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오일장(옥돔가게)
주제 : 오일장
내용 : 5일마다 열리는 장인 만큼 재고가 없어야 함으로 더욱 더 신선한 물건들을 만날수 있다. <제주의 역사ㆍ문화ㆍ자연을 만나는 제주관광 매뉴얼 Jeju P34 2003년>





제목 : 정주석
주제 : 초가집제전통초가전통초가제주초가올래정낭
내용 : 집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서너개의 구멍이 뚫려 대문대신 세워진 돌을 말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46 1996년>





제목 : 호박죽
주제 : 별미호박간식호박죽보양식
내용 : 겨울에 껍질을 벗기고 속을 파내어 오래 삶아 형체가 흐믈어지면 쌀가루나 좁쌀을 넣어 소금간을 한다. 값싸고 영양이 풍부한 음식이다.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에게 좋으며 오래 굶어서 온몸이 띵띵 붓은 사람에게도 좋은 음식이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01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탕건과 쳇대기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 망건 ·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79 1994년>





제목 : 탕건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79 1994년>





제목 : 불턱
주제 : 나잠기술해녀좀녀물질물질방법해녀사회불턱
내용 : 불턱은 하군덕(하군불턱) 중군덕(중군불턱) 상군덕(상군불턱) 으로 나뉜다. 불턱에서 어린 해녀들은 물질의 요령과 사람삶의 규범을 터득한다. <발췌 : 제주의 해녀 P115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등잔
주제 : 조영기구호롱불촛
내용 : 기름을 담아 등불을 켜게 만든 기구로 접시 등에 식물성 기름을 담아두고 무명실로 심지를 만들었다. <발췌 : 제주민속의 아름다움 P135 2003년>





제목 : 화로
주제 : 난방기구화로숯불놋쇠
내용 : 놋쇠로 만든 화로로 겨울철이 되면 화로에 숯불을 담아 불을 붙여 놓는다. 쓰임새에 따라 불씨를 보존하거나 난방 등 몇 가지 구실을 함께 하는 것이 보통이다.





제목 : 갓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갓
내용 : 예로부터 갓은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관모이다. 예전 제주의 특산물 중 하나로 제주 여인들의 갓일은 전국에 이름이 났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59 1994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성게까는도구
주제 : 해녀좀녀해녀용품채취도구
내용 : 칼로 성게를 반쪽으로 쪼갠 후 숟가락 같이 생긴 부분으로 알멩이를 분리한다. 구멍이 뚫린 그릇에 담아 물기를 빼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성게를 캐내는 도구를 보통 성게골각지라 하며 달리 골갱이 호멩이 까꾸리 라 하기도 한다.





제목 : 얼멩이
주제 : 농업용구농기구얼멩이
내용 : 조릿대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주의 체중 바닥인 쳇불의 구멍이 가장 큰 것이다. 쳇바퀴가 없이 조릿대로 비스듬히 정사각형이 되게 둘레를 만든다. 메밀이나 콩 등 모든 곡식을 타작하고 난 후에 처음으로 그 뉘를 쳐내 버리려고 할 때 쓰인다. <발췌 : 제주 전통 음식 P146 1995년>





제목 : 바농상자
주제 : 바늘바농바늘상자바농상자복식
내용 : 바농은 바늘의 제주방언이다. 운반용 바구니로 옷상자 실과 꾸러미 등을 담는 용기로 쓰였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82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물레
주제 : 면직업섬유제조
내용 : 낚시줄이 감겨있는 나무틀로 사용하진 않는 낚싯줄을 헝클어지지 않게 감아두기 위한 기구이다. 보통 때는 감아두었다가 낚시를 시작하면 줄의 끝에 바늘을 달아 수심에 맞추어 적당한 길이로 낚싯줄을 바다에 풀어주며 고기를 잡는다.





제목 : 채반
주제 : 보관용구그릇채반
내용 : 껍질을 벗긴 싸리나 대나무 껍질로 울이나 춤이 없이 결어 둥글넓적하게 결어 만든 그릇이다. 공기가 잘 통하고 기름도 잘 빠져 빈대떡이나 기름에 부친 음식에 자주 사용된다.





제목 : 닻돌
주제 : 닻돌줄닻돌
내용 : 세로 10cm 가로 15cm 내외의 닻돌을 장치 해두었다가 닻줄에 늘어뜨린다. 이는 자맥질하는 동안 테왁이나 망사리가 물결에 휩쓸려 흘러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다. 물속으로 가지고 들어가 바다의 바닥에 내려 놓는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테왁닻과갈고리
주제 : 해녀좀녀해녀용품채취도구테왁닻갈고리
내용 : 테왁닻은 망사리 안에 넣어 물결에 휩쓸리지 않게 고정시키는 도구로서 닻돌이나 갈고리를 사용하였다. 작업하는 바다의 바닥곁에 갈고리를 걸어두거나 닻돌을 던져둔다. <발췌 : 제주대학교 박물관도록 P86 1989년>





제목 : 다래끼
주제 : 운반용구보관용구어로도구다래끼
내용 : 지역의 특성이나 쓰임새 또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써서 만들기도 한다. 짚으로 엮은 것은 주둥이가 좁고 밑이 넓으며 바닥은 네모꼴이다. 냇가에서 물고기 잡을 때나 밭에 씨를 뿌릴 때에 사용한다.





제목 : 문어단지(황색)
주제 : 낚시문어문어잡이통발문어통발
내용 : 1950년대 이전에 문어를 잡기위해 사용되는 어구로 암초부근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서 사는 문어의 습성을 이용한 어로방법이다.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단지를 긴 모릿줄에 여러 개 달고 그 속에 숨어 들어온 문어를 잡는 것이다. 토기로 된 단지를 사용하는데 단지의 크기는 관계없다. 바닥은 구멍이 뚫려 있어 단지를 건져 올릴 때 물은 밑으로 빠지게 된다. 150~300m의 줄에 30~100개 정도의 단지를 사용하여 문어 낙지 등을 잡는 함정어구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동재솥
주제 : 정지부엌야외조리기구밥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 양식이 크게 변했다. 주로 밭일을 하는 등의 집과의 거리가 먼 경우 들고 다니는 휴대용 솥이다. 삼발이로 설치 한 후 그 밑에 나뭇가지를 넣고 태워서 그 열기로 밥을 한다. <발췌 : 감산리의 민구 P8 1999년>





제목 : 떡돔베
주제 : 떡도마떡도마떡돔베
내용 : 제주에서는 도마를 ‘돔베’라고 한다. 이중 떡을 잘 썰기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으로 발이 달려 있다.





제목 : 백중제(테우리코소)
주제 : 백중날목축밭놀림바령테우리고사
내용 : 백중제(테우리코소)는 음력 7월 14일 자시에 바령팟에 가서 제를 지낸다. 백중제는 테우리(목자)명절 또는 태우리코소라 하며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곰박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곰박
내용 : 뜨거운 물에 삶아낸 떡을 건지는 데 사용한다. 나무로 만든 국자처럼 생겼다. 둥글고 넓적하면서도 둘레가 오긋하다. 안에는 5~7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뜨거운 국물이 빠지기 쉽게 만들었다. 손잡이는 국자처럼 깊다. 나무는 소나무 솔피나무 등을 많이 이용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7 1996년>





제목 : 떡징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떡징
내용 : 떡을 찔 때 무쇠솥의 장간을 받치는 받침이다. 재료로 갈태의 줄기를 역거나 나무판자 억새의 줄기 댕댕이덩굴 등을 이용하여 둥글게 만든다. 바드랭이라고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59 1994년>





제목 : 놋양푼
주제 : 정지부엌조리기구놋양푼놋그릇
내용 : 일단 익힌 음식을 더운 물에 중탕해내기 위해 담아서 띄우는 그릇이다. 놋쇠로 만들고 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양푼처럼 생겼으나 크기가 물 두어대접 들만한 크기의 것을 반병두리라 한다. 놋으로 만든 그릇으로 음식물을 담아 두는 데 쓰는 넓고 큰 놋그릇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송당당제(개별축원용제상)
주제 : 송당당송당당제당제무속무속신화신당
내용 : 도제상을 중심으로 전방 좌우에 놓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송당당제에서는 따로 도제상을 준비하지 않는다. 각 가호에서 개별축원용으로 차리고 나온 자그마한 제상들이다. 제물로는 메 두 그릇 구운 생선 과일 돌레떡 삶은 계란 등을 바친다. <발췌 : 제주의민속 4권 P73 1997년> <발췌 : 구좌면지 P96 1979년> <발췌 : 불휘공 송당신화마을>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2002>





제목 : 영감놀이(모습)
주제 : 당신영감놀이영감신영감본풀이
내용 : 영감신들은 갓양태만 붙은 파립을 쓰고. 깃만 붉은 베도포를 입고 총만 붙은 떨어진 미투리를 신고 한 뼘도 못 되는 곰방대를 물고 다니는 우스꽝스러운 모양의 신이다. 해녀나 과부 등 미녀를 좋아하며 같이 살자고 따라붙어 병 을 주거나 밤에 규방을 드나두는 망측한 성격이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1권 P486 1993년>





제목 : 영감놀이(영감청함)
주제 : 당신영감놀이영감신영감본풀이
내용 : 심방이 기다란 영감본풀이를 노래하고 요령과 향로를 들고 바깥을 향하여 신을 맞이하는 춤을 춘다. 이때 굿청에서 불을 꺼서 캄캄하게 하면 멀리 나가 대기해 있던 영감(분장한 소미)둘이 서로 횃불을 내 두르며 펄쩍펄쩍 뛰어다니다가 굿청 가까이 들어와 간다. <발췌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P104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자리물회 (자리 자르기)
주제 : 음식일상음식자리돔회자리물회조리법
내용 : 머리 내장등을 깔끔히 다듬어 먹기 좋게 썬다. (자리를 깨끗이 손질하여 뼈가 있는 채 얇게 썰어 식초를 넣고 갖은 양념을 한 다음 시원한 물을 부어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4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55 1995년 >





제목 : 오봉리방사탑
주제 : 무식제무속식방사탑돌탑
내용 : 마을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비치거나 풍수지리설에 따라 기운이 허하다고 믿는 곳에 액운을 막으려고 세운 돌탑이다. 또한 마을의 안녕을 보장하고 수호하며 전염병의 예방 화재예방 해상의 안전과 아이를 낳게 하고 보호해주는 기능까지 있다.





제목 : 자리물회 (자리손질)
주제 : 음식일상음식자리돔회자리물회조리법
내용 : 깨끗이 씻은 자리를 가위나 칼을 이용해 지느러미 등을 다듬는다. (자리를 깨끗이 손질하여 뼈가 있는 채 얇게 썰어 식초를 넣고 갖은 양념을 한 다음 시원한 물을 부어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4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55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