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옥돔구이(원형접시장식)
주제 : 음식일상음식반찬구이옥돔옥돔구이
내용 : 눈알이 맑고 비린내가 없어 불그스레한 빛깔을 띠는 싱싱한 옥돔을 배를 따고 찬바람이 나는 그늘에서 고들고들하게 말린 후 배 안쪽에 참기름을 발라 구워 먹는 맛은 가히 진미라 아니 할 수 없다. 제주 토박이들은 이 옥돔만을 생선이라 부를 만큼 귀족적인 생선으로 다른 생선에 비해서 다소 가격이 비싸지만 선물용으로도 각광을 받는 제주의 특산물이다.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43 2002년 >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9 1996년>





제목 : 구젱기요리
주제 : 음식일상음식소라구쟁기
내용 : 소라는 영양소가 풍부하다. 소라는 처음 준비할 때 한번 쪄서 준비하기 때문에 마지막 한번 더 찔 때에는 3분정도 살짝 수증기를 쐰다. 짧게 익히면 수증기에 소라살이 부드러워진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7 1996년>





제목 : 고사리누름전
주제 : 음식일상음식반찬느르미전전
내용 : 계란을 풀어서 고사리와 쪽파를 담궜다가 서서히 달군 후라이팬에 기름을 두리고 지져준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3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66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전복죽(황색빛깔)
주제 : 음식특별음식죽전복전복죽
내용 : 감칠맛을 주는 글루타민산이 많이 들어 있는 제주도의 전복은 옛날 진시황이 불로장생을 위하여 널리 구한 것들 중의 하나였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 오고 있으며 또한 지난날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품이기도 하였는데 지금도 제주도에서 나는 조개류 중에서는 가장 귀하게 여겨지고 값도 비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5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16 1995년 >





제목 : 자리구이(원형접시장식)
주제 : 일상음식자리돔자리자리구이반찬
내용 : 굵은 소금을 뿌려 간을 한 후 내장과 비늘까지 그대로 구워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9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70 1995년 >





제목 : 자리강회
주제 : 일상음식자리돔자리자리강회
내용 : 자리의 성분은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탄수화물이 풍부하며 회나 젓갈도 뼈까지 다 먹으므로 칼슘원이기도 하다. 싱싱한 자리를 지느러미와 비늘 내장을 제거하고 엇비슷하게 가늘게 썰어서 회를 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70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꿩메밀칼국수재료
주제 : 일상음식꿩메밀칼국수꿩메밀칼국수
내용 : 꿩메밀칼국수를 만들기 위해선 꿩 메밀가루 무 파 각종 양념을 준비한다.(꿩을 뼈째 두들겨서 푹 삶은 후 다리살을 찢어 놓는다. 메밀가루를 반죽해 밀대로 밀어 가지런히 썰고 무는 채썰기 한다. 꿩국물에 메밀칼국수와 무채를 넣어 끓인 다음 소금이나 청장으로 간을 한다. 그릇에 떠 넣고 깨소금을 뿌린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7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27 1995년 >





제목 : 양애지
주제 : 음식일상음식가정음식가을음식겨울철음식장아찌지양애지
내용 : 양애지라고도 하며 표준어는 양애 (陽碍)이고 양하 양해 옥단초 산강 야생강으로도 불리며 추석전후 초가을에 나와서 추석 제사음식에 쓰인다. 양애순이 대략 1달 정도만 나기에 시기를 잘 맞추어야 한다. 양애의 껍질을 벗겨 장에 담구어 먹는것을 지 즉 장아찌라고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0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84 1995년 >





제목 : 가을밥상
주제 : 음식일상음식가정음식가을철음식가을밥상
내용 : 여름에서 가을까지는 새벽부터 저녁까지 밖에서 보내다 바쁘게 상을 차려야 했기에 보리팥밥 열무김치멸치젓 갈치호박국 양하지 고추잎찜 맬볶음 깻잎씨짱아찌 퍼대기김치 된장 쌈야채 등을 주로 먹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0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갈치구이(솔잎장식)
주제 : 일상음식반찬류구이갈치구이
내용 : 제주도의 경우는 과거부터 싱싱한 생선을 얻기가 쉬웠기 때문에 양념구이는 별로 하지 않고 소금구이를 주로 하여 왔는데 갈치도 이 구이의 재료로 많이 이용됐다.





제목 : 꿩메밀칼국수
주제 : 일상음식꿩메밀칼국수꿩메밀칼국수
내용 : 꿩을 뼈째 두들겨서 푹 삶은 후 다리살을 찢어 놓는다. 메밀가루를 반죽해 밀대로 밀어 가지런히 썰고 무는 채썰기 한다. 꿩국물에 메밀칼국수와 무채를 넣어 끓인 다음 소금이나 청장으로 간을 한다. 그릇에 떠 넣고 깨소금을 뿌린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7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27 1995년 >





제목 : 꿩메밀칼국수 (간하기)
주제 : 일상음식꿩메밀칼국수꿩메밀칼국수
내용 : 모든 재료를 넣고 팔팔 끓이며 재료들을 알맞게 익히는 동안 소금이나 청장으로 간을 한다. (꿩을 뼈째 두들겨서 푹 삶은 후 다리살을 찢어 놓는다. 메밀가루를 반죽해 밀대로 밀어 가지런히 썰고 무는 채썰기 한다. 꿩국물에 메밀칼국수와 무채를 넣어 끓인 다음 소금이나 청장으로 간을 한다. 그릇에 떠 넣고 깨소금을 뿌린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7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2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겨울밥상
주제 : 음식일상음식가정음식겨울철음식겨울밥상
내용 : 콩가루배추국이나 무우된장국 그리고 무우를 넣고 지진 고등어자반조림 우영팟 즉 텃밭에서 따온 상추나 배추 자리젓 등을 먹었다.이 밖에 조 고구마밥 콩국 우럭콩조림 마늘짱아찌 호박탕쉬 몸무침 김장김치 된장 계절쌈 야채를 주로 먹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0 1996년>





제목 : 봄밥상
주제 : 음식일상음식가정음식봄철음식봄밥상
내용 : 봄에는 주로 물밥 멜국 고등어구이 유채나물 동지 게웃젓 동지김치 고사리 된장 해조류쌈 등을 주로 먹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0 1996년>





제목 : 생모시
주제 : 모시생모시원단
내용 : 생모시는 비실용적인 점으로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모시 생산이 저조해졌는지 알 수 없고 고려시대 이후 기록도 없으며 노인들의 말에 의하면 흔적만 살필 수 있을 정도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78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고등어구이 (석쇠굽기)
주제 : 고등어고등어구이생선
내용 : 내장을 제거한 고등어에 칼집을 내어 미리 소금간을 하였다가 기름을 두룬 후라이펜이나 석쇠에 굽는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8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71 1995년 >





제목 : 무명
주제 : 무명미명평상복원단
내용 : 본도에서는 무명을 미녕이라 한다. 조선 초기에는 무명이 생산되지 않았으나 차츰 다른 섬유보다 가장 많이 직조 되었다. 이는 무명이 경제성이나 용도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75 1996년>





제목 : 꿩메밀칼국수 (방망이질)
주제 : 일상음식꿩메밀칼국수꿩메밀칼국수
내용 : 방망이로 꿩고깃살을 연하게 만들기 위해 뼈째로 두들겨 준비한다. (꿩을 뼈째 두들겨서 푹 삶은 후 다리살을 찢어 놓는다. 메밀가루를 반죽해 밀대로 밀어 가지런히 썰고 무는 채썰기 한다. 꿩국물에 메밀칼국수와 무채를 넣어 끓인 다음 소금이나 청장으로 간을 한다. 그릇에 떠 넣고 깨소금을 뿌린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7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2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망건
주제 : 망건탕건정자관겯기말총
내용 : 탕건을 쓰기 전에 머리카락을 단정히 하기 위하여 머리띠 모양의 망건을 둘렀는데 망건 역시 제주에서 제작되었다. 망건은 명나라에서 전래되었다고 하지만 그 재료나 모양이 우리나라식으로 토착화되어 되레 중국으로 역수출된 것으로 보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484 1994년>





제목 : 빙떡완성
주제 : 잔치잔치음식떡제주전통떡빙떡
내용 : 후라이팬이 없던 시절에는 솥뚜껑을 뒤집어 사용하였다. 메밀가루와 무채가 어울려 독특한 맛을 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309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34 1995년 >





제목 : 옥돔구이(사각접시장식)
주제 : 옥돔옥돔구이생선
내용 : 도미류의 하나로 제주에서는 옥토미라 하는데 찬바람이 부는 그늘에서 고들고들하게 말려 구워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옥돔은 제주도 연안과 일본 근해에서만 잡히는 것으로 담백하고 은은한 맛이 누구나 다시 한번 찾게 만든다. 겨울이 제철인 옥돔은 영양가가 높고 단백질도 풍부하여 병후 회복기 환자나 허약 체질의 사람들이 죽으로 많이 쑤어 먹는 생선이다.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43 2002년>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9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문어통발(접이식)
주제 : 낚시통발
내용 : 접어서 운반이 가능하게 만든 스프링식 문어통발이다. 어망으로 주머니 모양을 만들고 양 입구와 가운데에는 철사로 된 고리테를 부착한 통발에 미끼를 넣어 문어를 유인하여 잡는 어구다.





제목 : 자리수경
주제 : 자리자리잡이자리수경테우자리돔
내용 : 작업시 사용하였던 물안경으로 해녀들이 잠수 전에 자리수경으로 물위에서도 물속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사다리꼴 나무통에 유리로 제작된 물안경으로 자리돔 어군을 확인을 했다.





제목 : 조세
주제 : 조세채취도구조개류
내용 : 주로 굴을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도구이다. 육상에서 바위에 붙은 어패류를 떼어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바농대
주제 : 바늘바농바늘상자바농상자복식제조
내용 : 바늘은 바느질하는데 쓰는 쇠로 만든 기구로 가늘고 끝이 뾰족하며 머리에 실을 꿰는 구멍이 있다. 갓 만들때 쓰는 바늘은 특별히 바농대라고 부르는데 끝이 낚시 바늘처럼 구부러져 있고 길이는 18㎝정도 되는 철제바늘이다. 바농대는 실처럼 쪼갠 대나무로 양태를 만들 때와 말총으로 갓모자를 만들 때 모두 사용된다.





제목 : 꽃게통발
주제 : 낚시통발
내용 : 주로 꽃게 등의 갑각류를 잡기 위한 통발이다.통발 안에 미끼를 넣어 꽃게 또는 대상생물을 유인하여 잡는다. 원통형의 틀에 주머니 모양을 만들고 양 입구와 가운데 지름에 철사로 된 고리테를 부착한 어구이다.





제목 : 장어통발
주제 : 낚시통발
내용 : 주로 장어를 잡을대 사용하는 길이가 긴 통발이다. 대나무 또는 쇠로 된 길다란 원통에 한쪽은 막고 다른 한쪽은 깔때기 모양의 입구를 만든 통발 안에 미끼를 넣어 물고기를 통발 속으로 유인하여 잡는 어구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굴방석
주제 : 운반용구보관용구어로도구굴방석
내용 : 채취하여 온 굴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작된 도구이다. 도마같이 생긴 원형의 나무틀에 굴을 올리고는 굴의 크기나 해체부위에 따라 날끝을 맞추어 사용하였다.





제목 : 갯바구니
주제 : 운반용구보관용구어로도구갯바구니
내용 : 대나무를 얇게 잘라서 만든 바구니로 물빠짐이 좋아 주로 조개 등을 채취할때 사용되었다.





제목 : 젓독
주제 : 운반용구보관용구젓독
내용 : 젓갈류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옹기그릇이다. 젓독은 일반적으로 옆구리가 볼록하지 않고 직선에 가깝다. 상인들이 배에 독을 더 많이 싣기도 하고 지게에 싣고 옮기거나 젓을 팔러다니기 쉽도록 제작된 방편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