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고등어배추국 (고등어썰기)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고등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에 씻은 후 4~6등분으로 썬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고등어배추국 재료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고등어배추국의 재료로 고등어 배추 풋고추 파 다진 마늘등을 준비한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갈치호박국
주제 : 일상음식국물류갈치국
내용 : 갈치와 호박 배추 등 각종 야채를 알맞게 썰고 끓는 물에 갈치를 넣어 끓여주다가 준비한 호박 각종 야채들을 넣은 후 간을 하고 더 끓여 마무리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5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고등어배추국 (다진마늘 넣기)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잘 다져진 마늘을 끓이는 양에 맞춰 약간 넣어준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고등어배추국 (익히기)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고등어와 배추가 고루 익도록 팔팔 끓여준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고등어배추국 (끓이기)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고등어를 끓는 물에 넣고 한소끔 더 끓인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고등어죽 (고등어삶기)
주제 : 음식죽고등어죽고등어
내용 : 고등어 내장을 제거한 후 물로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삶는다. (고등어는 내장을 빼서 손질한 후 삶아서 가시를 발라내고 그 살만을 가지고 쌀과 함께 죽을 끓인다.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한 숟갈 정도 넉넉하게 두르고 마무리하는데 작은 항아리 뚜껑 같은 질그릇에 담아내야만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3 1996년>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46 1996년>





제목 : 고등어배추국 (소금간)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소금으로 입맛에 맞춰 간을 하여 조리를 마무리한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제목 : 고등어배추국 (파고추넣기)
주제 : 음식국고등어배추국고등어배추
내용 : 얇게 썬 풋고추 파 등을 넣어준다. (싱싱한 고등어를 준비해 내장을 빼고 깨끗이 손질하여 썬다. 물이 끓으면 손질된 고등어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으면 배추를 넣어 끓인 다음에 풋고추 파 마늘 다진 것을 넣고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구젱기물회 재료
주제 : 음식소라구쟁기소라물회구쟁기물회물회
내용 : 주재료인 구젱기와 오이 미나리 마늘 파 깻잎을 준비하고 구젱기물회를 간하기 위해 식초 고추장 토장이나 소금 고춧가루 깨소금 다진 마늘 설탕 등을 준비한다. (구젱기 손질하기 - 재료 썰기 - 양념하기 - 재료버무리기 - 물붓기)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52 2002년>





제목 : 간장
주제 : 음식저장음식장간장
내용 : 음식의 간을 맞추는 데 쓰는 짠맛이 있는 액체 조미료이다. 여러나라에서 간을 맞추기 위해 사용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3 1996년>





제목 : 고등어죽
주제 : 음식죽고등어죽고등어
내용 : 조리된 고등어죽을 비린내가 나지 않도록 질그릇에 담는다. (고등어는 내장을 빼서 손질한 후 삶아서 가시를 발라내고 그 살만을 가지고 쌀과 함께 죽을 끓인다.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한 숟갈 정도 넉넉하게 두르고 마무리하는데 작은 항아리 뚜껑 같은 질그릇에 담아내야만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3 1996년>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46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구젱기물회 (다진마늘 넣기)
주제 : 음식소라구쟁기소라물회구쟁기물회물회
내용 : 비릿한 맛을 없애기 위해 약간의 다진 마늘을 넣는다. (소라는 껍질에서 살과 내장을 꺼내어 맨 앞에 있는 딱딱한 뚜껑을 떼어버린 후 옆으로 납작하게 썬다. 깻잎은 크게 썰고 오이는 어슷 썰고 미나리는 4㎝ 정도로 썬다. 양념으로 토장 고추장 고춧가루를 약간씩 넣고 간장 소금 깨소금 식초 설탕 마늘 다진 것을 살짝 하여 무쳐 준다.)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52 2002년>





제목 : 구젱기물회 (양념하기)
주제 : 음식소라구쟁기소라물회구쟁기물회물회
내용 : 토장 고추장 고춧가루를 약간씩 넣고 간장 소금 깨소금 식초 설탕을 살짝 하여 무쳐 준다. (구젱기 손질하기 - 재료 썰기 - 양념하기 - 재료버무리기 - 물붓기)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52 2002년>





제목 : 구젱기물회 (소라담기)
주제 : 음식소라구쟁기소라물회구쟁기물회물회
내용 : 썰어 놓은 ‘구젱기와 깻잎은 크게 썰고 오이는 어슷 썰고 미나리는 4㎝ 정도로 썰어 양푼에 담는다. (구젱기 손질하기 - 재료 썰기 - 양념하기 - 재료버무리기 - 물붓기) <발췌 : 제주도 음식문화 P152 2002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문게죽 (끓이기)
주제 : 음식죽문게죽문어죽문게문어
내용 : 볶은 쌀에 물을 부어 손질한 문어와 함께 계속 저어주며 끓인다. (문어를 소금으로 잘 문질러 씻은 뒤 짓이긴 후 물에 불린 쌀에 참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문어를 넣고 물을 부어 저어주며 푹 끓인 뒤 소금으로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3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17 1995년 >





제목 : 문게죽 (볶기)
주제 : 음식죽문게죽문어죽문게문어
내용 : 냄비에 참기름을 두른 후 물에 불린 쌀을 볶는다. (문어를 소금으로 잘 문질러 씻은 뒤 짓이긴 후 물에 불린 쌀에 참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문어를 넣고 물을 부어 저어주며 푹 끓인 뒤 소금으로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3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17 1995년 >





제목 : 문게죽 재료
주제 : 음식죽문게죽문어죽문게문어
내용 : 싱싱한 문어와 물에 불린 쌀과 소금을 준비한다. (문어를 소금으로 잘 문질러 씻은 뒤 짓이긴 후 물에 불린 쌀에 참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문어를 넣고 물을 부어 저어주며 푹 끓인 뒤 소금으로 간을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3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1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좁쌀밥
주제 : 음식일상음식밥좁쌀밥
내용 : 풍미가 구수하고 특유하여 입맛을 돋구어 주며 영양가가 높아 건강에 좋다. 좁쌀은 물을 많이 받으므로 흰쌀밥을 지을 때보다 물을 더 두고 지어야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6 1996년>





제목 : 메밀조배기 재료
주제 : 음식특별음식수제비메밀조배기메밀조배기
내용 : 메밀조배기 재료로 메밀가루 다시마 소금 그리고 부추등등 식성에 맞춰 각종의 야채를 준비한다. (찬물에 처음부터 다시마를 넣고 팔팔 끓이며 국물을 우려낸다. 충분히 우려냈으면 다시마는 건져내 따로 두고 메밀가루는 뜨거운 물을 부으면서 끈기가 나도록 반죽하여 애호박과 감자를 깨끗이 씻어서 얄팍하게 썬 후 부추는 3cm길이로 다듬고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를 분리해서 지단을 부친다 식으면 채를 썰어놓는다. 다시마로 만들어놓은 육수를 불에 올려 끓이면서 소금과 간장으로 맛을 내고 메밀 반죽을 떠넣는다. 호박 감자 다진마늘을 차례대로 넣어 끓인다. 부추는 마지막에 넣고 채썬 지단을 얹어 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25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25 1995년 >





제목 : 몸국과 양념간
주제 : 음식특별음식국물류돼지고기몸몸국
내용 : 몸국은 모자반국을 일컫는 사투리인데 제주에서는 잔치 때 빼놓을 수 없는 별식으로 몸국을 먹기 전 고추가루를 넣으면 더욱 얼큰한 몸국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39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47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호박탕쉬
주제 : 음식호박호박탕쉬반찬일상음식
내용 : 늙은 호박의 껍질을 벗겨 0.7cm 정도의 두께로 썰어 끓는 물에 삶아 건져 놓는다. 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실파를 썰어 넣어 깨소금과 참기름을 쳐서 골고루 무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67 1996년>





제목 : 자리구이(사각접시장식)
주제 : 일상음식자리돔자리자리구이반찬
내용 : 굵은 소금을 뿌려 간을 한 후 내장과 비늘까지 그대로 구워낸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59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70 1995년 >





제목 : 동지김치
주제 : 음식저장음식김치동지동지김치
내용 : 제주는 섬이라는 특성으로 김치에 해물이 많이 들어가고 국물을 넉넉히 부어 담그는 김치가 많다. 한겨울 눈 속에서 자라는 재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우리로 동지김치를 담가 일찍이 봄의 미각을 즐긴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94 1996년> <발췌 : 제주전통음식 P92 1995년 >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마당
주제 : 초가집제전통초가전통초가제주초가마당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마당을 중심으로 근접 배치되며 통로 옥외생산 및 작업 일조 및 채광 통풍 관혼상제의 의식 등이 행해지며 보통 7~8m의 범위를 가진다. 안거리와 밖거리의 거리는 난간에 앉은 채 일상적인 음성으로 가족 간의 대화가 가능하고 얼굴표정을 통하여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척도의 범위가 된다. 마당 폭과 건물높이의 비는 2:1 정도여서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어 쾌적한 분위기를 만든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500 1996년>





제목 : 초가집전경
주제 : 초가집제전통초가전통초가제주초가
내용 : 제주도의 초가는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로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정구조 및 그 생활방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그 기본구조는 기둥 귀틀 보 보짓 내도리 중보 중마루 상마루 등 뼈대를 나무로 만든후 주위 벽을 굵은 돌로 쌓아 두르고 띠로 지붕을 덮은 것이다. 벽은 흙을 발라 붙여 돌담을 단단히 하고 지붕은 띠로 덮은 후 바람을 견디기위하여 직경 5㎝ 가량의 굵은 띠 밧줄로 바둑판 처럼 얽어 놓고 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495 1996년> <발췌 : 제주문화의 향기 P 292 2004년>





제목 : 낭푼밥상
주제 : 낭푼밥상
내용 : 옛 제주도민들은 밥을 가족 수대로 따로 뜨지않고 낭푼이라고 불리는 크고 둥근 놋그릇에 밥을 담아 식구들이 함께 먹었다. <발췌 : 제주의 민속 4권 P211 1996년>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
제목 : 구젱기 구이
주제 : 음식재료소라구쟁기
내용 : 구젱기를 약한 소금물에 깨끗이 씻어 통째로 숯불에서 구워내서 몸통과 내장을 분리하고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 <발췌 : 제주전통음식 P64 1995년>





제목 : 구살젓
주제 : 음식저장음식젓갈성게구살구살젓성게젓
내용 : 성게 속을 꺼내 소금을 넣고 버무려 숙성시켜 젓을 담근다.

WRITTEN BY
추월차선
꿈해몽, 여행, 건강정보

,