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행전
주제 : 바지헝겊
내용 : 바지를 간추리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다리에 감는 네모진 헝겊 한쪽에 끈을 달았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 2007년>





제목 : 통치마
주제 : 치마속옷
내용 : 정의:통치마는 섶을 내지 않고 보리 마대처럼 통으로 만든 치마를 가리킨다. 주로 속옷으로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모시로 만들었다. 허리에 끈을 내어 붙였다. 비슷한 것:통으로 만들지 않고 좌로 여미어 입도록 한 치마가 주로 이용되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75 2007년>





제목 : 탕건
주제 : 망건제작망건
내용 : 모양은 앞쪽이 낮고 뒤쪽은 높아 턱이 졌다. 사대부 계층에서 평상시 쓴 것으로 망건보다 늦게까지 보급되었다. 탕건의 재료로서 중국에서는 마포나 사(紗)를 이용했으나 조선에서는 말총을 사용하였다. 탕건의 재료는 예로부터 평안도의 정주 ·안주 호남의 완주 제주에서 생산되었다.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중요무형문화재 67)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꿩샤브샤브
주제 : 꿩샤브샤브
내용 : 꿩뼈를 넣어 육수를 끓인 후 야채와 꿩을 얇게 썰어 살짝 데쳐 먹는 요리이다.





제목 : 고리가 있는 국자
주제 : 주방용품
내용 : 음식을 나눌 때 사용하는 도구로 나무로 손잡이를 만들고 앞부분은 오목하게 파서 만든 기구이며 걸수 있도록 고리가 있다.





제목 : 국그릇
주제 : 그릇식기유기그릇
내용 : 유기로 만들어진 국을 뜨는 그릇으로 둥글고 오목하며 깊이가 밥그릇보다 얕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219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나무쟁반
주제 : 쟁반주방용훔
내용 : 음식을 넣는 그릇의 일종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쟁반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02 2007년>





제목 : 나무솥뚜껑
주제 : 솥뚜껑주방용품
내용 : 나무로 만든 솥뚜껑으로 음식보관용 도구의 뚜껑으로 사용하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4 2007년>





제목 : 꿩칼국수
주제 : 꿩칼국수
내용 : 꿩을 삶아낸 육수는 맑고 구수하며 담백한 꿩 고기를 곁들인 꿩 칼국수는 입맛없는 여름철의 별미이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놋수저
주제 : 수저주방용품
내용 : 밥이나 국물을 떠먹기 위한 도구. 초기에는 조개껍데기나 나무를 깎아서 사용하였으나 주철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 후부터는 백통 놋쇠 금 은 등으로 주로 제작 사용한다. 젓가락과 함께 한 조를 이루며 시대 변천에 따라 형태와 그 문양에서 적지않은 변화를 거쳐왔다. 밥과 국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나라 전통식사문화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식생활용구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68 2007년>





제목 : 놋사발
주제 : 사발식기
내용 : 놋쇠로 만들어진 음식을 담는 그릇.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65 2007년>





제목 : 녹유항아리
주제 : 항아리곡물보관용
내용 : 흙으로 만든 물 또는 곡물 술 저장 용구로 동체가 둥근 항아리이다. 온몸에 황록색 유약을 바르고 손그림을 자유분방하게 사유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3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떡살
주제 : 도장기구떡
내용 : 정의:흰떡을 가래로 하여 끊은 위에 예쁜 도안을 찍어내기 위한 도장과 같은 기구다. 특징:나무로 만든 것도 있고 사리로 구워낸 것도 있다. 이것은 소형 원판 안에 7개의 저을 찍고 그 밖으로 햇살무늬를 새겼음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5 2007년>





제목 : 돔베고기
주제 : 돼지고기돔베
내용 : 돔베는 도마의 제주도 방언이다.즉 도마에서 썰어먹는다 하여 돔배고기라 이름붙혀졌다.





제목 : 대바지
주제 : 항아리식수운반
내용 : 식수운반용으로 이용하던 항아리로 어린이들이 물을 긷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2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밥그릇
주제 : 그릇사발
내용 : 둥글고 오목하며 밥을 넣는 그릇이다.





제목 : 바디병
주제 : 줏고리증류소줏고리
내용 : 정의:바디병은 숙성한 술을 증류(蒸溜)하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내릴 때 떨어지는 소주를 받는데 사용하였다. 내용:알코올의 증발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입구가 좁고 긴 형태의 병을 이용하였으며 좁은 목을 가지고 있다. 입구에 ‘바랑’을 얹어 받도록 하였다. 비슷한 것:술춘이라고 하여 소주의 보관에 이용된 것도 함께 쓰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50 2007년>





제목 : 망데기
주제 : 그릇식기옹기그릇
내용 : 옹기그릇으로 김치등을 담아 저장하는 그릇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3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빙철
주제 : 철판빙떡
내용 : 빙떡을 만들려고 떡을 넓적하게 지지는 철판이다. 마치 솥뚜껑을 뒤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으로 무쇠로 만들었다. 한쪽에는 쇠고리가 붙어 있어 쓰지 않을 때는 정지 벽에 걸어두고 하는데 쓰다보니 고리가 빠져 버렸다. 빙철이 없는 집안에서는 이웃집에서 이것을 빌어다 쓰기도 하고 그것마저 여의치 않을 때는 솥뚜껑으로 대신하기도 했다.





제목 : 부젓가락
주제 : 젓가락주방용품
내용 : 화로에 숯덩이를 집어 옮기는 젓가락이다. 부젓가락은 식사 때 쓰는 것에 비하여 큰 것이다. 절대 어른들만의 소용품(所用品)이다. 어린이들이 함부로 엄두도 낼 수 없게 미리 이렇게 크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제목 : 밥자
주제 : 밥주걱주방용품
내용 : 정의:‘밥자’는 밥주걱을 가리키는 제주 지역어다. 재료에 따라 나무로 만든 것을 ‘낭밥자’ 놋제품으로 된 것은 ‘놋밥자’라고 한다. 내용:놋쇠로 만든 것으로 많은 양을 한꺼번에 풀 수 있도록 넓고 크게 만들었다. 주걱 부분의 가장자리에 전이 세웠다. 비슷한 것:국을 풀 때 사용했던 것으로 ‘국자’가 쓰였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68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무쇠솥
주제 : 솥쇠솥무쇠솥
내용 : 정지에 전기와 가스가 들어오면서 그 공간의 구조와 생활양식이 크게 변했다. 마을에 전기는 1969년 그리고 가스는 1979년부터 들어왔다. 가벼운 밥솥과 냄비가 무거운 무쇠솥을 몰아내 버렸다. 솥은 크기에 따라 다섯 가지가 있었다. - 두말띠기(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 밥을 짓거나 고기를 삶을 때) - 웨말치기(밥을 짓거나 술을 빚는 고소리와 떡을 찌려고 시루를 앉힐 때) - 중솟(밥을 짓거나 그것에 맞는 시루를 앉힐 때) - 옹주리(국을 끓이거나 반찬을 만들 때) - 잔철(솥 중에서 가장 작은 솥)





제목 : 사기쟁반
주제 : 쟁반제기
내용 : 쟁반의 형태의 제기로 음식을 올릴 때 사용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45 2007년>





제목 : 사기보시
주제 : 사기그릇사발
내용 : 사기그릇으로 된 보시로 음식을 먹을때 이용된 주방용그릇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3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옹기코장태
주제 : 곡류그릇
내용 : 반원형 통으로 한쪽에는 코가 있다. 곡류 등을 씻는 그릇이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75 2007년>





제목 : 시루(밑바닥)
주제 : 떡시루제사그릇
내용 : 시루는 바닥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뜨거운 증기가 올라와 시루안의 음식이 쪄지게끔 되어 있다. 시루에 음식을 익힐 때에는 재료가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시루밑을 깔고 시루방석이라 하여 짚으로 두껍게 결은 것을 뚜껑으로 덮는다.





제목 : 시루
주제 : 떡시루제사그릇
내용 : 떡 쌀 등을 찌는 데 사용하는 그릇. 김이 통하도록 바닥에는 구멍이 여러 개 나 있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시루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나진 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것이다. 이어서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인 평안북도 대평리 유적에서도 출토되고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여러 개가 발굴되었다. 또한 고구려시대 유적인 안악고분벽화 약수리벽화 등에 시루에서 음식을 다루는 그림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에서는 원시농경시대부터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에도 각 가정에서는 한 두개의 시루가 상비되어 있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청동수저
주제 : 수저주방용품
내용 : 밥을 뜨는 것으로도 이용하고 숯을 뜨는 것으로도 이용한 길쭉한 형태의 숟가락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92 2007년>





제목 : 철제빙떡판
주제 : 빙떡
내용 : 빙떡을 만들때 사용하는 도구로 둥글며 손잡이는 험하게 눌러져있다.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80 2007년>





제목 : 조막단지
주제 : 단지주방용품
내용 : 동그랗고 오목하고 주둥이가 아주 작은 단지 양념을 넣어둠 <발췌:박물관 소장자료 전산화구축 P197 2007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