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갈점벵이
주제 : 갈적삼감옷상의
내용 : 무명옷에 풋감즙으로 물들이고 상의는 갈적삼 하의는 갈점뱅이 갈중이라 부르며 제주도민의 남녀노소가 즐겨 입는 노동복이다.





제목 : 갈적삼
주제 : 갈옷적삼
내용 : 정의:갈적삼은 춥지않은 때 주로 있었던 홑저고리에 감물을 들인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남녀가 가리지 않고 입었다. 내용:갈옷이란 감 즙으로 염색한 옷을 말한다. 제주민속의상으로 농어민들이 작업복이나 일상복으로 입었던 갈옷은 종류에 따라 갈등지게 갈적삼 갈잠뱅이 갈중이 등으로 불린다. 남자들의 보편적인 상의(上衣)였던 적삼에 감물을 들였다. 넓은 깃과 고름이 있다. 비슷한 것:남자들의 상으로서 저고리 솜저고리 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제목 : 갈저고리
주제 : 저고리여성복작업복
내용 : 감물을 들인 명주로 지은 톨저고리 돌마귀 단추로 가다듬음-여자의 작업복 상의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광목적삼
주제 : 여자상의홑적삼겉옷
내용 : 여자의 겉옷 상의로 돌마귀단추를 단 광목 홑적삼. 길이가 유독 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8 2007년>





제목 : 공단저고리
주제 : 전통의복한복저고리
내용 : 평상복 및 외출복으로 입는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로 회색으로 광택이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03 2007년>





제목 : 갈중이적삼
주제 : 갈중이노동복여성복
내용 : 여성의 노동복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남자바지
주제 : 남성복무명바지
내용 : 나들이나 집에서 입는 남자바지로 무명으로 만들어졌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0 2007년>





제목 : 굴중이
주제 : 속바지여성복통바지
내용 : 여자들이 치마속에 입던 옷으로 허리를 동이게 된 통이 넓은 바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 2007년>





제목 : 광목쥐색바지
주제 : 광목바지
내용 : 광목의 쥐색바지로 허리춤이 있고 양쪽으로 벌어져 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5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누비적삼
주제 : 적삼웃옷무명
내용 : 정의:누비적삼은 적삼을 촘촘하게 손바느질로 누벼 만든 것이다. 용도 및 특징:옷을 누벼 입으면 오래 입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保溫)의 효과가 높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47 2007년>





제목 : 남자조끼
주제 : 남성복조끼평상복
내용 : 나들이나 집에서 입는 옷으로 남자 상의 저고리 위에 입는 팔이 없는 옷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1 2007년>





제목 : 남자저고리
주제 : 남성복저고리평상복
내용 : 나들이나 집에서 입는 남자저고리로 무명으로 만들어졌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0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명주바지
주제 : 바지외출용바지
내용 : 명주로 만들어진 외출용바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4 2007년>





제목 : 두루마기
주제 : 전통의복한복
내용 : 한국의 전통적인 포(袍)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조선말 도포(道袍) 창의 등의 제도가 없어지면서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입고 있는 포제(袍制)가 두루마기이다. 두루마기란 <두루 막혔다>는 뜻이다. 몽골복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그 원류에서 볼 때 고구려 이래의 한국 전통의 포제에서 나온 것이다. 고구려 포제에는 당시의 양식으로 선이 있고 띠를 둘렀는데 오늘의 두루마기에는 선이 없고 고름으로 되었을 뿐 별 차이가 없다. 백제 신라의 포도 두루마기와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제목 : 두건
주제 : 남성모자
내용 : 삼베를 네모지게 접어 한쪽은 막고 트인쪽은 머리에 쓰게 되어있다. 남자용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4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물적삼
주제 : 물소중이물수건
내용 : 물소중이가 물옷의 필수라면 물적삼과 물수건은 선택이었다.물적삼은 상체에 입는 물옷으로 추위와 햇빛을 막는 역할을 하였다. 형태는 적삼과 셔츠의 복합형태로 여밈은 매듭단추로 하다가 단추를 이용하였다. 소매부리와 도련에 끈이나 고무줄을 넣어 몸에 꼭 맞게 조여 물속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0 2007년>





제목 : 무명적삼
주제 : 윗웃적삼단삼
내용 : 명평 직물의 홑으로 만든 윗옷. 단삼(單杉)이라고도 한다. 여름용 적삼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적삼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모시 삼베 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모시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특히 세모시로 만든 것은 올이 곱고 아름다워 좋다. 무명은 수직기(手織機)인 재래식 베틀로 제직된 면평 직물이다. 무명은 광목(廣木) 옥양목(玉洋木) 서양목과 같은 면직물과 구별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의 토속 직물로서 실용적인 춘하추동의 의복 재료 및 침구 기타 생활용품 자료로 가장 많이 이용된 직물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제목 : 무명바지
주제 : 바지의복바지
내용 : 무명 겹(백색)으로 만들어진 의복바지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복건
주제 : 도복모자
내용 : 검은 헝겊으로 위는 둥글고 삐죽하게 만들었으며 뒤에는 넓고 긴 자락을 늘어지게 대고 양옆에 끈이 있어서 뒤로 돌려 매게 되어있다. 도복에 갖추어 머리에 쓰는 것.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2 2007년>





제목 : 버선
주제 : 보온용버선
내용 : 전통적인 버선 보온용 치장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7 2007년>





제목 : 미녕점벵이
주제 : 홑바지남성복
내용 : 정의:갈중이는 춥지 않은 때 주로 입었던 홑바지에 미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주로 남자들이 입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속바지
주제 : 바지여성복보온바지
내용 : 여성용 바지-허리는 고무를 넣어 입고 벗는데 신축성이 있다. 보온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7 2007년>





제목 : 상
주제 : 상복주름치마
내용 : 모친상때 소단위에 입는 주름치마 삼끈으로 꿰어 소단위에 입듯이 허리에 두른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27 2007년>





제목 : 삼띠
주제 : 상복의복
내용 : 모친상을 당했을 때 허리에 두르는 띠로 재최복위 허리에 두른다. 삼과 신서란을 이용해서 굵게 꼬아 만듦.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2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양단저고리
주제 : 저고리외출복
내용 : 평상복 및 외출복으로 입었던 저고리로 무늬가 있는 양단으로 만든 저고리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04 2007년>





제목 : 신발
주제 : 의복신랑용
내용 : 결혼식 때 신랑이 신었던 신발





제목 : 수질
주제 : 상복동그란테
내용 : 여자 상주의 머리에 얹을 수 있는 동그란테와 그테를 목에 걸치게 짚으로 짜서 한지로 감은 것.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2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쾌자
주제 : 덧입는옷
내용 : 정의:쾌자는 바지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덧입었던 옷이다. 용도 및 특징:무명이나 베 등으로 만들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 2007년>





제목 : 여자저고리
주제 : 저고리여성복외출복
내용 : 외출이나 집에서 입는 무명으로 만든 여자용 저고리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0 2007년>





제목 : 엄짚신
주제 : 짚신상복
내용 : 상주용 신발로 짚으로 엉성하게 만든 신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28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