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촘과 촘항
주제 : 항아리항빗물저장
내용 : 촘은 나무 밑둥께에 처녀의 땋은 머리처럼 띠를 엮어 묶어 놓은 것이며 그 아래 받친 큰 항아리가 촘항(항아리)이다. 정갈한 나무 잎사귀에 내린 빗물이 이 통로를 통해 항아리에 저장된다. 이 항아리 속에는 물이 썩는 것을 막기 위해 청개구리를 키우기도 했다.





제목 : 수눌어 검질 매기
주제 : 호미농사기구
내용 : 지금은 제초제로 쉽게 검질(잡초)을 제거하지만 과거에는 잡초를 오로지 손과 골갱이(호미)로 제거했다. 이런 일은 일손이 많이 들어 보통 이웃끼리 수눌음으로 했는데 지금 이 아낙네들은 보리와 유채밭의 김을 매고 있다. 담가에 애기업개가 아기를 업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중에는 애기 어머니도 끼어 있는 모양이다.





제목 : 보리밭 춘경
주제 : 보리밭고랑
내용 : 화창한 봄날 보리밭에서 두 마리 소로 춘경을 하고있다. 보리에 흙을 덮어주고 고랑에 풀도 없애주는 춘경은 보리를 한창 갈 때는 으레 하던 작업이었다. 아득히 정상 부근에 아직도 잔설이 많이 남아 있다. (1950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그물 드리운 테우
주제 : 테우떼배
내용 : 테우는 지역에 따라 테위 터배라고도 불렀는데 표준어로는 떼배이다. 통나무 여러 개를 구멍을 뚫어 가는 나무로 연결해 놓고 앉을 수 있는 상자리 만을 높인 구조이다. 원초적 배라고 할 수 있는 이 배로는 연해에서 주로 자리돔을 그물로 떴다. 어부의 모습이 매우 한가롭다.





제목 : 감태말리기
주제 : 감태해녀
내용 : 바람이 밀어다 준 감태를 공젱이라는 도구로 건져 올려 한 짐 가득 지고 돌아오고 있다. 파도에 떼밀려온 것을 줍기도 하나 직접 바다 속으로 자멱질하여 들어가 캐어내기도 한다. 번식기는 7월인데 그때가 채취기가 된다. 감태는 성숙한 후에 고사되는데 그 전에 뿌리로부터 새로운 뿌리가 나와 자란다. 발췌 : 제주의 해녀 P64 1996년>





제목 : 목초두루마리
주제 : 목초콩과목초
내용 : 벼과(科) 및 콩과 목초는 모두 외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서 유럽과 아시아 원산인 것이 많다.목초를 선택할 때는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의 토양특성과 기후환경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양분 ·수량이 많으며 가축이 즐겨 먹고 재생력이 강하여 여러 번 베거나 가축에게 뜯기거나 밟히는데 잘 견디며 재배하기 쉽고 다른 목초와 혼파했을 때 경쟁력이 있으며 채종도 잘 되는 것이 좋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수산물채취 체험
주제 : 해녀수산물
내용 : 제주에서는 관광에 테마를 적용한 체험이 많이 있는데 이중 수산물 채취 체험으로 제주에 온 관광객들이 고동(보말) 등 수산물채취 체험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제목 : 수산물채취(사계리)
주제 : 해녀수산물
내용 : 해녀들이 아닌 지역 주민이 바다로 수산물 채취(소라미역톳 등)를 하기 위해 주민 여럿이 가는 모습이다.





제목 : 수산물채취
주제 : 해녀수산물
내용 : 해녀들이 아닌 지역 주민이 바다로 수산물 채취(소라미역톳 등)를 하기 위해 주민 여럿이 가는 모습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해녀들의 공동작업
주제 : 해녀수산물
내용 : 오랜만의 허챗날 서귀포의 해녀들이 바다로 들어가고 있다. 소중이 위에 물수건 그위에 족새눈 헤엄쳐 나가는 이들은 이미 바다와 친숙한 모습들이다. 멀리 문섬 발이 보인다.





제목 : 자리뜨는 그물
주제 : 테우떼배
내용 : 테우의 고물에서 그물에 걸린 자리돔을 어부가 퍼내고 있다. 팽팽하게 당겨진 그물줄 활짝 벌어진 그물과 망망대해가 시원스럽다.





제목 : 일과리소금밭
주제 : 소금밭일과리해변
내용 : 제주도의 옛날 소금을 만들던 곳으로 대정읍 일과리와 한경면 두모리 그리고 구좌읍 종달리 등이 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지세장태
주제 : 지세그릇사발
내용 : 지세그릇 근대의 옹기는 처음에 흑도(黑陶)에 가까운 무문(無文)옹기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붉은 색에 가까운 유문(有文)옹기가 등장했다고 한다. 제주도의 경우 기와요(窯)를 ‘검은굴’이라 부르고 있으며 여기에서 생산된 기물에는 ‘지새’라는 명칭이 붙는다. 예를 들면 지새허벅 지새항 지새화리 등이다. 이 ‘지새그릇’이란 900℃ 내외에서 소성된 질그릇을 말하는 것이다. 그릇의 빛깔은 흑회색을 띤다. 소송과정에서 불때기를 마치고 가마를 밀폐하기 직전에 생나무 토막을 집어넣거나 소금을 뿌려서 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그릇에 스며들게 처리한 것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3 2007년>





제목 : 옹기자라병
주제 : 옹기그릇사발
내용 : 제주 특유의 화산회토로 만든 옹기이다. 목이 길고 유식이 밝게 빛나며 양쪽에 고리가 달려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8 2007년>





제목 : 연적
주제 : 그릇물그릇붓글씨
내용 : 정의:벼루에 먹을 갈 때 쓸 물을 담아두는 그릇이다. 그 형태는 다양하여 갖가지 모양의 것이 있다. 가락지형 반달형 거북이형 용형 무릎연적 주전자 복숭아 원숭이 모양의 연적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3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갓집
주제 : 갓
내용 : 장식품이라고 볼 수 없지만 갓을 쓰는 일이 일상화 의례화 돼 가면서 갓을 쓰지 않을 때에는 갓을 소중히 보관해두기 위해 갓집을 만들고 썼다. 갓집은 그 표면에 갖가지 무늬나 장식을 꾸며넣어서 우아하게 만들었으며 대체로 장농위에 얹어두고 썼으므로 방안 치레의 기능을 발휘했다고도 볼 수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5 2007년>





제목 : 항아리굽기
주제 : 항아리구연부
내용 : 제주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항아리 종류는 구연부와 바닥이 좁으며 배가 약간 부른 형태이며 붉은 빛깔의 옹기와 검정색의 질그릇으로 대별된다. 지층구조에 따른 식수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지역 특유의 식수 운반용기의 발달을 초래했다. <발췌 : 제주도 전통 사회의 옹기 생산과 유통에 관한 연구 P 48 2002년>





제목 : 제주옹기항아리
주제 : 항아리구연부
내용 : 제주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항아리 종류는 구연부와 바닥이 좁으며 배가 약간 부른 형태이며 붉은 빛깔의 옹기와 검정색의 질그릇으로 대별된다. 지층구조에 따른 식수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지역 특유의 식수 운반용기의 발달을 초래했다. <발췌 : 제주도 전통 사회의 옹기 생산과 유통에 관한 연구 P 48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놋동이
주제 : 그릇사발
내용 : 놋쇠로 구덕처럼 크게 만든 그릇. 떡 같은 것을 보관하거나 나를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1 2007년>





제목 : 꼬리박
주제 : 베틀직조
내용 : 직조에서 실을 넣어 가운데 막통이 있고 앞뒤 유선형이다. 베틀에서 사용하는 용품으로 도투마리에 감긴 씨줄과 엇갈려 무명을 만들어 내는 날줄의 공급처이다. 작업자가 한손으로 던져 넣어주면 다른쪽에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이 속에는 꼬리에 감긴 실이 들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83 2007년>





제목 : 고리짝
주제 : 상자물건보관용
내용 : 네모난 상자로 가정에서 물건 보관용으로 쓰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15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다리미
주제 : 다림질다림웨다루애
내용 : 정의:옷을 다림질 할 때 사용 특징:`다림웨` `다루애`라고도 하며 의복의 구김살을 펴고 주름을 잡는 데 썼다. 재래식 다리미는 주철로 만들며 바닥은 매끄럽고 숯을 담는 곳은 오목하며 지름이 약 20㎝가량 되는데 여기에 나무로 된 손잡이를 달아서 쓰도록 되었다. 옷이나 천을 다릴 때는 두 사람이 다림질감을 마주 잡아 당기며 다리미로 그위를 문질러서 다렸다.





제목 : 다듬이방망이
주제 : 다듬이질방망이
내용 : 원형의 나무에 손잡이는 조금 가늘게 된 망치형 나무. 다듬이질 할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9 2007년>





제목 : 놋쟁반
주제 : 쟁반제기
내용 : 놋쇠로 만들어진 쟁반으로 제례의식에 음식을 올릴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4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돌끌
주제 : 공구구멍
내용 : 나무의 홈을 파거나 구멍을 파는 기구-공구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4 2007년>





제목 : 도래송곳
주제 : 송곳구멍
내용 : 정의:도래송곳은 넓고 깊게 구멍을 만들려고 할 때 사용했던 것으로 회전력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보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송곳이다. 용도 및 특징:상부에 나무나 곧은 쇠를 넣어 돌릴 수 있도록 장치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3 2007년>





제목 : 덩드렁마께(망치형)
주제 : 짚생활도구
내용 : 단단한 통나무를 2등분하여 손잡이를 깎은 것-짚을 두드리는 도구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5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마제석부
주제 : 가죽토기제작손질
내용 : 양옆으로 뾰족하고 날을 만들어진 형태-가죽 등을 벗길 때 사용한 듯함. 전체형태는 원형으로 두께와 직경 비율이 1:1.5가량 된다. 조면암제 천석으로 가장자리 끝부분은 마모되어 있으며 양쪽 넓은 면은 매끈하게 갈라져 있다. 아마도 토기제작시 그릇 겉면을 손질하는 용도일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갖자리가 마모된 것은 공이와 같은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7 2007년>





제목 : 뜸단지
주제 : 단지뜸
내용 : 작은 단지 손바닥안에 쥘정도. 민간요법인 뜸을 뜨는 데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12 2007년>





제목 : 따비2
주제 : 쌍따비웨따비가로대
내용 : 제주도 따비는 쌍따비와 웨따비 두 종류가 있었는데 쌍따비는 제주도 동쪽에 그리고 웨따비는 이 마을을 비롯한 제주도 서쪽에서 전승해왔다. 가로대를 발로 밟아 날 끝은 땅에 박아 뒤쳐서 땅을 일구는 도구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