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마당
주제 : 초가집제전통초가전통초가제주초가마당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마당을 중심으로 근접 배치되며 통로 옥외생산 및 작업 일조 및 채광 통풍 관혼상제의 의식 등이 행해지며 보통 7~8m의 범위를 가진다. 안거리와 밖거리의 거리는 난간에 앉은 채 일상적인 음성으로 가족 간의 대화가 가능하고 얼굴표정을 통하여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척도의 범위가 된다. 마당 폭과 건물높이의 비는 2:1 정도여서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어 쾌적한 분위기를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0 1996년>





제목 : 초가집전경
주제 : 초가집제전통초가전통초가제주초가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로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정구조 및 그 생활방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그 기본구조는 기둥 귀틀 보 보짓 내도리 중보 중마루 상마루 등 뼈대를 나무로 만든후 주위 벽을 굵은 돌로 쌓아 두르고 띠로 지붕을 덮은 것이다. 벽은 흙을 발라 붙여 돌담을 단단히 하고 지붕은 띠로 덮은 후 바람을 견디기위하여 직경 5㎝ 가량의 굵은 띠 밧줄로 바둑판 처럼 얽어 놓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95 1996년> <발췌 : 제주문화의 향기 P 292 2004년>





제목 : 낭푼밥상
주제 : 낭푼밥상
내용 : 옛 제주도민들은 밥을 가족 수대로 따로 뜨지않고 낭푼이라고 불리는 크고 둥근 놋그릇에 밥을 담아 식구들이 함께 먹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1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