동하기에 편리하며 뚜껑이 있었던 것이다. 경우에 따라 2짝 3짝 5짝도 있어서 쓰임새에 따라 선택하였다. 한경면 고산 일대의 흙이 비교적 차지고 물이 좋아서 옹기 가마가 많았으며 이런 생활 소품들은 주문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네성제단지`라는 정겨운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작은 단지 4개가 사이좋은 형제처럼 한 개의 손잡이에 정답게 모여진 모양에서 붙여진 듯 하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2 2007년>

주제 : 밥주걱주방용품
내용 : 놋쇠로 만든 밥주걱이다. 밥주걱을 `우금` 이라고 했다.
제목 : 옹기단지
주제 : 단지주방용품
내용 : 정의:`단지`는 많지 않은 양의 반찬 특히 마늘지 오이지 깻잎등을 보관하는 데 썼던 것이다. 자리젓 멸치젓을 담아 보관하는데도 썼다. 내용:손잡이로 썼던 `귀`를 단지 몸통의 양쪽에 붙였다. 붉은 기운이 전체적으로 곱게 나도록 구웠으며 보존상태 또한 좋다. 비슷한 것:장독대에서 사용한 것으로 단지보다 큰 것이 `항`이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4 2007년>
제목 : 양념단지
주제 : 단지식기
내용 : 작은 양념단지 4개를 하나로 연결한 주방용구(廚房用具)다. 옹기(甕器)로 만들어져 서민들이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굵은 손잡이를 달아 이동하기에 편리하며 뚜껑이 있었던 것이다. 경우에 따라 2짝 3짝 5짝도 있어서 쓰임새에 따라 선택하였다. 한경면 고산 일대의 흙이 비교적 차지고 물이 좋아서 옹기 가마가 많았으며 이런 생활 소품들은 주문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네성제단지`라는 정겨운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작은 단지 4개가 사이좋은 형제처럼 한 개의 손잡이에 정답게 모여진 모양에서 붙여진 듯 하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2 2007년>
'제주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사진/정보 - , 짚신, 좁세기, 조끼사진 (0) | 2022.08.22 |
---|---|
제주도 사진/정보 - , 시루(옹주리시리), 국자, 홑저고리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대나무소쿠리만들기, 모자골, 망건골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빨래방망이, 떡도고리, 대패랭이골사진 (0) | 2022.08.22 |
제주도 사진/정보 - , 바지팽, 망테기, 멍에및한줄사진 (0) | 2022.08.22 |
WRITTEN BY
-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