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자연사랑갤러리(내부우측)
주제 : 갤러리가시리초등학교
내용 : 폐교 된 가시리 초등학교가 사진전문 갤러리로 변신 하고 사라져간 옛 제주의 모습 지금은 금지 되어 갈 수 없는 곳 한 번의 제주여행으로 사계절을 볼 수 없는 아쉬움을 이곳에 오면 사진을 통해 제주도를 느낄 수 있는 갤러리 공간이다. 또 하나 눈길을 끄는 곳이 있는데 가시초등학교 50년의 역사와 추억을 장식하였던 졸업생 사진을 전부 복도에 전시를 해 놓은 것이다.





제목 : 자연사랑갤러리(내부평상)
주제 : 갤러리가시리초등학교
내용 : 갤러리 중앙에는 손님들이 앉을 수 있도록 평상이 있다. 평상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나무 몸통들이 친환경적으로 꾸며졌다.





제목 : 자연사랑갤러리(내부좌측)
주제 : 갤러리가시리초등학교
내용 : 폐교 된 가시리 초등학교가 사진전문 갤러리로 변신 하고 사라져간 옛 제주의 모습 지금은 금지 되어 갈 수 없는 곳 한 번의 제주여행으로 사계절을 볼 수 없는 아쉬움을 이곳에 오면 사진을 통해 제주도를 느낄 수 있는 갤러리 공간이다. 또 하나 눈길을 끄는 곳이 있는데 가시초등학교 50년의 역사와 추억을 장식하였던 졸업생 사진을 전부 복도에 전시를 해 놓은 것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관음사법고
주제 : 관음사불교역사
내용 : 관음사는 한라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본사다.관음사는 1908년 10월 안봉려관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다.관음사의 역사는 근대 제주 불교의 역사이며 또한 제주의역사이다. <발췌 : 전통사찰총서21제주의사찰과불교문P67>





제목 : 관덕정 처마 밑의 춤사위
주제 : 관덕정입춘굿놀이
내용 : 퇴락한 관덕정 처마 밑에서 여무들의 춤사위가 한가롭다. 춤사위로 보아 굿의 막판에 한참 어울려 여흥을 즐기는 시간인 것 같다. 차림도 모두 화려한 색깔이 무녀복임을 알아볼 수가 있다. 건물 아래에 흰제복에 흰모자를 쓰고 완장을 낀 사내들의 모습이 보인다.





제목 : 고인돌 조사
주제 : 고인돌
내용 : 1970년 남제주군 상모리에 있는 고인돌을 남제주군 문화재위원들이 조하하고 있다. 제주의 고인돌은 개석(蓋石) 밑에 받침돌로 둘레를 막아서 석실을 이루고 있는게 특징으로 북방계와 남방계도 아닌 독특한 층위를 이루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마라도기원정사
주제 : 마라도경승지해식동굴
내용 : 우리나라의 끝이자 시작인곳. 가파른 절벽과 기암. 남대문이라 불리우는 해식터널 해식동굴이 마라도의 손꼽히는 경승지이며 1시간 30분 정도면 이 섬의 아름다움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127 2007년>





제목 : 대정성어귀의 석무인
주제 : 대정돌하르방
내용 : 세 개의 성의 돌하르방 모습은 모두 각각 약간씩 다르다. 크기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 대정성의 키 작은 돌 하르방들은 이미 세 기가 한쪽으로 치우쳐 세워져 있는데 옮겨진 다음인 듯하다.





제목 : 관음사불탑
주제 : 관음사불교역사
내용 : 한국불교의 정통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23교구본사로서 우리나라 불교의 정통성을 제주지역에서 대표하는 사찰이다.관음사 경내에 있는 연못 옆에 다소곳하게 있는 불탑은 보는 이로 하여금 마음이 편안해지는 분위기가 있다. 제주의 현무암이 아닌 육지의 화강암으로 재건되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목관아지교대식
주제 : 목관아지관덕정
내용 : 사적 제380호로 지정된 제주목관아지는 관덕정을 중심으로 동헌 정무청 홍화각 애매천 귤림당 청심당 향사당 등으리 건물이 있었던 곳으로 문헌에 전하듯 제주의 정치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0 2007년>





제목 : 망주석(원기둥형)
주제 : 돌기둥망두석
내용 : 무덤을 지키는 수호 신앙과 기념적인 기능을 가진 망주석은 무덤을 찾기 위한 이정표라고도 하고 망자의 영혼이 찾아오는 표식이라고도 한다. 또한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며 농경사회인 조선시대의 남아선호 사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제목 : 망주석(팔각기둥형)
주제 : 돌기둥망두석
내용 : 무덤을 지키는 수호 신앙과 기념적인 기능을 가진 망주석은 무덤을 찾기 위한 이정표라고도 하고 망자의 영혼이 찾아오는 표식이라고도 한다. 보통 육각 팔각의 기둥에 연꽃봉오리 모양이 조각된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불탑사5층석탑(측면)
주제 : 불탑사원당사지
내용 : 원당봉 기슭의 원당사지 내에 위치한 석탑이다. 원당봉은삼양칠봉이라 일컬어지는 명산 가운데 하나이다. 당시의 사찰은 화재로 소실되고 현무암으로 만들어진 불탑사 5층석탑만이 남아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5 2007년>





제목 : 법화사지(유물기념상)
주제 : 법화사지지방기념물
내용 : 법화사지는 1970년에 제주도 지방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다. 법화사지는 1982년부터 1997년까지 총 7차에 걸쳐서 발굴조사되었다. 발굴지의 범위로 크게 건물이 들어섰던 구역과 연지가 조성되었던 구역으로 구분된다. <발췌 : 전통사찰총서21제주의사찰과불교문P443 >





제목 : 법화사지 발굴석재물
주제 : 법화사지지방기념물
내용 : 법화사지는 1970년에 제주도 지방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다. 법화사지는 1982년부터 1997년까지 총 7차에 걸쳐서 발굴조사되었다. 발굴지의 범위로 크게 건물이 들어섰던 구역과 연지가 조성되었던 구역으로 구분된다. <발췌 : 전통사찰총서21제주의사찰과불교문P443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산방굴사 올라가는 길(계단)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제목 : 산방굴사에서 내려다본 사계리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제목 : 불탑사5층석탑(정면)
주제 : 불탑사원당사지
내용 : 원당봉 기슭의 원당사지 내에 위치한 석탑이다. 원당봉은삼양 칠봉이라 일컬어지는 명산 가운데 하나이다. 당시의 사찰은 화재로 소실되고 현무암으로 만들어진 불탑사 5층석탑만이 남아있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5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산방굴사부처상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부처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제목 : 산방굴사벽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제목 : 산방굴사마애명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마애명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상여만드는모습
주제 : 상여
내용 : 사람이 죽으면 장사를 치르기 위해 관을 만들고 그 관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가마를 만드는데 가마에다 꽃으로 치장한것을 꽃 상여라 부르며 상여를 메고 산소까지 운반한다. 산소에 도착하면 상여에서 관을 내려 놓는다.





제목 : 산방굴사전망대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전망대약숫물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제목 : 산방굴사약수
주제 : 산방산산방굴사약수
내용 : 산방산 중턱에 있는 산방굴사 약숫물에 산방덕이야 고성목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승려 혜일이 이곳에서 수행을 닦았다고 한다. 이굴에 마애명도 볼만하다. <발췌 : 즐거운제주 P23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옛제주의혼인풍속(말을 탄 신랑)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혼인
내용 : 혼례를 치루기 위해 새각시를 데리러 갈 때 신랑은 말을 타고 갔다. 암말이냐 숫말이냐는 그 집의 가문가례에 해당되었다. 앞에서 말고삐를 잡는 사람은 말을 능숙하게 다루는 사람을 일부러 불러서 맡겼다.





제목 : 옛제주의혼인풍속(새서방과 새각시)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혼인
내용 : 1950년대까지만 해도 나이 15세가 되면 성인으로 인정하였으며 혼인적령기로 보고 혼사를 추진했다. 당사자들의 생각이나 취향은 아예 무시되고 부모나 집안이 정해주는 사람과 한번 만나보지도 못한 채 결혼하는 일도 있었다.





제목 : 선돌선덕사일주문과코끼리상
주제 : 선덕사선돌지역
내용 : 선덕사가 있는 ‘선돌’지역은 오래전부터 많은 수행승들이 하천변 토굴 등에서 수행을 하다가 산남지역으로 나아가 불사를 일으켰다고 전해 내려오는 예부터 불교와 인연이 깊은 곳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월정사5층불탑
주제 : 월정사김덕수스님
내용 : 월정사 자리는 1871년 무렵부터 토굴을 마련하고 수행하던 스님이 머물럿던 곳이라고 한다. 제주 4.3 사건이 끝난후월정사는 김덕수 스님을 기리기 위해 1956년 월정사 경계동쪽에 비석을 세우고 추모의 마음을 묻어 놓았다. <발췌 : 전통사찰총서21제주의사찰과불교문P67>





제목 : 용연마애명
주제 : 용두암용연마애명
내용 : 용연은 용두암에서 동쪽으로 200m정도 거리에 있는 호수로 용이 놀던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선인들이 풍류를 즐긴 장소로 유명하며 마애명이 절벽에 새겨져 있고 용연야범 풍류재현축제가 매해 열리는 곳이다. <발췌 : Welcome to 제주 P86 2007년>





제목 : 옛제주의혼인풍속(신부)
주제 : 제주시가옛모습혼인
내용 : 1950년대까지만 해도 나이 15세가 되면 성인으로 인정하였으며 혼인적령기로 보고 혼사를 추진했다. 당사자들의 생각이나 취향은 아예 무시되고 부모나 집안이 정해주는 사람과 한번 만나보지도 못한 채 결혼하는 일도 있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