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돌세면기(사각형)
주제 : 돌세면기제
내용 : 돌을 다듬어 만든 세면기이다. 정기적으로 제를 올리는 향교나 마을 포제단에 붙박이로 마련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제목 : 다듬잇돌
주제 : 다듬이돌다다미홍두깨다듬잇
내용 : 다다미라고도 한다. 다듬잇감을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두드리거나 홍두깨에 같이 감아 방망이로 두드린다. 다듬잇돌의 재료로는 방망이로 두드리는 작업에 견디어낼 수 있는 돌이나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었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제목 : 돌방아
주제 : 돌방아도정
내용 : 곡물을 도정하는 기구의 하나로 만드는 재료에 따라 남방아와 돌방아로 불린다. 제주의 돌방아는 직경 100cm 높이 50cm 정도로 부녀자들이 서서 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약절구
주제 : 약절구절구공이
내용 : 절구를 높이가 낮은 돌을 넓적하게 파서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만든다. 약재를 가루로 만들거나 큰 약재를 알맞은 크기로 만들 때 사용하며 약재를 절구통에 담고 돌로 만든 절구공이로 부수어 사용한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제목 : 남방애
주제 : 남방애정미도구
내용 : 제주도에서는 절구와 연자매를 통들어 방에 또는 방이 방애라고 하나 엄밀히 구분 해보면 절구는 남방애라 하고 연자매는 몰방애라 한다. 서너 아름드리의 통나무를 파서 만든 것을 나무방애 곧 남방애라 하는데 보통 3명에서부터 최고 6명까지도 동시에 찧을 수 있을만큼 그 너비가 넓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572 1994년>





제목 : 돌화리 옆면
주제 : 돌화리화로
내용 : 돌로 만든 화로(火爐)다. 돌화리에는 사각형과 원형의 것이 있었는데 원형의 것은 드물다. 방안에서 사용하는 돌로 된 화로이다. <발췌 : 제주대학교 박물관도록 P130 1989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돌뚜껑
주제 : 돌뚜껑현무암
내용 : 다공질의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뚜껑으로 상면 중앙에 돌출된 손잡이가 뚜껑판과 일체형으로 달려있다. 솥뚜껑이나 항아리 뚜껑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제목 : 소줏돌
주제 : 소줏돌고소리
내용 : 손잡이 없는 솥뚜껑과 비슷하며 솥뚜껑의 손잡이 대신 구멍이 뚫려 있다. 솥에 얹어 고소리처럼 이용하며 가운데 구멍에는 대를 휘어 질러 고소리의 귀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소줏돌은 고소리의 원시형태이다. <발췌 :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문화 P42 1998년>





제목 : 약절구(둥근형)
주제 : 약절구절구공이
내용 : 절구를 높이가 낮은 돌을 넓적하게 파서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만든다. 약재를 가루로 만들 때 사용하며 약재를 절구통에 담고 돌로 만든 절구공이로 부수어 사용한다. <발췌 : 제주돌문화공원>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다리미
주제 : 다리미인두화롯불
내용 : 열과 압력 그리고 섬유의 적당한 습기를 이용해서 의복의 구김살을 펴고 주름을 잡는 데 쓰이는 용구이다. <발췌 : 제주대학교박물관도록 P47 1989년>





제목 : 다리미인두
주제 : 다리미인두화롯불
내용 : 화롯불에 달구어 천의 구김살을 눌러 펴거나 한복 동정과 같이 폭이 좁고 기다란 부분을 다리는데 쓰는 작은 다리미를 말한다. <발췌 : 제주대학교박물관도록 P47 1989년>





제목 : 돌테
주제 : 돌테 옆면
내용 : 화산섬은 토양이 파석하기에 여름농사인 조나 밭벼의 씨앗을 뿌리고 나서 돌로 만든 ‘돌테’로 다져놓아야 보수력이 유지되어 발아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P111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시흥리 영등하르방 방사탑
주제 : 방사탑액운돌탑
내용 : 시흥리 영등하르방 방사탑이다. 마을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비치거나 풍수지리설에 따라 기운이 허하다고 믿는 곳에 액운을 막으려고 세운 돌탑이다. 또한 마을의 안녕을 보장하고 수호하며 전염병의 예방 화재예방 해상의 안전과 아이를 낳게 하고 보호해주는 기능까지 있다 <발췌 : 제주도 무속신앙 대상 돌(石)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P37 2002년>





제목 : 막개와 도고리
주제 : 막개도고리방망이함지박
내용 : 막개와 도고리는 감물을 들일때 쓰이는 도구이다. 도고리에 감을 넣어 막개로 두드려서 즙을 내어 감물을 들일때 사용한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P141 P186 2002년>





제목 : 서답막개
주제 : 서답막개빨래방망이물막개
내용 : ‘빨래방망이’의 제주도 방언으로서 일명 물막개라고도 한다. 나무를 넓적하게 깎아 만든 것으로 넓직하게 만들어져 있고 손잡이 부분은 잡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발췌 :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P141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석불
주제 : 석불미륵
내용 : 석불의 여러가지 모습이다. 이 석불들은 화천사가 창건되기 전부터 마을 미륵으로 모셔졌으며 이 곳에서 치성을 드리면 득남의 효험이 있다하여 마을 사람들이 기자불공을 올렸던 곳이라고 한다. 자연석에 표현된 석불의 얼굴 형태는 모두 다르면서 자연스런 형상을 띠고 있다. <발췌 : 제주도 무속신앙 대상 돌(石)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P34 2002년>





제목 : 칠성돌(인석)
주제 : 칠성칠성돌밧칠성안칠성
내용 : 칠성은 기우 또는 인간의 장수와 재물을 관장하는 신으로 특히 제주도에서는 뱀신앙이 칠성신앙의 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부군칠성을 모시는 곳을 밧칠성 곡물을 지키는 신이 머무는 고팡을 안칠성이라 한다. 이 칠성신을 모시는 돌집을 칠성돌이라 한다.





제목 : 칠성돌
주제 : 칠성칠성돌밧칠성안칠성
내용 : 칠성은 기우 또는 인간의 장수와 재물을 관장하는 신으로 특히 제주도에서는 뱀신앙이 칠성신앙의 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부군칠성을 모시는 곳을 밧칠성 곡물을 지키는 신이 머무는 고팡을 안칠성이라 한다. 이 칠성신을 모시는 돌집을 칠성돌이라 한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새미물
주제 : 새미물생명수
내용 : 제주시 회천동에는 화천사라고 사찰이 있다. 화천사에서 동쪽으로 약 40m 떨어진 곳에는 새미라는 용천수가 있다. 회천동 마을은 이 물을 생명수로 해서 생겼다 한다. 새미물에서 새미는 샘을 의미하며 이곳의 물은 만병통치약으로 불릴 만큼 유명하여 마을 사람들의 식수로 활용되었다. <발췌 : 문화유적분포지도(제주시) P91 1999년>





제목 : 석관묘
주제 : 석관묘무덤묘
내용 : 현무암 판석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으로 만들었다. 좌우판은 판석 2개 앞뒤판은 판석 1개 윗판은 판석 1개로 되어 있다. 밖은 거칠게 다듬어져 있고 안쪽은 세밀하게 다듬어져 있다. 맞물리는 면은 정교하게 다듬어 맞추어 놓았다. <발췌 : 북제주군의 문화유적(1) P316 1998년>





제목 : 돌코냉이
주제 : 돌코냉이방사탑
내용 :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태를 올려놓은 탑들을 두고 돌코냉이라 한다. <발췌 : 제주도 무속신앙 대상 돌(石)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P34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방문석
주제 : 방문석알림판
내용 : 마을 중심지나 마을 주민들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여러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홍보물이나 마을소식 등을 붙여 놓는 알림판이다. <발췌 : 제주도 무속신앙 대상 돌(石)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P34 2002년>





제목 : 혼인지전설(삼사석)
주제 : 삼사석고을나양을나부을나화살
내용 : 탐라의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삼신인이 벽랑국의 세 공주를 각각 배필로 정한 뒤 각자 살 곳을 정하기 위해 활을 쏘았다. 당시 화살이 꽂혔던 돌을 삼사석이라 한다. <제주의 역사ㆍ문화ㆍ자연을 만나는 제주관광 매뉴얼 Jeju P205 2003년>





제목 : 거북형받침대
주제 : 비석무덤묘받침대거북이
내용 : 비신(碑身)을 받치는 밑받침을 비좌(碑座) 또는 ‘비대석’이라 한다. 귀부(龜趺)는 비신(碑身)을 받치는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이다. 비(碑)란 어떤 사적(事蹟)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오래도록 전하기 위해 나무나 돌 쇠붙이 따위에 글을 새겨 세워놓은 것을 말한다. 비석(碑石) 빗돌 석비(石碑) 등으로도 불리어진다. 비에 새겨놓은 글을 금석문이라 하며 대개는 사건 당시 또는 그와 가까운 시기에 기록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귀중한 자료(사료)로 활용된다. <북제주군 비석총람 P5 2001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말고기
주제 : 일상음식반찬류구이말고기
내용 : 숙성이 잘된 말고기를 이용한 요리법에는 마회 육회 갈비찜 말곰탕 마초밥 구이 곰탕 비빔밥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발췌 : 제주 재래가축 편람 P31 2005년>





제목 : 갈치회
주제 : 일상음식기타회갈치회
내용 : 갓 잡은 싱싱한 갈치의 은빛비늘을 칼로 긁어 낸 후에 지느러미 머리꼬리를 잘라내고 칼로 배부분을 갈라 내장을 제거한다. 그리고 뼈를 발라내듯이 칼로 뜬 후 썰어준다. <발췌 : 제주도음식문화 P148 1996년>





제목 : 강정산신백관당
주제 : 본향당강정산신백관당큰당팟본향당
내용 : 산신백관또를 모신 당으로 큰당팟 본향당이라고도 불린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톨냉국
주제 : 일상음식국물류톳냉국
내용 : 부드럽고 연한 톳으로 골라 깨끗이 씻고 잘게 썰어서 양념된장에 잘 버무려 둔다. 풋고추 부추를 다져 썰어서 섞고 시원한 생수를 부어 국을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42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53 1995년 >





제목 : 육개장
주제 : 특별음식기타육개장
내용 : 돼지고기를 푹 삶아 결대로 가늘게 찢어 둔다. 먹고사리를 삶아서 4cm 정도의 길이로 자르고 돼지고기와 섞어 양념을 한다. 고기 삶아 낸 국물에서 기름을 걸러내고 푹 끓이며 마지막에 메밀 가루나 밀가루를 훌훌 풀어 넣어 국물을 걸쭉하게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9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옥돔구이(타원접시장식)
주제 : 일상음식반찬류옥돔구이
내용 : 옥돔을 소금으로 너무 짜지않게 간을 하여 잠깐 말렸다가 구워 먹는데 옥돔을 말리는 솜씨에 따라 그 맛이 크게 좌우된다. 볕에 직접 말리면 진한 맛이 감소되기 때문에 찬 바람이 부는 그늘에서 고들고들하게 말려야 제대로운 맛을 즐길 수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9 1996년>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43 2002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